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통증은 많은 사람들이 겪는 증상 중 하나다. 실제로 201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턱관절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연간 총 39만명으로, 5년 동안 환자수가 24%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턱관절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은 평소 질기고 딱딱한 음식을 자주 먹거나, 턱을 괴는 습관, 수면 중 이갈이 등 잘못된 생활습관 또는 부정교합,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꼽힌다.
특히 ‘이갈이’는 수면장애의 일종으로 저작근의 지속적인 긴장, 수축에 의해 상악, 하악 치아가 강하게 마찰되는 것을 말하는데, 수면 중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심할 경우 지속적인 두통과 턱 통증, 어지럼증 등의 원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자를 먹을 때 턱과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이 10kg, 빵을 먹을 때 30kg, 고기를 씹을 때 50kg의 저작력이 필요하지만, 수면 중 이갈이를 할 때 가해지는 압력은 무려 100kg에 달한다. 이렇듯 매일 수면 중 100kg에 달하는 압력이 치아와 턱관절에 가해질수록 턱에서는 ‘탁’ 소리가 나는 것은 물론 턱관절장애, 두통, 어깨통증, 구역질, 이명, 불면증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턱관절통증치료로 양악수술을 진행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겁을 먹고 치료를 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치과에서는 잘못된 생활습관, 부정교합, 수면 중 이갈이로 인해 나타나는 턱관절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치아교정, 스플린트 착용 등의 치료방법을 권한다.
‘스플린트’는 수면 시 착용하는 마우스피스로, 이가 맞물릴 때의 위치를 바로잡아주고 치아 마모와 턱관절, 턱근육을 보호해준다. 이는 이갈이를 막는 것이 아닌 턱과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이 전체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치아교정’은 부정교합을 개선함으로써 턱관절교정 및 통증완화에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치아교정으로 부정교합을 개선하면 수면 중 이갈이를 하더라도 치아와 턱 근육 등 특정부위에 무리가 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발치가 진행되는 교정은 저작력을 분산시켜주는 치아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비발치로 진행되는 ‘묘교정(meaw교정)’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턱관절치료로 시행되고 있는 묘교정(meaw교정) 치료방법은 5mm 이상 교합이 벌어진 상태에서도 진행 가능하지만, 모든 치료사례에 적용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치과 전문의료기관의 정확한 검진과 상담을 통해 개인 상태에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 개인 증상과 원인에 맞지 않는 치료법을 적용하여 무리하게 진행하게 될 경우 턱 통증을 더욱 악화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이 증상에 적합한 치료법과 치료계획을 세워주는지, 턱관절교정과 치아 전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곳인지 등을 확인한 후 치료 진행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