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리그 각 팀의 타선을 이끌어야 하는 4번 타자들이 올 시즌 유난히 고생하고 있다. 생각지도 못한 부상에 라인업에서 제외되기 일쑤고 방망이는 제대로 맞지 않아 스트레스가 크다.
━
눈병에 골절까지…아프냐, 나도 아프다
최형우. [연합뉴스] 만 38세인 최형우(KIA)는 지난 4월말 공이 잘 안 보이기 시작했다. 결국 안구 질환으로 5월은 제대로 뛰지 못했다. 6월에는 허벅지에 불편함을 느껴 또 나오지 못했다. 자주 경기에 나오지 못하다 보니 방망이 위력도 떨어졌다. 16일 현재 45경기에 나와 타율 0.218, 7홈런, 28타점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타율 1위(0.354)로 제2의 전성기를 연 것과는 정반대의 모습이다.
채은성(31·LG)은 외국인 타자 로베르토 라모스(27·멕시코)의 허리 부상으로 주로 4번 타순에 배치됐다. 타율 0.316, 12홈런, 51타점 등으로 기대 이상으로 맹활약했다. 그런데 지난달 24일 야구대표팀과 평가전 도중 스라이딩하다 오른 엄지 미세 골절상을 당했다. 오는 19일 재검진 후 문제가 없으면 배팅 훈련에 들어갈 예정이다. 다행히 그 사이 라모스를 대신해 새로 온 빅리그 출신 저스틴 보어(33·미국)가 4번으로 나오고 있다.
세대 교체를 하고 있는 한화에서 4번 타자로 자리매김한 노시환(21)은 지난 14일 NC전에서 파울 타구를 잡으려다가 흉골이 다쳤다. 미세골절이 발견돼 최소 한 달 결장이 불가피하다. 타율은 0.261이지만 팀내 가장 많은 타점(56개)을 기록하고 있는 노시환이 빠지면서 가뜩이나 헐거운 한화 타선이 더 약해졌다.
━
멘털 무너지고, 올림픽 후유증 크다
박병호. [뉴스1] 국가대표 4번 타자 출신인 박병호(35·키움)는 지난 시즌부터 심상치 않았다. 93경기에 나와 타율 0.223, 21홈런, 66타점으로 부진했다. 30대 중반이 되면서 하락세가 시작됐다는 평가가 많았다. 올해도 16일까지 64경기에 나와 타율 0.230, 12홈런, 44타점으로 활약이 미미했다. 그는 "멘털이 무너진 것 같다. 잘 안 되면서 자꾸 좋지 않았던 지난 시즌이 떠오른다"고 고백했다. 지난 15일 서울 고척돔 두산전에서 결승 솔로포를 날렸지만 예전의 위풍당당한 모습이 살아날지 지켜봐야 한다. 김재환(33·두산)도 올 시즌 타율 0.275, 17홈런, 59타점으로 파괴력있는 모습이 줄었다.
포수 4번 타자 전성시대를 연 양의지(34·NC)와 강민호(36·삼성)는 외부로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크다. 지난 시즌 NC의 통합 우승을 이끈 양의지는 올해도 타율 0.356, 21홈런, 76타점 등으로 여전히 잘한다. 그러나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장을 맡고 있는데, 소속팀 주전 선수들이 방역수칙을 어기고 코로나19에 확진되면서 질타 받았다. 거기다 도쿄올림픽에서는 리그와는 달리 타율 0.136으로 부진했다. 그는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다. 나 자신에게 실망이 크다. 비난받아 마땅하다"며 고개 숙였다.
강민호는 올해 2016년 이후 5시즌 만에 3할대 타율을 기록하면서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올스타 베스트12 팬투표에서 100만표 넘게 받아 1위로 뽑혔다. 하지만 올림픽에 다녀온 후 피로가 누적된 후유증이 크다. 지난 11일 대구 두산전에 나왔지만 3타수 무안타에 그쳤다.
━
4번에서 물러난 왕년의 4번 타자
이대호. [뉴스1] 롯데를 대표하는 4번 타자였던 이대호(39)는 올 초 롯데와 FA 계약을 놓고 지지부진하다가 2년 총액 26억원에 계약했다. "2년 내 우승하고 은퇴하겠다"는 각오를 보였고, 지난 4월 개막부터 타율 3할대 맹타를 휘두르면서 활약했다. 그러나 지난 5월 래리 서튼 감독이 부임하면서 4번 대신 3번에 기용되기 시작했다. 공교롭게도 허리 통증까지 겹치면서 힘겨운 여름을 보내고 있다.
KT에서 4번으로 뛰었던 조일로 알몬테(32·도미니카공화국)는 타율 0.271, 7홈런, 36타점으로 부진해서 결국 방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