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CI. LG전자는 올해 500개 업무에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기술을 적용하며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LG전자는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18년부터 최근까지 회계, 인사, 영업, 마케팅, 구매 등 사무직 분야에 RPA를 도입했다. RPA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올 연말 기준 누적 950개 업무에 적용했다.
LG전자가 올해 RPA를 도입한 업무는 500개다. 지난해의 240개와 비교해 두 배 이상이다.
회사는 이와 관련해 국내는 물론 해외법인 직원들에게도 정기적으로 뉴스레터를 발송해 RPA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있다. 해외법인이 도입한 RPA는 지난해 159개에서 올해 322개로 크게 늘었다.
자동차부품(VS) 사업본부는 생산하는 제품에 고객사가 허용하지 않는 화학물질이 있는지 비교, 점검하는 과정에 RPA를 활용한다. 직원이 일일이 비교하지 않고도 정확하고 편리하게 해당 물질의 사용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직원들은 직접 회사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고도 사내 메신저로 쉽게 RPA에 업무를 맡길 수 있다. 해외에 물품을 배송할 때 메신저로 간단히 주문번호, 선사, 하역항 등의 정보를 전송하면 RPA가 대신 시스템에 들어가 정보를 입력하고 결과를 알려준다.
RPA가 950개의 업무를 처리하는 시간을 사람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 2만 시간이 넘는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