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한국 부자들이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부동산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59.0%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KB금융그룹이 14일 발간한 '한국부자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부자는 올해 금융자산 투자금액을 전년보다 늘리고 부동산자산과 기타자산 투자금액은 유지하는 전략을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부자의 자산 포트폴리오는 부동산자산 59.0%와 금융자산 36.6%가 주를 이뤘다. 특히 부동산자산 비중이 계속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거주 주택의 비중이 29.1%로 가장 컸고 유동성 자금(12.6%), 빌딩·상가(10.8%), 예·적금(8.1%) 순이었다. 보고서는 "주택가격이 급등하면서 거주 주택 비중은 2019년 19.7%에서 지난해 26.1%, 올해 29.1%로 가파르게 오르고 코로나19 영향으로 빌딩·상가 비중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총자산이 많을수록 부동산자산 비중이 커지는 경향도 보였다. 총자산 50억원 이상 부자의 평균 부동산자산 비중은 68.3%로 총자산이 30~50억원인 부자(64.5%)보다 높았다.
한국 부자들은 금융자산 중에서 주식과 펀드 투자금액은 늘렸고 예·적금과 투자·저축성 보험 투자금액은 유지했다. 주식 투자금액을 늘렸다는 응답은 지난해 28.3%에서 올해 40.0%로 11.7%p 증가했다. 펀드 역시 11.8%에서 14.3%로 소폭 증가했다. 보고서는 "부자들이 주식 시장에 대한 전망을 긍정적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자산을 거치하기보다는 주식·펀드를 통해 적극적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투자 행태가 반영된 결과"라고 풀이했다.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부자들의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전체 부자 중 '향후 암호화폐 투자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3.3%에 그쳤고, '투자하지 않을 것'이란 응답이 70.0%에 달했다. 반면 주식의 경우 응답자의 31%가 투자금액을 늘릴 계획이며 58.8%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펀드, 채권, 예·적금 등 금융자산 전반에 대해서는 투자금액을 유지하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국 부자 수는 작년 말 기준 39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자산은 2618조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21.6% 늘었다. 한국 부자는 서울과 수도권에 70.4%가 집중돼 있으며 서울 내에서는 서초, 강남, 송파 등 강남 3구에 45.7%의 부자가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은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한국 부자 400명과 금융자산 5~10억원을 보유한 준부자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별도 패널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 보고서를 작성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