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화 '기생충'의 아카데미 수상을 조롱하는 발언으로 미국과 한국을 들썩이게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스의 브로드무어 월드 아레나에서 가진 유세 현장에서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을 봤나. 승자는 한국의 영화다. 대체 이게 다 무엇인가?(What the hell was that all about?)"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한국과 무역에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한국 영화에 최고 작품상을 준다고? 영화가 그렇게 좋았나? 나는 잘 모르겠다"고 말하며 "다시 '바람과 함께 사라지자'를 가지고 오자. 다시 그 영화를 소환할 수 없나? 제발. 외국어영화상도 아니고? 최고 작품상을?"이라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현지 매체들이 보도하며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US투데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아카데미가 미국 영화를 선택해야했다'고 말했다"고 전했고, 버라이어티는 "트럼프가 '기생충'의 작품상 수상을 조롱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메인에 올리면서 "What the hell was that all about?"이라는 트럼프의 거친 멘트를 강조했다. 이밖에도 이번 이슈가 여러 매체의 '많이 본 뉴스' 상위권을 차지한 상태다.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의 봉준호 감독 이에 '기생충'의 북미 배급사인 네온은 공식 SNS에 '이해한다. 그는 (자막을) 읽지 못하니까'라며 여유롭게 응수했다. 트럼프의 발언 직후 비평 사이트 로튼 토마토는 SNS를 통해 '기생충'의 수상 내역 '팩트'를 게재하기도 했다. '오스카 4관왕. 골든 토마토 3관왕. 총 127개 부문 수상. 역대 작품상 수상작 중 가장 높은 로튼 토마토 지수 기록. '기생충'은 419개의 리뷰와 99%의 신선도로 증명됐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여러 차례 아카데미 시상식과 관련된 '저격 이슈'를 만들어낸 바 있다. 지난해 '블랙클랜스맨'으로 각색상을 받은 스파이크 리 감독이 "이 나라를 만든, 또 원주민을 죽인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다. 우리는 인류애를 회복해야 한다. 2020년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았다. 힘을 모아서 역사의 바른 편에 서야 한다. 사랑과 증오 사이에서 선택해야 한다. 옳은 일을 하자"고 말하자, 트럼프은 SNS에 '소감을 적은 쪽지를 읽으려면 조금 더 착한 사람이 돼야할 것이다. 대통령에게 인종 차별 발언을 하려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누가 더 좋은 일들을 했는지 따져보라. 그 어떤 전 대통령보다 많이'라고 남겼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의 차남인 에릭 트럼프가 SNS를 통해 브래드 피트의 오스카 수상 소감을 저격한 사실 또한 화제를 모은다. 브래드 피트는 반(反) 트럼프 성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에릭 트럼프 SNS "수상 소감을 위해 내게 주어진 시간이 45초라고 한다. 적어도 미 상원이 존 볼턴(전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에게 준 시간보다 45초나 많다"고 말한 브래드 피트에 대해 에릭 트럼프는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이 역대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다'면서 '아마도 미국인들은 잘난 척하는 엘리트주의자들에 의해 설교를 좋아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들 때문에 우아함이 사라졌고, 미국은 그들을 그들의 집에서 쫓아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