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빅히트 뮤직 제공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중국 아미(팬덤)들이 당국의 한류 단속을 비웃듯 새 앨범을 45억원 어치나 사재기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18일 “중국 당국의 한류 단속에도 방탄소년단(BTS) 새 앨범에 대한 현지 팬들의 구매 열기가 뜨겁다”고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의 멤버 뷔의 중국 웨이보 팬클럽 ‘뷔 바’는 ‘프루프’의 발매 당일인 10일에만 17만 장 이상 구매했다. 총 349만 달러(약 45억원)어치의 규모다. ‘뷔 바’ 회원들은 일심단결해 앨범 공동 구매 영수증을 게시하며 ‘구매 인증’을 했다.
앞서 ‘뷔 바’가 2019년 진행한 BTS 앨범 공동 구매 규모(175만 달러)보다 두 배나 많은 금액이다. 또 중국에서 구매한 ‘프루프’ 앨범 전체 규모의 40%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뷔 바’는 웨이보에 178만6000명의 팔로어를 보유하고 있다.
음반 판매량을 집계하는 한터차트에 따르면 ‘프루프’는 발매 첫 일주일 동안 총 275만 장이 팔렸다. 팬들이 앨범 발매 첫날 구매에 화력을 모으는 것은 첫날 판매량이 스타의 인기를 보여주는 지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한 중국 아미는 SCMP에 “중국 정부가 단속한다고 중국 내 한류 팬들이 열정을 잃지 않았다. 오히려 최근 더 많은 사람이 한류에 끌리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아미는 2015년부터 웨이보를 통해 방탄소년단의 앨범을 한국에서 공동 구매하는 데 4번 참여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K팝 그룹의 TV 출연을 금지해도 모두가 SNS를 통해 모든 것을 이야기한다”고 덧붙였다.
SCMP는 “‘뷔 바’의 역대 최대 규모 앨범 구매를 비롯한 K팝 앨범의 중국 수출 증가는 2016년 중국이 한국의 사드 배치 이후 한류와 그 팬덤을 단속해 온 흐름과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의 한류 단속 사례는 셀 수 없이 많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9월 멤버 지민의 팬클럽이 불법 크라우드펀딩을 했다고 적발하면서 웨이보에서 22개의 K팝 팬클럽 계정을 일정 기간 정지시켰다. 또 방탄소년단의 그룹 활동 잠정 중단 소식도 중국 본토 언론에서는 크게 다뤄지지 않았다. 대부분 단신으로 전했고 웨이보의 인기 검색어 순위에도 오르지 않았다.
‘뷔 바’에서 ‘프루프’ 앨범을 7장 주문한 또 다른 아미는 “정부의 단속은 중국 K팝 팬들에 별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고 소신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