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웹툰이 올해 글로벌 거래액이 600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네이버는 24일 네이버웹툰의 글로벌 성과와 방향성을 주제로 한 서비스 밋업을 개최했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5주년을 맞는 현재 전 세계에서 수익과 방문자 모두 독보적 1위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네이버웹툰은 2014년 7월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구글플레이 앱마켓 만화 분야 수익 기준, 전 세계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지역에 서비스 중인 라인웹툰, 라인망가 등을 포함한 네이버웹툰의 월간 순방문자(MAU)는 6000만명이며, 한국·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를 비롯한 대부분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년 간 미국 라인웹툰의 MAU는 연평균 71%, 일본 라인망가는 연평균 32%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이용자 중 상당수가 10·20세대였다.
네이버웹툰에서 활동하는 전 세계 아마추어 창작자 58만여 명, 프로페셔널 창작자 1600명이나 된다. 미국의 아마추어 플랫폼인 '캔버스'에서 연재되는 작품 수는 연평균 108%씩 성장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연재 작품들에 유료 콘텐트 판매, 광고, IP(지식재산권) 비즈니스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라인웹툰·라인망가 등을 포함한 2019년 2분기의 유료 콘텐트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으며, 올 한해 글로벌 콘텐트 거래액은 60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네이버는 예상했다.
네이버웹툰은 영상 기획·개발을 담당하는 자회사 스튜디오N 등으로 콘텐트 IP 기반 비즈니스도 추진하고 있다.
웹툰 작가들의 수익도 상승하고 있다. 연재 작가의 62%인 221명이 네이버웹툰 플랫폼에서만 연간 1억원 이상의 수익을 얻고 있으며, 전체 작가의 평균 연 수익은 3억1000만원이다.
김 대표는 "네이버웹툰은 작가들이 작품을 연재하게 되면 너무나 편안하게 국경을 넘나들며 독자와 IP 파트너를 만날 수 있는 전무후무한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네이버웹툰이 디즈니 못지 않은 세계적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웹툰 플랫폼과 창작 생태계라는 두 축을 계속해서 발전시켜갈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웹툰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원천 콘텐트로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가장 높다"며 "웹툰은 영상 콘텐트의 경쟁 속에서 원천 콘텐트로서 가치를 높이며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의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