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결승에 나선 우상혁. 사진=AFP 연합뉴스 2022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를 지켜본 이들은 우상혁(26·국군체육부대)을 응원하면서도 우승자 무타즈 에사 바심(31·카타르)의 실력에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었다.
바심은 지난해 도쿄올림픽 남자 높이뛰기 공동 금메달(이탈리아의 지안마르코 탬베리와 공동 수상)의 주인공이다. 세계선수권에서는 2017년부터 3개 대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그의 개인 최고기록(실외 대회 기준)은 2m37로, 우상혁(2m35)을 앞선다.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메달리스트 우상혁, 바심, 프로첸코(왼쪽부터). 사진=EPA 연합뉴스 키 1m89㎝, 몸무게 65kg인 바심은 작은 얼굴과 가늘고 길쭉한 팔다리를 타고난 점퍼다. 그는 올 시즌 실내 세계육상선수권(3월)과 다이아몬드리그 개막전(5월)에서 모두 우승을 우상혁에게 내줬다. 우상혁이 이번 세계선수권 우승을 꿈꿨던 이유다.
그러나 세계선수권 결승에서 바심은 노련함과 여유를 보여줬다. 마치 올 시즌 내내 이 무대를 위해 힘을 비축했다는 듯이 결승에서 가볍게 날아올랐다. 우승 기록인 2m37을 넘을 때도 여유가 있었다.
우상혁은 이번 대회에서 바심의 벽이 아직 높다는 것을 다시 느껴야 했다. 경기를 생중계한 이진택 SBS 해설위원은 바심의 경기를 보면서 “비거리가 긴 게 장점이다. 공중에서 멀리 날아갈 수 있어야 더 높이 뛸 수 있다. 우상혁도 바심 만큼 비거리를 늘리기 위해 연습 중”이라고 설명했다.
아직은 바심이 우상혁보다 한 수 위라는 게 증명됐지만, 우상혁이 다음 타깃으로 삼고 있는 2024 파리올림픽 때는 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 2년 뒤 바심은 만 33세가 된다. 높이뛰기 세계신기록 보유자이자 전성기 시절 적수가 없었던 하비에르 소토마요르(쿠바)도 33세 나이에 참가한 2000년 시드니올림픽 때는 은메달에 머물렀다.
반면 우상혁은 지난해 도쿄올림픽에서 4위를 기록하며 세계 메이저 무대 첫 두각을 나타냈다. 이어 이번 세계선수권대회 은메달, 실내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 등 따내면서 경험과 자신감을 쌓아가고 있다.
내년에는 3월 중국 난징 세계실내선수권, 8월 헝가리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이 예정돼 있다. 2024년 7월에는 파리올림픽이 개막하고, 2025년에는 도쿄에서 세계선수권대회가 열린다. 우상혁은 "다음 대회에서는 금메달을 따내겠다"고 각오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