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격 대표팀 막내 권은지. 백발백중인 그는 도쿄 올림픽 금메달 후보다. [사진 대한사격연맹] ‘진종오 만큼 도쿄 금빛 총성이 기대되는 선수’.
도쿄 올림픽 개막을 30일 앞두고 한국 사격계는 들떠있다. 사격 대표팀 막내인 2002년생 ‘백발백중’ 권은지(19·울진군청)가 그 이유다.
권은지는 4월 10m 공기소총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1위에 올랐다. 코로나19로 국제대회에 출전하지 못해 세계 58위에 불과하지만, 5차례 선발전에서 홀로 630점을 넘겼다. 비공인 세계기록(635.3점)도 세웠고, 8개 대회 연속으로 630점을 넘겼다.
10m 공기소총은 샤프심 굵기인 0.5㎜ 표적을 조준하는 종목이다. 본선에서 모두 60발을 쏜다. 60발 전부를 만점(10.9점)에 꽂으면 654점이다. 630점을 넘겼다는 건 평균 10.5점을 쐈다는 거다. 본선 상위 8명이 결선에 오르는데, 그 정도면 금메달 페이스다. 권은지는 최근 전화 인터뷰에서 “탄이 표적 가운데 탁탁 꽂히는 느낌”이라며 웃었다.
권은지는 충북 보은여중 1학년 수행평가로 처음 총을 잡았다. 첫 시도에서 99점(100점 만점)을 쐈다. 당시 학교에는 소총밖에 없었고 자연스레 주 종목이 됐다. 그는 “처음에는 흥미를 못 느꼈는데, 아빠가 ‘금 따면 치킨 사준다’고 해서 계속 쐈다”고 소개했다. 그렇다고 아버지가 사격을 한 건 아니다. 그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공사(公社)에 다닌다”며 웃었다. 태극마크를 달자 고향인 보은군 장한면에는 ‘보은의 딸’이란 플래카드도 내걸렸다.
사격 대표팀 막내 권은지. 백발백중인 그는 도쿄 올림픽 금메달 후보다. [사진 대한사격연맹] 꽃길만 걸은 건 아니다. 권은지는 고교(보은정보고) 3학년 때 슬럼프에 빠졌다. 그는 “잘해야 한다는 부담이 마음을 갉아먹었다”고 고백했다. 이효철 울진군청 감독이 지난해 권은지를 스카우트해 ‘명사수’로 키웠다. 이 감독은 “소총을 독일제 화인베르바 스페셜(400만 원대)로 바꿨다. 코로나19로 체코의 실탄 공장이 문을 닫아 탄을 구하는 데 애를 먹었다. 은지 이력을 보내 공수했다”고 말했다. 권은지는 키 1m 56㎝로 작은 편이다. 그래도 모래주머니를 차고 무게 5㎏인 소총의 총구를 세우는 훈련을 반복했다.
권은지는 시력이 0.1이지만 안경 없이 사대에 선다. 왼쪽 눈은 안대로 가리고, 오른쪽 눈으로 총 가늠자 앞의 렌즈를 보며 정조준한다. 그는 “눈이 나빠서 총에 달린 렌즈 없이는 전광판도 안 보인다. 무념무상으로 쏜다”며 웃었다.
그는 최근 창원시장배에서 625.8점에 그쳤다. 다행히 번외게임에서는 630점대를 쐈다. 일본 선수들과 두 차례 온라인 게임에서도 모두 일등을 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강초현. [중앙포토] 한국 여자소총은 2000년 시드니올림픽의 강초현(39) 은메달 이후 메달이 없다. 그 전에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같은 종목 금메달 여갑순(47)이 땄다. 권은지는 “여갑순 선생님은 고교생 때 금메달을 땄다고 한다. 21년 만에 노메달을 깬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