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대 그룹 총수가 일본으로 향하는 가운데 5대 그룹이 일본에 세운 법인이 45곳 밖에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대 그룹 전체 해외법인의 2% 수준에 불과하다.
한국CXO연구소는 16일 '5대 그룹 일본 법인 현황 및 일본 수출규제가 국내 전자업체 경영 실적에 미친 영향 분석'을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등 5대 그룹이 세운 해외 계열사는 2082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일본에 세운 법인은 45곳으로 5대 그룹 전체 해외법인의 2.2%에 그쳤다.
그룹별 일본 법인 수는 SK가 15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LG 14곳, 삼성 8곳, 롯데 5곳, 현대차 3곳 순이다.
CXO연구소는 또 일본의 수출규제가 오히려 국내 전자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분석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전자업종 상위 100곳의 매출은 2019년 271조3000억원에서 2021년 352조5000억원으로 약 30% 증가했다.
같은 기간 100대 전자업체의 영업이익은 16조9000억원에서 50조2000억원으로 약 200% 급증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국내 진출한 일본 기업이 역풍을 맞을 것이란 예상도 빗나갔다. 국내 법인의 지분을 50% 넘게 보유한 주요 33개 일본 기업의 매출은 2019년 10조746억원에서 11조3950억원으로 1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172억원에서 7682억원으로 49% 늘었다.
오일선 CXO연구소장은 "일본의 경제 압박 전략은 사실상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일본의 수출 규제가 한국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더 빨리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7일 일본 측 파트너인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과 함께 도쿄에서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BRT)'을 연다. '한일 경제협력 활성화'를 주제로 열릴 BRT에는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경제인들이 대거 참석한다.
한국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5대 그룹 회장이 총출동 한다. 여기에 전경련 부회장을 맡고 있는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류진 풍산 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이 BRT를 위해 일본을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