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 기세가 거세자 패션·뷰티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엔데믹(풍토병화) 전환과 함께 리오프닝에 따른 내수 및 수출 정상화에 큰 기대를 걸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일주일 사이에 신규 확진자 수가 2배로 증가하는 '더블링' 현상이 계속되면서 모처럼 만의 좋은 분위기가 다시 가라앉지 않을지 우려하는 모양새다.
1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만9196명이었다. 이는 지난주(1만8504명)의 2.12배이자 2주일 전인 지난달 30일(9591명)의 4.09배에 달한다. 중대본은 외부 활동이 늘어나고, 여름휴가 시즌이 시작되면서 코로나19 유행이 다시 불붙고 있다고 보고 각종 대책을 마련 중이다.
패션·뷰티 업계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지난 2년 동안 가장 큰 피해를 본 업종 중 하나로 꼽힌다. 재택근무가 늘어나고, 비대면 문화가 자리를 잡으면서 옷이나 화장품을 구매하는 수요도 크게 줄어서다. 주요 수출국인 중국과 베트남의 락다운(전면봉쇄)으로 인한 타격도 적지 않았다.
실제로 국내 화장품 간판인 LG생활건강(LG생건)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19% 줄어든 1조6450억원, 영업이익은 53% 감소한 1756억원이었다.
회사의 실적을 책임지는 화장품 사업이 특히 부진했다. LG생건의 화장품 부문은 매출액 6996억원, 영업이익 69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0%, 73% 줄어든 수치다.
아모레퍼시픽(아모레) 역시 올 1분기 매출 1조2628억원, 영업이익 171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9.0%, 영업이익은 13.4% 하락했다.
대표 토종 패션기업인 패션그룹형지(형지)와 세정 등도 지난 2년 동안 길고 긴 부진의 늪을 통과했다. 패션 업체 관계자는 "형지와 세정은 브랜드 특성상 가두점이 많은 구조다.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고, 소비가 위축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했다"고 말했다. 형지의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2년 간 영업손실은 772억원이었다. 세정도 같은 기간 408억의 손실을 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코로나19 재확산과 관련해 과거처럼 일상을 통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백신 4차 접종 대상자를 확대하고 확진자 격리 의무를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는 점은 그나마 다행"이라면서도 "패션·뷰티 업계가 리오프닝 기대감에 들떴는데 만에 하나 소비 위축으로 다시 연결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