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사 사이에서 ‘자사주 소각 물결’이 일고 있다. 최근 3년여 간 11조원의 자사주가 매입된 뒤 소각됐다. 금융회사들이 이를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가 올해 자사주 소각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20년부터 현재까지(올해 공시 기준) 3년여 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 상장사의 자사주 소각 규모가 11조원에 육박한다. 자사주 소각 공시 건수는 2021년 32건에서 2022년 64건으로 두 배로 늘어났다. 금액 규모는 같은 기간 2조5407억원에서 3조1350억원으로 23% 증가했다.
올해 자사주 소각은 공시 기준으로 11건과 1조2724억원 수준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상장사들은 최근 주가 하락기와 맞물려 주주들의 주주환원 확대 목소리가 커지자 주가 부양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상장사들의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 부각됐고, 이와 관련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올해 현대차의 자사주 소각 움직임이 가장 눈에 띈다. 현대차는 올해 3154억원으로 가장 많은 자사주 소각을 공시했다. 현대차는 2022년 9월 20만원대까지 올랐지만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 악재를 만나면서 주가가 하락했다. 12일 현재 17만3400원에 머물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주주환원을 위해 배당 외에도 자사주 소각을 시행하며 주주들의 마음을 달래고 있다.
현대차 다음으로는 올해 KB금융지주가 3000억원 자사주 소각을 공시하며 뒤를 잇고 있다. 또 금융사 중에서는 신한지주와 하나금융지주도 각 1500억원의 자사주 소각을 공시했다. 이어 메리츠화재 1792억원, KT 1000억원, 콜마홀딩스 537억원, 풍산홀딩스 86억원 순이다.
상장사의 자사주 취득과 소각은 주가 하락기에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지난해 자사주 소각이 배로 늘어난 것도 증시가 2021년 고점을 찍고 약세로 돌아서자 상장사들이 주주들의 주가 부양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상장사들의 자사주 순취득액은 주가 하락기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최근 이익 소각 증가세는 주주환원 확대 차원에서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자사주 이익 소각은 기업이 이익잉여금으로 자사주를 매입 후 없애는 것으로 자본금은 줄어들지 않는다. 대신 유통 주식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주가 부양 효과가 있다.
선진국에서는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배당보다 주가 부양 효과가 큰 주주환원 정책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은 그동안 자사주 소각에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김우진 서울대·임지은 한성대 교수의 '자사주 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자사주 매입, 소각 현황을 살펴본 결과 37.44%가 자사주를 매입했다. 하지만 자사주를 소각한 기업은 2.44%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이 기업가치 제고와 지배구조 개선 측면에서 국내 상장사들도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올해 한국 증시 저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주주 권익 보호를 위해 '자사주 취득·처분 공시 강화' 등의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