사진=마인드마크 제공 웹툰에서 튀어나온 듯한 비주얼에 성격까지. 배우 신혜선, 이준영 주연의 영화 ‘용감한 시민’이 극장을 찾아온다.
21일 오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영화 ‘용감한 시민’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배우 신혜선, 이준영, 박진표 감독이 참석했다.
‘용감한 시민’은 불의는 못 본 척, 성질은 없는 척, 주먹은 약한 척 살아온 기간제 교사 소시민(신혜선)이 선을 넘어버린 안하무인 절대권력 한수강(이준영)의 악행을 마주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다.
사진=마인드마크 제공 신혜선은 ‘용감한 시민’을 통해 처음으로 액션에 도전했다. 그는 소시민 역에 대해 “복싱 유망주였다가 기간제 교사가 되면서 정교사가 되기 위해 불의를 참고 사는 친구”라고 소개했다.
이어 “대본을 받았을 때 제대로 액션을 할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했다. 비록 능력은 부족하지만, 캐릭터도 맘에 들어서 해보고 싶었다”며 “통쾌하고 시원한 느낌이 들었다”고 참여 이유를 밝혔다.
신혜선은 역할을 위해 6개월간 액션스쿨을 다녔다고 밝혔다. 신혜선은 “당시에 체력이 너무 떨어졌다. 흉내라도 내려면 훈련을 해야 했다”며 “액션스쿨 선생님이 따로 저만 훈련을 많이 시켰다. 토 나올 정도로 힘들었던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선생님한테 ‘왜 저만 이렇게 많이 해야하냐’고 물으니 ‘못하니까요’라고 명쾌하게 답을 주시더라. 인정하고 할 수밖에 없었다. 시민이가 수강이한테 지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자극을 받고 했다”고 이야기했다.
사진=마인드마크 제공 이준영은 뻔뻔한 만행을 저지르며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한수강 역을 맡았다. 이준영은 캐릭터에 대해 “어떤 사건으로 인해 또래보다 나이가 있다. 그러다 보니 힘도 세서 친구들 괴롭히는 게 취미인 나쁜 친구”라고 소개했다.
빌런 캐릭터를 위해 어떤 노력을 했냐는 질문에는 “감독님이 거울을 보면서 나쁜 눈 만들기 숙제를 주셨다”며 “자기 전이나 밥 먹다가 거울을 보면서 나쁜 눈을 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이준영은 신혜선과의 연기에 만족감을 드러냈다. 이준영은 “호흡이 너무 좋았다. 깜짝 놀랐던 부분이 많았다”며 “저보다 액션스쿨을 열심히 다니더라. 열정이 엄청난 선배라는 생각에 지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 선배의 모습을 더 멋있게 만들어주고 싶다는 생각에 열심히 몸을 썼던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이준영는 최근 넷플릭스 시리즈 ‘마스크걸’에 출연해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연달아 빌런 캐릭터를 맡은 소감을 묻자 “한소강이 더 나쁜 놈이라고 생각한다. ‘마스크걸’ 최부용과 어떻게 차별점을 둬야 할까 고민이 많았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결이 다른 나쁨을 표현하기 위해서 감독님과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 이유 없는 빌런이라는 게 이 작품을 선택하게 된 이유 중 하나”라며 “개봉하면 당분간 집 밖을 안 나갈 예정”이라고 답해 웃음을 자아냈다.
사진=마인드마크 제공 ‘용감한 시민’은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한다. 박진표 감독은 기존 캐릭터와 잘 맞는 배우를 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신혜선과 이준영을 캐스팅한 이유를 묻자 “일단 원작과 두 분이 똑같다. 생김새, 키, 성격 이런 것들이 많이 똑같았다”며 “요즘 운동선수들한테 하는 말이긴 하지만 ‘폼 미쳤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특히 눈이 좋은 배우들이다. 같이 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이야기했다.
연출한 계기로는 원작의 재미를 꼽았다. 박 감독은 “원작이 굉장히 재밌었다. 원작 속에서 가면이라는 설정이 마음에 들었다. 가면은 꺼내기 힘든 용기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주인공 이름이 소시민인데, 이름도 촌스럽지만 끌어당기는 요소였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원작 웹툰과 어떤 부분이 달라졌을까. 박진표 감독은 원작과 달리 한소강 캐릭터의 전사를 없앴다고 밝혔다. 박 감독은 “원작에서는 소강이가 나쁘게 변하게 된 전사가 있는데 여기선 없앴다. 나쁜 놈은 나쁜 놈일 뿐이다. 조금이라도 동정을 받지 않았으면 했다. 준영 씨한테도 소강이는 나쁜 애니까 진짜 나쁘게 했으면 좋겠다고 강요했다. 본성이 그렇지 않으니 많이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박진표 감독은 영화에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박 감독은 “유명한 인기 웹툰을 기반으로 했다. 영화를 잘 즐겨주셨으면 좋겠다”며 “관객들에게 후련함, 통쾌함으로 잘 전달됐으면 한다”고 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