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가 전날 발표한 KBO 제1차 이사회 결과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선수협은 22일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KBO에서 최종적으로 제안했던 개정안과 다르게 전혀 상의 되지 않은 내용을 추가 안으로 상정하여 발표한 부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했다. 이어 "선수와 구단 모두가 수혜자가 될 수 있도록 꾸준한 만남과 소통을 통해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한 정운찬 KBO 총재의 신년사를 언급하며 '현실은 폐쇄적인 밀실 행정으로 통보하는 상황이다. 이에 선수협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필요로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전날 KBO는 사상 첫 샐러리캡 제도 시행과 FA 등급제, 리그 최저연봉 인상, 육성형 외국인 선수 도입 등을 골자로 한 KBO 규약과 리그 규정 개정안 등을 발표했다. 최대 화두인 샐러리캡은 2023년, FA 등급제는 2020년 시즌 종료 후 적용된다. 이에 따라 현행 고졸 9년, 대졸 8년인 FA 취득 기간이 2022시즌 후부터 고졸 8년, 대졸 7년으로 1년씩 각각 단축된다. 그러나 선수협이 수용 여부를 표하지 않으면서 긴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사단법인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회장 이대호, 이하 선수협)는 KBO 규약 개정 및 리그규정 개정 사항에 대하여 다년간 선수협은 이사회 회의 결의내용에 따라 KBO에서 요구했던 FA 80억 상한선, 총액 계약금 상한선 30%이하, 육성형 용병 수락 등 모든 걸 수용하였으며, 한 가지 요청사항으로 선수협에서는 오직 보상선수 제도 폐지만을 요구하였으나, KBO는 보상선수 제도 폐지는 협의 자체를 할 수 없다는 취지에 답변으로 이를 수용하지 않았고, KBO 이사회에 안건조차 상정하지 않았습니다.
2019년 11월 24일 KBO에서 제안받았던FA 제도 개정안에 대해, 선수협 이사회는 FA 취득 기간 단축 시행시기(2022년 시즌 종료 후 시행)가 너무 늦은 부분에 대해 KBO에 의견을 전달하였고, KBO는 재논의를 통해 11월 28일에 FA 취득 기간 단축 시행시기를 1년 앞당기겠다는 (2021년 시즌 종료 후 시행) 수정안을 제시했었습니다. 그에 따라 선수협은 수정된 규약과 리그규정 개정안으로 12월 2일 선수협 총회에서 찬반투표를 진행하였고, 찬반투표에 따른 결과는 찬성이 절반을넘었지만, 샐러리캡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었기 때문에 조건부 찬성의 입장을 표명하였습니다.
또한 KBO에서 제안했던 다른 규약 및 리그규정 개정안 중 최저연봉 인상률 등 아쉬웠던 부분들이 있었지만, 제도 개선을 위해 수용하였으나, KBO에서 최종적으로 제안했던 개정안과 다르게 전혀 상의 되지 않은 내용을추가 안으로 상정하여 발표한 부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합니다.
KBO 정운찬 총재는 2020년 신년사에서 "선수와 구단 모두가 수혜자가 될 수 있도록 꾸준한 만남과 소통을 통해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발표하였으나 현실은 폐쇄적인 밀실 통보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선수협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요합니다. 끝으로 선수협에서는 이번 규약 개정안을 바라보는 야구팬분들의 시각은 여러 가지로 나뉘지만 보다 근본적인 부분인 "팬과 함께 하는 야구" 그리고 "경기력 향상"에 대한 목소리가 여전히 높은 만큼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팬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개선해 나가는 선수협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