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스포츠가 2023년 신년 시리즈로 '타격은 어쩔티비(feat.김태균)'를 연재합니다. 한국 야구 역사상 최고의 타자 중 하나로 꼽히는 김태균 해설위원이 연구한 야구, 특히 타격에 대한 이론·시각을 공유합니다. 이 시리즈를 통해 타격의 재미, 나아가 야구의 깊이를 독자들이 함께하길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
타자 혼자만의 힘으로 안타를 칠 수 있을까? 아니다. 타자가 할 수 있는 건 좋은 타구를 만드는 것까지다. 배트를 떠난 타구는 상대 수비력과 그라운드 상태, 그리고 운에 따라 페어볼-아웃으로 엇갈린다. 메이저리그(MLB)가 BABIP(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 인플레이 타구의 안타 비율) 지표를 꽤 중요하게 보는 이유다.
그래도 타자는 최선을 다한 뒤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좋은 타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 스윙이 필요하다. 물론 좋은 스윙을 해도 안타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건 받아들여야 한다. 그게 타격이다.
마음이 급해져서 나쁜 공을 건드리는 것이야 말로 타자가 피해야 할 일이다. 볼을 따라다니면 스윙이 망가지기 때문이다. 이게 반복되면 스트라이크존 가운데로 날아오는 공도 정확히 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래서 타자는 자신에게 맞는 메커니즘을 완성하는 게 중요하다. 아울러 자신의 스윙이 왜 이렇게 변화했는지 그 과정까지 이해한다면 어느 날 밸런스가 흔들리더라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야구에서 흔히 일어나는 장면 하나를 떠올려 보자. 무사 주자 3루일 때 가장 쉬운 득점 방법은 뭘까? 타자가 희생 플라이를 날리는 것이다. 약간 빗맞더라도 타구를 띄워 외야로 보내면 타점을 올릴 수 있다.
그러나 그게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외야 플라이를 때리는 장면보다, 내야 땅볼을 치는 경우가 내 기억에는 더 많다. 이 경우 내야수들이 정상 수비를 했다면, 3루 주자가 득점할 확률이 높다. 반대로 내야수들이 전진 수비를 했다면, 주자가 홈을 밟기 어렵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타구 발사각을 높이려고 타자가 어퍼컷 스윙을 하면 공의 윗부분을 때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지난 연재에 설명한 바 있다.
이건 타자의 의도와 다른 결과다. 땅볼로 타점을 올렸다고 그냥 넘어갈 게 아니라 왜 그랬는지 타자는 복기해야 한다. 왜일까? 타자가 막연히 생각하는 스윙 궤적이 실제 타격과 다르기 때문이다.
뜬공 치려다 땅볼 치는 이유
투구의 코스와 속도에 따라 타자는 달리 대처해야 한다. 이번 연재에서는 투구 높낮이에 따른 스윙을 설명한다.
타자는 높은 공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하이 피치(high pitch)는 다운컷, 즉 내려쳐야 한다고 흔히들 생각한다. 이런 이유로 “가뜩이나 높은 공을 어떻게 올려치느냐”고 묻는 것도 당연하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높은 공일수록 어퍼컷으로 쳐야 한다.
그 이유는 높은 공을 내리치려고 하면 (오른손 타자의 오른) 팔꿈치가 상체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이다. 도어스윙이다.
반대로 높은 공이라도 올려치려고 하면 팔꿈치가 몸통에 붙은 채 이동한다. 그렇게 해야 내 몸에 만든 ‘벽(오른쪽 타자의 왼 어깨부터 골반까지)’이 무너지지 않는다. 벽이 탄탄해야 인 앤드 아웃 스윙이 가능해진다. 그래야 배트 콘트롤이 잘 된다.
내 설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타자의 스윙 궤적을 떠올려 보라. 스윙은 타자 어깨에서 내려갔다가 허리 근처에서 올라온다. U자 형태의 궤적이 너무 크면 곤란하다. 무리하게 투구를 들어 올리려다가 빗맞기 십상이다. 빠르게 내려갔다가 날카롭게, 살짝 올라오는 스윙 궤적을 만들어야 한다.
한화 이글스와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던 이범호 선배가 이 스윙을 정말 잘했다. 가슴 높이로 날아오는 공을 거의 놓치지 않았다.
반대로 낮은 공은 어떻게 쳐야 할까? 이 질문에 대부분의 타자들은 “어퍼컷 스윙으로 쳐야 공을 띄울 수 있다”고 답할 것이다. 나는 반대로 생각한다. 낮은 공일수록 다운컷으로 임팩트 해야 한다. 그 다음에 공을 걷어 올려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모든 스윙은 내려갔다가 올라온다. 그러니까 조금이라도 빨리 다운컷 궤적을 만드는 게 배트와 투구 궤적이 만나는 콘택트 존을 넓게 확보하는 길이다. 그렇지 않고 낮은 투구를 찍어 쳐야 한다고 의식한다면 공의 윗부분을 때릴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 땅볼이다.
투구 높낮이에 자세로 대응한다
투구의 높낮이에 대응하는 방법은 또 있다. 타자의 준비 자세를 바꿔서 대처할 수도 있다.
『타격의 과학』에 따르면 테드 윌리엄스는 원래 상체를 꼿꼿이 세우고 방망이를 수직으로 든 채 스윙을 시작했다고 한다. 이런 폼으로 타격하면 플라이볼이 너무 많이 나왔다. 그래서 윌리엄스는 허리를 조금 숙였다고 한다. 그랬더니 스윙이 간결해지는 느낌을 받았고, 덕분에 타격 정확성이 높아졌다고 썼다.
이게 무슨 의미일까 한참 고민했다. 타자의 눈높이와 타자가 좋아하는 코스는 상관관계가 있다. 상체를 세우면, 즉 눈높이가 높으면 하이 볼이 잘 보인다. 반대로 허리를 숙여 무게 중심을 낮춘 타자라면 낮은 공에 잘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
초창기 윌리엄스처럼 허리를 곧게 편 자세에서는 높은 공이 잘 보였을 것이다. 그래서 높은 공에 방망이가 쉽게 나갔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하이 볼에 잘못 대응하면 공의 밑 부분을 치게 된다. 그러면 타구는 힘없이 뜬다. 이런 스윙을 반복하면 (우타자의 오른쪽) 팔꿈치가 퍼져 나오기 십상이다. 앞서 설명한대로 인 앤드 아웃 스윙에 실패하는 것이다.
윌리엄스가 찾은 해법은 무게 중심을 낮추는 거였다. 그가 주로 노리는 코스가 스트라이크존 상단에서 중간으로 약간 내려온 것이다.
나도 프로 초창기 시절 상체를 세우는 편이었다. 당시 팀 타선이 강할 때여서 나는 내 존에만 대응하면 충분했다. 장타도 많이 칠 수 있었다.
그러나 내가 나이가 들고, 팀 타선이 약해진 시기에는 그럴 수 없었다. 정확한 타격이 더 필요했던 것이다. 내 무게 중심은 점점 낮아졌다. 무릎을 굽혔고, 허리도 약간 숙였다. 내가 낮은 공을 다운컷하는 느낌으로 타격하라고 말한 이유는 로우 피치에 대응할 준비를 잘하기 위해서였다.
또 자세를 낮추면 하이 패스트볼이 더 높아보였다. 내 스윙으로는 높은 공을 건드려봐야 강한 타구를 만들 확률이 떨어진다는 걸 알았다. 그래서 난 아예 하이 볼에 스윙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성공률이 떨어지는 승부를 굳이 할 필요가 없다. 이범호 선배와 정반대 스타일이었던 거다.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또 있다. 방망이로 공 중심을 정확하게 때린다고 해서 좋은 타구가 나오지 않는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정타(正打)란 점이 아니라 선의 개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임팩트 직전까지의 스윙 궤적과 스피드가 중요하다. 공을 때리는 포인트도 정확해야 한다. 그리고 배트가 투구 힘에 밀리지 않고 전진하면서 살짝 올려쳐야 한다. 이 프로세스가 잘 이뤄져야 진짜 정타가 된다.
이를 위해서는 타자의 중심 이동과 허리 회전 등 여러 요소들이 작용한다. 내가 원하는 공을 완벽하게 때리는 ‘원샷 원킬’의 스윙 위에서 코스별 타격이 이뤄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