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축구대표팀 새 사령탑으로 선임된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9일 오후 경기 파주시 파주트레이닝센터(NFC)에서 진행된 취임기자회견을 위해 입장해 '코리아'가 새겨진 머플러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파주=김민규 기자 mgkim1@edaily.co.kr /2023.03.09/
위르겐 클린스만(59) 신임 축구대표팀 감독이 코치진 운영 방안을 공개했다. 세계 곳곳에 위치하면서 한국 선수들의 경기를 지켜보고, A매치 기간에 합류하는 게 기본 원칙이다.
클린스만 감독은 9일 파주 NFC에서 열린 취임 기자회견에서 “유럽에서 온 코치들과 한국인 코치로 구성할 예정이다. 차두리 실장은 FC서울에서 업무하고 있다. 테크니컬 어드바이저로 역할을 맡을 것”이라며 “K리그, K리그 감독, 한국에 대한 것을 많이 들을 수 있을 것 같다. 필요할 때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벤투 감독과 함께 했던 김영민(마이클 김) 코치도 합류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수석 코치로는 안드레아스 헤어초크, 골키퍼 코치로는 안드레아스 쾨프케, 피지컬 코치로 베르너 로이타드가 합류한다. 파올로 스트리랑가 코치도 클린스만 감독을 보좌한다.
화두에 오른 ‘재택근무’에 관해서도 답했다. 클린스만 감독은 “나는 대부분의 시간을 한국에서 보내겠지만, 유럽 베이스 코치들은 각각 나라에서 나폴리, 마요르카 경기를 보든가, 해외 관전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라며 “(A매치 기간에는) 당연히 팀에 합류해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현대 시대에는 줌이라는 걸 통해 논의와 토의를 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한국에 있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선수가 있는 곳에 (코치진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운영은 이렇게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본인의 국내 상주 여부에 관해서는 “나는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이기에 상주하는 게 당연하다고 본다. 운이 좋았던 게 축구를 통해 여러 나라 생활을 했다. 이탈리아나 프랑스, 미국에서 살기도 했다. 이번에도 운이 좋게 한국에서 살 기회가 왔다. 한국에 거주하면서 사람, 문화를 경험하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클린스만 감독은 과거 독일 대표팀을 이끌 때, ‘재택근무’ 논란이 있었다. 미국에 머물면서 당시 요하임 뢰브 코치에게 전술 등 훈련을 일임했다. 한국 대표팀에 부임하면서 우려점 중 하나였지만, ‘재택근무는 없다’고 공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