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개막을 하루 앞둔 22일, 도쿄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는 2000여명에 육박했다. 지난 12일부터 긴급 사태를 발령했지만, 상황은 더 악화됐다.
이런 시국에 진행되는 올림픽. 대회 관계자뿐 아니라 선수촌 안에서도 매일 확진자가 속출하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22일 기준으로 87명이 나왔다.
선수들은 심신 모두 완벽한 컨디션으로 경기를 치르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다. 이 상황에서 개최국 일본이 마련한 시설과 지원은 이를 부채질하고 있다.
선수촌 입촌이 시작된 직후부터 '골판지 침대'가 구설에 올랐다. 선수들은 앉자마자 침대가 구부러지는 장면을 촬영,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게재하며 탄식했다. 이 장면을 본 세계 스포츠팬은 황당한 웃음을 지어 보일 수밖에 없었다. 뉴질랜드 수영 선수는 직접 침대를 해체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체격이 큰 운동선수들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작은 화장실 시설도 문제가 되고 있다. 1988 서울올림픽부터 선수와 지도자로 9연속 올림픽에 참가한 일가 마메도프 러시아 펜싱 대표팀 감독은 "중세 시대 같다"며 선수촌의 열악한 시설 환경을 꼬집었다.
TV와 냉장고는 유상 대여다. 다카야 마사노리 올림픽 조직위원회 대변인은 이러한 지적에 "선수단의 요청이 있어서 제공한다"고 답했다. 문제를 제기한 국가(러시아)에는 이러한 요청이 없었다는 답을 내놨다. 코로나 시국 탓에 선수촌 생활에 제약이 큰 상황. 시설에 대한 선수들의 볼멘소리가 더 주목 받는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대표팀 선수들은 호텔 등 외부 숙박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난을 자초했다. 개최지 이점이 아닌 특혜다. 이러다 보니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각 구단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미국 여자 체조 선수들은 선수촌에서 퇴촌, 호텔로 이동했다.
사상이나 정치 관련 이슈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일본 극우단체들은 며칠 전부터 한국 선수촌에 걸린 현수막 문구에 거듭 정치적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욱일기를 내걸고, 응원 도구로도 사용하는 것은 침묵한다. 대한체육회가 자체 도시락을 조달하자, 한 일본 정치인이 "후쿠시마 주민의 마음을 짓밟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올림픽 선수촌 내 식당이 받는 식자재 중에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원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현 식자재가 포함됐다. 선수단의 안전을 위한 조치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 미국도 자체적으로 음식을 공수하고 있는데, 이 소식에 대해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인사 문제도 연일 불거지고 있다. 개회식 연출을 맡은 작곡가 오야마다 케이고는 과거 장애인 학우를 괴롭힌 전력이 드러났다. 자신이 매체 인터뷰를 통해 마치 자랑하듯이 떠벌린 말이 올림픽 개막이 임박한 시점에 SNS를 통해 알려진 것. 오야마다는 결국 스스로 물러났다. 개·폐회식 쇼 디렉터를 맡은 고바야시 겐타로도 과거 유대인 학살을 희화한듯한 내용으로 공연한 장면이 알려졌다. 파문이 커졌고, 조직위는 바로 그를 해임했다.
일본 언론과 기업도 올림픽에 등을 돌린 모양새다. 도쿄타 자동차 등 스폰서 기업들이 대부분 개막전 불참을 선언했다. 기업 이미지 저하를 우려했다. 도쿄신문은 조직위가 자원 봉사자들을 방치하고 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무관중 진행이 결정된 탓에 자원 봉사자들의 할 일이 줄어든 상황. 조직위가 다른 활동을 제시하겠다고 알린 뒤 다른 조처를 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일본 네티즌은 이전부터 무리하게 올림픽 진행을 감행한 정부를 향해 비난의 목소리를 냈다. 개막도 하기 전에 각종 문제가 불거지자 다시 들끓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올림픽 개최와 '1년 연기'를 고집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개막전에 불참한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그의 행보를 저격하는 글을 쏟아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