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캠프가 한창인 미국 애리조나주 메사 레드마운틴 베이스볼콤플렉스에서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는 한화 주장 이용규. 배영은 기자 한화 이용규(35)에게 지난 1년은 여기저기 구겨진 자국만 남은 '백지'나 다름없었다.
개막을 코앞에 둔 시점에 터져 나온 공개 트레이드 요청, 구단의 단호한 거절 그리고 '무기한 출전 정지'라는 중징계. 다른 누구도 아닌 '이용규'였기에 한화는 더 강한 철퇴를 내렸고, 다른 누구도 아닌 '이용규'였기에 한화는 전력에 큰 손실을 입었다. 결국 이용규도, 한화도 웃지 못한 채 한 시즌이 흘러갔다.
폭풍 같던 1년이 지나고 이용규는 다시 새로운 출발선에 섰다. 지난해 한화의 천덕꾸러기로 여겨졌던 그가 올해는 선수단의 새 리더로 금의환향했다. 한화 선수들은 돌아온 이용규에게 직접 주장 완장을 채워 주면서 말보다 더 확실한 환영 인사를 건넸다. 축 처졌던 이용규의 어깨에 다시 날개를 달아줬다.
이제 이용규는 지난해 이맘때와 아주 다른 선수가 됐다. 어떻게 한화와 함께 더 높이 날아오를지 고민하고, 어떻게 후배들을 더 단단하게 하나로 묶을 수 있을지 고심한다. 주장으로서 해야 할 역할과 선수로서 해내야 할 역할 중 그 어느 것도 포기할 생각이 없다. 미국 애리조나주 메사에서 스프링캠프에 한창인 그는 "운동하는 시간만큼은 단 한 번도 후배들에게 대충 하는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고 힘주어 말한 뒤 "올해는 시즌이 끝난 뒤 그저 '잘했다'는 한 마디를 들을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다"고 했다. 이용규는 그렇게 달라졌고, 그렇게 한결같다.
캠프에서 훈련 중인 이용규의 모습. 사진=한화 제공
-주장으로서 처음 맞는 스프링캠프다. 분위기는 어떤가. "무척 좋은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다. 전체적으로 어린 친구들이 욕심을 갖고 훈련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진 것 같아 더 좋은 것 같다."
-선수들이 직접 뽑은 주장으로 선출됐다.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젊은 선수들이 봤을 때, 저 선배 성격이라면 선수들에게 필요한 부분을 구단에 잘 전달해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한 게 아닌가 싶다. 주장이라는 자리가 딱히 다른 능력을 필요로 하는 건 아니지 않나. 다만 어릴 때부터 베테랑이 된 지금까지, 늘 운동장에서 운동하는 시간만큼은 절대 대충하는 일이 없고 늘 잘하려고 최선을 다해왔다고 자부한다. 그런 부분을 젊은 친구들이 좋게 봐준 것 같다."
-주장이 될 거라고 예상은 했나. "생각도 못했다. 후보에 올랐다는 얘기를 듣고도, 누가 뽑히든 나는 아닐 거라고 생각했다. 선수들이 후보로 올려줬는데 내 맘대로 기권하는 건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해 가만히 있었을 뿐, 주장을 하고 싶다는 생각은 해본 적 없다. 그런데 갑자기 새 주장으로 이름이 불려서 깜짝 놀랐다."
-주장 선거를 하는 과정은 어땠나. "투표 전 매니저님이 주장 후보들에게 각오 비슷한 얘기를 한 번씩 하라고 하셨다. 그때 나는 그냥 솔직하게 이런 얘기를 했다. '주장 선거는 자기와 친하고 잘해주는 선배를 뽑는 인기 투표가 아니다. 팀을 어느 정도 잘 이끌어가야 하고, 구단도 그런 선수에게 주장을 맡기기 위해 투표를 하기로 한 것이니, 신중하게 잘 생각해서 한 표를 던지라'고. 팀을 중심에 두고 장난 삼아 표를 행사하지 말라는 의미로 얘기한 것인데, 정작 내가 될 거라고는 1%도 예상하지 못했다."
-지난 한 시즌 공백이 있으니 야구로 뭔가 보여주고 싶은 한 해일 텐데, 주장이라는 중책까지 맡았다. "주장 자리에 대한 부담은 별로 없지만, 지난 1년의 공백을 생각하면 올 시즌을 치르는 데 걱정되는 점이 분명히 있다. 잘하면 다행이겠지만, 성적이 안 나오면 그 전에 받았던 질타보다 두 배 더 많은 비난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그건 당연히 감수해야 할 부분이다. 1년 못 뛰어서 경기 감각이 떨어졌다는 건 그냥 핑계만 될 것 같다. 못해도, 잘해도 그게 내 실력이다. 그저 야구를 잘할 수 있게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내 몫이다."
-어떤 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준비하나. "1년간 경기를 제대로 못 뛰었으니 타격폼을 조금 바꿔 더 잘 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전에는 폼이 좀 컸는데, 조금이나마 작아질 수 있게 신경 쓰면서 훈련한다. 어느 순간부터 스윙부터 시작해 너무 밀어치려는 경향이 생긴 것 같다. 그게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나왔어야 하는데, 억지로 하려고 했던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성적이) 좋았을 때와는 분명히 달랐다. 그래서 그 부분을 깊이 생각해보고, 습관은 어느 정도 나오더라도 최대한 달라지려고 노력하고 있다. 같은 파울이라도 더 강한 스윙에서 나오길 바라는 마음이다. 그 외에는 컨디션이 나쁘지 않다. 시즌 개막 전까지는 큰 이상 없이 잘 준비할 수 있을 것 같다."
-지난해 말 유망주들 위주로 진행되는 교육리그에 참가한 것도 이용규의 의지를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데뷔 후 교육리그에 처음으로 가봤다. 신인 시절에도 가본 적이 없었으니까. 후배들에게 뭔가를 보여주려고 했다기보다는, 그저 내 것만 열심히 하려고 했다. 솔직히 가기 전에 많은 부분을 고민했다. 내가 가도 될지, 가서 어떻게 해야 할지. 너무 어린 친구들하고 가니까 여러 가지 걱정도 됐다. 하지만 결국 다짐한 건 하나였다. 그냥 내가 하던 대로, 가식적으로 뭔가 하려고 하지 말고 항상 그라운드에서 열심히 하던 모습 그대로만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 모습을 후배들이 좋게 봐준 것 같다."
-선수단으로 복귀하면서 이런저런 염려가 많았을 텐데, 주장으로 뽑히면서 어느 정도 안심이 됐을 듯하다. "사실 1년 떠나 있는 동안에도 선수들과는 워낙 잘 지내고 있었기 때문에 복귀 후 동료들과의 관계에 대해선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선수들이 내가 괜찮을지 눈치를 보고 염려하는 게 보여서 더 미안했다. 주장을 시켜준 것은 지난해 못한 만큼 올해 그라운드 안팎에서 두 배 더 많이 뛰어달라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고맙게 생각한다."
지난 2월 '엄지 척' 세레머니를 제안했던 이용규. IS포토
-주장이 된 뒤 '엄지 척' 세리머니를 만들었는데. "지난해 나는 (TV로 야구를 보는) 시청자 입장이지 않았나. 야구팬의 한 사람으로서 중계를 보는데, 팀 전체가 한 세리머니를 함께하는 모습이 부러워 보였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선수들이 조금이나마 밝아지는 것 같기도 했다. 우리 팀이 지난 시즌 초반부터 하위권에 머물다 보니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침체돼 있었는데, 경기 중에 그런 세리머니를 한다면 다른 선수가 던지거나 칠 때도 하나가 되고 더 집중해서 경기를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았다. 또 팬들은 우리에게 열심히 응원을 해주시는데, 우리는 보답할 게 별로 없었다는 생각을 했다. 선수와 팬이 함께할 수 있는 세리머니가 생기면 팬들이 야구장에 와서 응원할 때 또 하나의 재미도 있는 것 같고, 소통할 수 있는 분위기도 조성될 것 같았다. 우리가 엄지를 들 때 팬들도 똑같이 받아주면 정말 좋을 것 같다."
-세리머니 얘기를 들은 선수들 반응은 어땠나. "처음에는 일부러 모두에게 얘기하지 않았다. (김)태균이 형을 비롯한 고참 형들에게만 '후배들이 잘하면 은근슬쩍 한번 씩 해달라'고 부탁했다. 점점 자연스럽게 선수들이 따라하게 되면 캠프 중간 쯤 '우리가 올해 이 세리머니를 하기로 했다'고 귀띔해주려고 했던 거다. 처음부터 무작정 하라고 하면 너무 억지스러울 것 같아서였다. 그런데 본의 아니게 선수들이 너무 빨리 알게 됐다.(웃음) 지금은 자연스럽게 누가 엄지를 치켜세우면 상대방도 같이 해주고 있다."
-동작을 '엄지 척'으로 정한 이유는? "그 동작에 여러 가지 의미가 많은 것 같다. '멋있다'도 되고, '잘했다'도 되니까. 너무 장난스럽게 하고 싶지는 않았고, 심플하면서도 세련되게 하고 싶은 마음에 여러 후보를 놓고 고민하다 그것으로 결정했다."
-남다른 마음으로 시작하는 시즌이다. 올해 팀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는 무엇일까. "일단 팀 전체적으로는 끈질기고 재미있는 야구를 하는 것이다. 나부터 변하려고 한다. 선수들에게 올해는 땅볼 하나를 치더라도 무조건 전력질주를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렇게 열심히 하다 보면 선수들끼리 서로 믿음이 생기면서 밝게 야구할 수 있을 것이고, 팬들도 더 야구장에 모이고 싶다는 마음이 들 것이다. 한화 야구가 많이 달라졌다는 얘기, 팀이 활기차고 밝아졌다는 얘기를 듣고 싶다. 반면 나 개인적으로는 정말 큰 욕심이 없다. 그저 시즌이 끝나고 '이용규라는 선수가 2020년에는 참 잘했다'라는 얘기를 들을 수 있다면, 그게 가장 큰 성공일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