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로케이션 감독인 강예성 로그이엔티 대표가 6일 오후 서울 순화동 KG타워에서 일간스포츠와 창간인터뷰를 갖고 있다. 김민규 기자 mgkim1@edaily.co.kr
“장소를 통해 드라마를 함께 기억하고 공감해준다는 것에 무척 보람을 느낍니다.”
K드라마에서 장소는 무척이나 특별하다. 캐릭터들과 이야기의 배경으로 극의 몰입감을 끌어올리고 신의 분위기를 좌지우지하면서 작품의 전체 톤을 만들어낸다. 단순히 예쁘고 멋있는 장소가 아닌, 작품의 서사와 맞물려 영상으로 담겼을 때 빛을 발하는 곳을 찾아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처럼 주요한 일을 로케이션 매니저가 해낸다.
‘더 글로리’, ‘스위트 홈’, ‘미스터 선샤인’, ‘아스달 연대기’ 시리즈, ‘도깨비’ 등 다수의 히트작에 로케이션 매니저로 참여한 강예성 로그이엔티 대표는 최근 일간스포츠와 인터뷰에서 작업 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전했다.
로케이션 매니저라는 직업은 생소하다. 영화 분야에선 제작부에서 담당하지만, 드라마에선 독자적인 롤로 활동한다. 강예성 대표도 방송계에 발을 들인 후, 25살이었던 2005년 우연한 기회를 통해 로케이션 매니저를 시작했다. 강예성 대표는 “당시 깔끔한 옷을 입고 편하게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한 로케이션 매니저를 보고 이 업을 시작했는데 실제로는 너무 힘들다”며 웃었다.
“적합한 장소를 찾기 위해 아이디어를 내고 결과물을 만들어야 해요. 플랜이 무너지면 새로운 플랜 B를 바로 세워야 하고요. 우리가 준비되지 않으면 촬영 자체를 못 나가요. 그런 무게감 때문에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무척 많이 받죠. 장소를 찾으려 많은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영향을 받고요. 체력이 정말 많이 요구돼요. 그렇다 보니 일찍 업계를 떠나는 분들도 꽤 되죠.”
드라마 로케이션 감독인 강예성 로그이엔티 대표가 6일 오후 서울 순화동 KG타워에서 일간스포츠와 창간인터뷰를 갖고 있다. 김민규 기자 mgkim1@edaily.co.kr
로케이션 매니저들은 작품 프로덕션 기간 중 거의 초반부터 작업에 참여한다. 전체 제작진 중 감독 다음으로 대본을 가장 빨리 보고 장소 섭외를 시작한다. 드라마 제작이 평균 10개월 가량 진행된다면, 로케이션 매니저는 최소 3개월 전부터 작업을 시작한다. 한 편당 최소 2~3명의 로케이션 매니저가 참여한다. 이들은 누군가의 눈에는 평범할 것 없어 보이는 곳을 마법처럼 특별한 곳으로 만들기도 한다. 강예성 대표는 이젠 명소가 된 드라마 ‘도깨비’의 강릉 주문진 구룡포마을의 방파제를 언급했다.
“사실 그 방파제는 그냥 지나갈 때 잠깐 스쳐볼 만한 곳이에요. 평범한 방파제죠. 그런데 저는 그런 장소를 찾기 위해 당시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던 시기였어요. 이동 중에 잠시 시간을 때우려 근처 카페 2층에 잠깐 앉아 있었는데 무척이나 인상 깊었어요. 이게 카메라로 담겼을 때 어떤 풍경으로 나올지 그려보면서 장소를 보거든요. 어떻게 보면 직업병이에요.”
사진제공=tvN
강예성 대표는 20여 년간 콘텐츠 업계에 몸 담으면서 K콘텐츠의 위상과 작업 방식의 변화를 옆에서 지켜봤다. OTT 등 플랫폼 변화와 함께 노동시간 준수, 사전 작업이 더 활발해지면서 업무 환경은 상대적으로 개선됐다고 말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촬영은 진행되고 대본은 또 중간에 계속 나오다 보니까 프로덕션 때부터 계속 높은 강도의 스트레스를 받은 채 장소를 찾아다녀야 했다”며 “대본을 보고, 장소를 찾고, 감독의 컨펌을 받고, 그곳에 답사를 가고, 또 촬영팀과 현장 촬영 진행 상황을 체크해야 했는데 정말 쉴 틈이 없었다”고 전했다.
“스태프들 입장에서는 되게 좋은 환경이 됐어요. ‘이런 환경이 올까, 진짜?’라고 했던 게 정말 어느 정도 현실이 됐죠. 물론 몸은 힘들고 스트레스는 받고 사람한테 치이는 건 같지만 과거와 비교해 일의 순서, 매뉴얼 등이 명확해졌죠. 로케이션 매니저를 포함한 스태프들도 점점 법의 테두리 안에서 보호 받고 있는 느낌이에요. 예전에는 제 주위 사람들에게 이 직업을 추천하지 않았는데 여기에서 더 환경이 좋아지면 내 자녀들에게도 추천해주고 싶죠.(웃음)”
또 “예전과 비교해 로케이션 매니저 회사들이 소규모로 많이 늘어났다. 회사를 세운다는 건 그만큼 책임감과 연관돼 있다”며 “점점 전문화되어 가고 프로페셔널해지면 결국 콘텐츠의 질로 이어진다. 선순한 구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예성 대표가 강산도 변한다는 시간을 곱절이나 로케이션 매니저로 살아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강예성 대표는 “로케이션 매니저 모두가 똑같은 대답을 했을 것 같다”며 “매번 새로운 대본, 매번 새로운 고민, 그리고 매번 새로운 결과물이 나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흥행 여부와 상관없이 제게는 항상 새로운 경험인 거죠. 매해 최소 한 작품을 하는데 그 시간만큼 새로운 경험을 하고, 그 결과물에 시청자들의 반응이 있어요. 쉽지 않은 작업 과정이지만 작품마다 새로운 에너지를 매번 받아요. 이런 게 끊기 힘든 중독 같아요.”
드라마 로케이션 감독인 강예성 로그이엔티 대표가 6일 오후 서울 순화동 KG타워에서 일간스포츠와 창간인터뷰를 갖고 있다. 김민규 기자 mgkim1@edaily.co.kr
낯선 장소에서 겪는 새로운 경험은 개인적으로도 뜻깊은 순간이 되기도 했다. 강예성 대표는 “이 일을 하지 않았으면 가지 않았을 법한 장소들이 있다”며 “나는 동계 스포츠를 하지 않는데 새벽에 스키장 리프트를 타고 상급자 코스로 간 적 있다. 그 가파른, 가장 높은 곳에서 봤던 풍경을 여전히 잊지 못한다”고 떠올렸다.
장소를 선택하는 노하우가 따로 있을까. 강예성 대표는 “경력이 쌓이면 어떤 지역에 가면 어느 정도의 분위기인지 상대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정도”라며 “요즘은 너무 새로운 것들이 많이 생기고 사라진다. 유행이 빠르게 변하다 보니까 오히려 내가 낮은 연차인 친구들보다 트렌디한 장소를 못 찾을 수 있다”고 의외의 답변을 내놨다. 그러면서 언제나 자신이 찾은 답이 완벽한 정답은 아니라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실 저는 직감을 믿지 않아요. 제가 건방진(웃음) 5년차 때는 ‘내 직감이 맞아’라고 했는데 10년차 정도 되면 그때 직감이 틀렸다는 걸 깨닫고 좌절하기도 했죠. 결국 장소도 콘텐츠의 일부이고, 콘텐츠는 모두가 함께 나누는 것이기 때문에 더 객관적으로 좋은 장소가 있다고 여겨요.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물으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맞다고 하는 더 좋은 장소를 찾아가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