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혁 키움 감독은 지난달 8일 사퇴했다. 정규시즌 종료까지 12경기를 남겨 놓은 시점이었다. 당시 팀 순위는 3위(73승 1무 58패). 6위 KIA와의 승차가 4.5경기여서 포스트시즌 진출이 유력했다. 2위 KT와의 승차가 1경기라 플레이오프 직행도 가시권이었다. 구단은 "손 감독이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고 의사를 받아들였다"고 발표했다.
야구계 안팎에선 "손 감독이 경질당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계약 첫 시즌 팀을 3위로 이끄는 상황에서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난다는 게 선뜻 이해되지 않았다. 공공연하게 구단에 영향력을 행사해 온 허민 키움 이사회 의장과의 관계가 틀어진 것 아니냐는 추측이 설득력을 얻었다. 키움은 잔여 연봉을 모두 지급하겠다고 해서 논란에 불을 지폈다. 경질이 아닌 자진 사퇴의 경우 구단 측에서 잔여 연봉을 지급할 필요가 없다.
후속 인사는 더 파격적이었다. 1985년생 김창현 퀄리티컨트롤 코치가 감독대행을 맡았다. 김 코치는 2013년 전력분석원으로 입사해 줄곧 프런트 생활만 했다. 대학교까지 선수를 활동했으나 프로야구 선수 경력이 없었다. 심지어 현장 코치 경험까지 전무했다. "키움이니까 가능한 인사"라는 비아냥이 줄을 이었다. 손혁 감독 사퇴 이후 그를 보좌하던 일부 코치는 "함께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구단에 표시했다. 가까스로 갈등을 봉합해 코치 이탈 없이 잔여 시즌을 치렀지만, 불필요한 논란이 이어졌다.
키움은 김창현 감독대행 체제로 치른 정규시즌 12경기에서 7승 5패를 기록했다. 승률 5할은 넘겼다. 그러나 순위 경쟁 팀 LG와 두산에 밀려 5위로 포스트시즌(PS) 막차를 탔다. 시즌 중반 선두 NC를 승차 없이 따라붙었던 '우승 후보' 팀이 간신히 PS 무대에 턱걸이했다. 정규시즌 최종전인 10월 30일 잠실 두산전을 패한 게 결정적이었다. 이 경기에서 키움은 에이스 에릭 요키시가 등판한 탓에, 2일 열린 LG와 와일드카드 결정전(WC)에서 그를 기용하지 못했다.
창단 첫 한국시리즈 우승에 도전할 수 있는 최적기를 놓쳤다. 내년 시즌 키움은 큰 변화를 앞뒀다. 내야수 김하성은 해외 진출 가능성이 크다. 김하성은 지난해 12월 열린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해외진출) 자격이 되고 구단에서도 허락을 했다"고 공언했다. 2014년 1군에 데뷔한 김하성은 올 시즌이 끝난 뒤 포스팅(비공개 경쟁입찰)을 통해 해외진출을 할 수 있는 7년 조건을 충족한다. 이미 미국 현지 언론에서는 주목할 FA(자유계약선수) 중 한 명으로 거론되고 있다.
베테랑 서건창은 FA로 풀린다. 키움 유니폼을 계속 입을지 불투명하다. 키움은 KBO리그 구단 중 유일하게 모기업 없이 네이밍스폰서로 구단을 운영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아 살림살이에 빨간불이 켜진 지 오래다. FA 시장에서 선수를 잡을 수 있을지 물음표가 찍혔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박병호의 성적도 최근 3년간 꾸준히 하락 중이다. 올해 93경기에서 타율 0.223으로 부진했다. '에이징 커브'를 고려하면 내년 시즌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가늠하기 어렵다. 김하성을 비롯한 몇몇 선수들이 이탈할 경우 타선의 무게감이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올 시즌 개막 전 키움의 전망은 밝았다. 야구 전문가들이 꼽은 우승 후보 중 하나였다. 그러나 시즌 말미 손혁 감독의 사퇴 건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어수선한 분위기는 WC 탈락이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남겼다. 이정후는 2일 WC에 앞서 "오늘로 스프링캠프 때부터 준비했던 게 끝날 수 있다. 선수들 모두(PS를 오래) 하고 싶은 게 크다"고 했다. 그의 말이 무색할 정도로 키움의 PS는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