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SK그룹 본사. 연합뉴스 올해 4대 그룹의 시총금액에서 SK와 삼성, 현대차가 웃은 반면 LG만 울상을 지었다.
19일 금융정보업체 인포맥스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으로 SK그룹의 시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SK 그룹 상장사 27개 종목(우선주 포함)의 시총 합계는 211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69조2000억원)보다 42조5000억원(25.13%)가량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SK바이오사이언스(19조7000억원)와 SK아이이테크놀로지(12조3000억원)가 상장하면서 SK그룹의 시가총액이 크게 늘었다. SK하이닉스도 1년 새 시총이 4조원(4.64%) 가까이 증가했고, SK이노베이션(19.74%), SK(7.69%), SK텔레콤(42.95%) 등도 시총이 불어났다. 반면 SK바이오팜(-40.89%), SK케미칼(-43.48%) 등은 주가가 하락했다.
삼성그룹 23개 상장사의 시총은 지난해 말 724조6000억원에서 8조원(1.10%)가량 늘어난 732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 주가가 연중 저점 대비 일부 회복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최근 크게 뛰면서 700조원선을 회복한 상태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시총이 작년 말 대비 8조7000억원(15.98%) 증가한 63조원대를 기록했다. 16일 종가 기준으로 네이버를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시총 3위까지 뛰어올랐다. 삼성그룹주에는 시총 1위 삼성전자와 3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포진됐다.
또 삼성SDI(8.76%), 삼성화재(12.80%), 삼성엔지니어링(71.32%) 등의 시총이 증가했다. 반면 삼성물산(-15.22%), 삼성생명(-14.54%), 삼성에스디에스(-11.20%), 호텔신라(-7.53%) 등은 감소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상장사 17곳의 시총은 작년 말보다 17조200억원(14.47%) 증가한 136조원으로 집계됐다. 기아(37.34%)를 비롯해 현대차(9.11%), 현대제철(8.33%), 현대건설(31.18%), 현대오토에버(5.26%), 현대위아(43.55%) 등 13개 종목의 시총이 증가했다. 하지만 현대모비스(-4.11%), 현대글로비스(-10.60%) 등 4개 종목의 시총은 감소했다.
LG그룹(134조6천억원)만 4대 그룹 중 시총 규모가 줄었다. 시총이 9조4000억원가량 줄면서 134조6000억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로 인해 현대차에 밀려 그룹 시총 4위로 내려왔다.
LG화학 시총이 결정적이었다.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 리콜 여파로 LG화학은 시총 규모가 8조4000억원(-14.44%)이나 줄었다. LG전자(-3.70%), LG생활건강(-29.94%) 등도 쪼그라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