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이 셧다운과 구조조정 책임을 둘러싼 진실 공방에서 각사 직원들 간의 갈등으로 번지면서 더욱 짙은 안갯속에 빠진 모양새다. 그럼에도 M&A가 파기되지 않고 있는 것은 두 항공사 나름의 이유가 분명히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 가운데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직접 양측을 만나면서 협상 분위기가 반전될지 주목된다.
제주항공이 이스타 ‘셧다운’ 지시?…갈등 고조
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셧다운과 구조조정을 지시한 사실이 공개되며 직장인 익명게시판 앱인 '블라인드'를 중심으로 제주항공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블라인드에는 “제주항공이 말한 규모의 경제 실현이 다른 회사를 없애는 것이었냐. 너무 악의적이다” “이스타포트, 수습, 인턴까지 다 자르고 셧다운까지 시켰으면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니냐” 등 제주항공을 비난하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반대로 “인수 무산되면 제주 역시 계약금 등의 명목으로 200억∼300억원의 손실이 나는데 망하라는 심보로 그 돈을 낼 회사가 어디 있느냐” 등 제주항공 편에서 반박하는 글도 올라오며 양사 직원들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인다.
앞서 3일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동조합은 3월 말 ‘셧다운’을 앞두고 이석주 당시 제주항공 대표가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에게 “셧다운을 하고 희망퇴직을 들어가야 한다. 그게 관(官)으로 가도 유리하다”고 말한 전화 통화 내용을 확보해 공개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는 이날 애경그룹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항공이 저비용항공사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위해 이스타항공을 파산으로 내몰았다”며 제주항공을 규탄했다.
김현미도 나서… M&A 결국 성사되나
M&A를 질질 끌어가던 두 항공사 간 갈등의 골이 점점 더 깊어지고는 있다. 그러나 양측 모두 M&A를 성사해야 할 이유가 있어 무산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최근 제주항공에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가의 ‘지분 헌납’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금액 등)이 담긴 2차 공문을 보냈다. 이 공문에는 M&A 문제의 핵심인 '체납 임금'을 일부 포기할 수 있다는 내용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파산 위기에 처한 이스타항공은 여전히 제주항공과의 인수를 성사시키는 것이 최선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이스타항공으로서는 현재 코로나19 사태 속 참담한 항공 시장에서 살아날 수 있는 방법이 이외에 딱히 없다.
제주항공 입장에서는 M&A가 무산되면 당초 정부가 제주항공에 지원하려고 했던 1700억원의 지급이 취소될 가능성이 크다는 데 이유가 있다.
지난달 29일 김 장관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체불 임금 문제가 해결돼야 M&A가 종결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그런 것들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책 금융이 지원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올해 정상 영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제주항공이 정부 지원을 포기하기란 쉽지 않다.
더군다나 김 장관이 직접 사태를 수습하고 나서 M&A 무산 가능성이 더욱 옅어졌다. 김 장관은 최근 채형석 애경그룹 부회장과 이상직 의원을 차례로 만나 M&A 성사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노조에 의해 제시된 쟁점 등에 대해 7일 이후 공식 입장을 밝힌다는 방침이다. 인수 포기로 가닥을 잡은 분위기이던 제주항공의 입장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