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재확산세가 뚜렷하면서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제약업계 최초로 글로벌 임상 3상(마지막 단계) 승인을 받은 일양약품의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김동연 일양약품 대표가 “6월 중 러시아에서 임상이 시작될 것”이라고 밝혀서다. 하지만 일양약품의 신약 슈펙트 임상을 일임받은 러시아 제약사 알팜이 임상에 착수했는지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일양약품도 진행 경과를 알지 못하는 ‘깜깜이 임상’이다.
일양약품은 오너가인 정유석 부사장의 지시로 임상과 관련한 대응을 일절하지 않고 있다. 지난 5월 28일 임상3상 승인 발표 이후 이와 관련한 어떠한 공식 답변과 자료를 내놓지 않고 있다. 일양약품은 임상 진행 여부에 대해 “임상 결과가 나오면 발표하겠다”는 자세다. 일양약품 관계자는 “러시아에 임상을 일임했기 때문에 결과가 나오기까지 경과 여부를 알 수 없고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며 “6월 중 임상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담당 부서도 모른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번 러시아 알팜과의 임상 계약 담당 부서는 일양약품 내 임상팀이다. 임상에 필요한 슈펙트를 선적하고 보낸 것도 임상팀이 도맡아서 처리했다고 한다. 이미 정제된 약품의 수출을 연구개발이 주 업무인 임상팀에서 담당하고 있다는 점도 의아하다. 일양약품의 대외적인 소통창구인 홍보팀은 6월 첫째 주로 예정됐다고 밝혔던 슈펙트의 선적 여부도 정확히 확인해주지 못했다.
A 제약사 관계자는 “보통 수출이나 계약 건은 대외업무를 담당하는 별도의 부서가 맡는다. 임상팀에서 담당한다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알팜은 러시아 및 인접국인 벨라루스 지역 내 11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경증·중등도 환자 145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알팜도 임상 착수 여부 등 경과를 일절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일양약품은 “알팜과 임상 관련 계약은 2021년 4월까지”라며 오히려 느긋하게 기다린다는 태도다.
일양약품의 ‘깜깜이 임상’ 행보는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다른 제약사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셀트리온과 대웅제약의 경우 치료제 개발 경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특히 대웅제약은 6일 인도네시아에서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 대웅제약은 코로나19 호흡기 증상 치료제(DWP710)에 대해 “임상 1상에서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올해 안에 2상을 진입할 계획”이라고 했다. 대웅제약은 합작법인인 대웅인피온과 함께 인도네시아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일양약품의 ‘깜깜이 임상’은 2015년 메르스 치료제 개발 때를 떠올리게 한다. 메르스가 유행했던 당시에도 일양약품은 메르스 치료 후보물질 유효성 입증을 발표하는 등 치료제 개발에 착수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하지만 일양약품은 그해 12월 메르스 종식이 선언되기 전까지 임상조차 들어가지 못했고, 치료제 개발은 흐지부지됐다.
그런데도 당시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일양약품의 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2015년 1월 주당 2만3700원 했던 주식은 메르스 치료제 개발 소식에 9만9900원까지 400% 이상 뛰었다.
올해 일양약품 주가도 5년 전과 비슷하다. 지난 1월 주당 2만2850원 하던 주가는 러시아 임상 3상 승인 소식에 장중 9만1300원 최고가를 찍기도 했다. 연초 대비 400%까지 주가가 껑충 뛰었다.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일양약품의 주가는 6일 6만9500원에 마감했다.
B 제약사 관계자는 “메르스 때도 그랬듯이 투명하지 않은 일양약품의 치료제 개발 행보는 주가 부양용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