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이시영에게 인생은 도전의 연속이다. 연기자, 복싱 선수에 이어 트럭 카체이싱이 가능한 유일한 여배우, 탁구 생활체육인, 한 남자의 아내 그리고 한 아이의 엄마까지 셀 수 없이 많은 도전을 이어왔다. 특히 영화 '언니(임경택 감독)'로 그는 여성 원톱 액션 영화의 새 장을 열었다. 사라진 동생 은혜(박세완)의 흔적을 찾아갈수록 점점 폭발하는 전직 경호원 인애 역을 맡아 주짓수와 카체이싱 등 화려한 액션 연기를 선보였다. 대역도 쓰지 않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하이힐을 신고 원피스를 입은 채 직접 뛰고 때리고 맞았다. '아저씨'의 원빈, '성난황소'의 마동석과 함께 언급되며 어깨를 나란히 했다. 스크린 공략과 동시에 브라운관도 점령했다. KBS 2TV 수목극 '왜그래 풍상씨'에서 이화상 역을 연기하며 '언니'와는 정반대 캐릭터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마음껏 막 사는 캐릭터"다. '언니'에서는 건장한 남자 10명을 물리치는 무적의 언니로, '왜그래 풍상씨'에서는 철없는 화상으로 자유자재 변신한다. 누구보다 바쁘게 사는 것 같은데 요샌 또 다른 취미에 빠져있다. 취미로 시작한 복싱으로 인천시청 실업팀에 소속돼 프로 복서가 됐고, 이에 그치지 않고 국가대표 자리까지 올랐다. 복싱을 그만두나 싶었더니 이젠 탁구가 좋아졌다. "실력이 한참 부족하다"며 손사래를 치지만 또 언제 국가대표 태극 마크를 달고 나타날지 모를 일이다. 이쯤되니 더 도전할 것이 남았나 싶을 정도. 그러나 아직도 못해본 것들이 많다고 이야기한다. 특수 레카차 면허를 따서 우리나라 모든 자동차 면허를 가지고 싶다거나, '언니'를 시작으로 더 거칠고 능숙한 액션 영화를 만들고 싶다거나, 더 좋은 아내 그리고 엄마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갖고 있다.
-이 영화를 찍기 전에 트레일러 면허까지 땄다고요. "면허를 따러 갔는데 운전면허학원 원장님이 여러 면허 수업을 다 해서 100만원에 해주겠다고 엄청 설득하는 거예요. 근데 또 거기에 넘어갔어요.(웃음) 1종 대형 면허도 땄어요. 특수 트레일러, 25톤 추레라도요. 특수 레카 면허만 못 땄어요. 그거 하나만 따면 우리나라 면허 다 따는 건데…. 진짜 힘들었어요. 이수해야 하는 시간이 정해져 있잖아요. 하루에 12시간씩 수업을 들었어요. 학원에 가면 하루에 14시간 동안 있었던 셈이죠. 아침 7시부터 11시까지, 12시부터 오후 4시까지, 5시부터 9시까지 꼬박 수업을 들었어요. 도시락 싸서 다녔죠. 하하하. 한달 정도 그렇게 수업을 받고 시험을 봤어요. 저도 제가 왜 그랬는지 지금도 모르겠어요. 근데 또 나중에 영화를 찍다보면 이런 면허가 필요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무슨 역을 맡을지 모르잖아요. 운동을 해서 그런 역할로 많이 찾아주시는 것처럼, 나중에 트럭 운전을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죠."
-트럭 카체이싱이 가능한 유일한 여배우네요. "면허가 있으니까 가능하죠. 레카차 빼고는 다 가능합니다. 특수 레카차 면허도 시간 나면 따려고요." -새로운 분야 도장깨기가 취미인 것 같아요. "제가 지금까지 선택했던 작품들을 보면 새로운 시도가 있던 것들이에요. '남자사용설명서'는 70% 정도가 CG여서 새로운 시도였죠. 어떻게 나올지 감도 안 잡혔던 영화였어요. '더 웹툰'도 당시만해도 웹툰이 실사처럼 바뀌는 장면이 처음 시도된 작품이고요. 여러가지 새로운 걸 선택하긴 하는 것 같아요. 앞으로는 액션을 더 하고 싶고요."
-무슨 일이든 끝장을 보는 성격이네요. "그렇지 않아요. 주변에서 그렇다고 하니까 '내가 진짜 그런가'라고 생각하는 거죠. 별로 심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아닌가? 하하하"
-또 새롭게 도전하고 있는 분야가 있나요. "지금 탁구를 하고 있어요. 제가 복싱을 8년 정도 했잖아요. 인천시청을 나와서 시합을 안 나가도 되는 상황이 됐는데, 이젠 복싱을 하는데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더라고요. 이상하게 무의미해졌어요. 시합을 할 때는 목표가 있으니 부족한 부분을 몇백번, 몇천번씩 연습을 하는 거예요. 그런데 그런 목표가 없으면 의지가 없어져요. 그래서 다른 운동을 찾아보다가, 탁구가 복싱 스텝이랑 비슷하더라고요. 잘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선택했어요. 탁구는 선수층이 넓어요. 7부, 8부 선수들도 진짜 잘해요. 감히 제가 넘볼 수 없는 수준이에요. 취미로만 할 것 같아요."
-탁구 영화를 찍을 날도 오겠네요. "작품으로 만나면 정말 좋겠죠. 다른 분야의 운동을 만나게 돼도 열심히 할 거예요. 아직은 탁구 말고는 발견을 못 했어요." -집순이와는 거리가 멀어 보여요. "아니에요. 아이가 있으니까 쉬는 날에는 하루종일 같이 시간 보내요. 집에만 있어요. 아무 것도 안 하고 집에만 있을 때도 많진 않지만 있고요. 지금 찍고 있는 드라마가 밤을 새야 하는 스케줄은 아니라 아이랑 충분히 시간을 보낼 수 있어요."
-아이는 많이 컸나요. "1월에 돌이에요. 여자 아이들은 돌 전에 걷는데, 아들이라 조금 느리다고 하더라고요. 돌 후에 걸을 것 같아요. 돌에 딱 맞춰서 걸으면 또 좋고요.(웃음)"
-적극적으로 육아에 참여하나봐요. "일하는 시간 이외엔 다 아이와 보내요. 사실 일하는 것보다 육아가 더 힘들어요. 하하하. 아이에게 저는 혼내는 역할이에요. 엄마를 싫어할 때도 있어요. 요샌 아이가 고집도 생기고 그러더라고요. 아이를 키운다는 건 참 신기한 일이에요. 제가 시골에서 자랐거든요. 막 자랐어요.(웃음) 아이를 키울 때도 저처럼 키우려고요. 극성 엄마가 될 가능성은 적네요."
-아이가 어떤 장래희망을 가졌으면 좋겠나요. "아이가 원하는 일을 선택하면 그게 무엇이든 응원할 거예요. 공부 안 하고 복싱을 한다고 해도 좋아요. 아이의 꿈과 선택이 중요하죠. 아, 장난스럽지만 그냥 개인적으로 아이의 장래 직업을 생각해본 적 있네요. 래퍼가 됐으면 좋겠네요. 하하하. 래퍼들 진짜 멋진 것 같아요."
-육아와 '언니' 이외의 관심사가 있나요. "드라마를 촬영 중이니까 새로운 작품에 집중하고 있어요. 극중 센 캐릭터를 맡았어요. 열심히 하고 있어요. 잘해야 하고요."
-센 캐릭터를 주로 맡네요. "드라마에서는 세더라도 액션이 있는 건 아니에요. 철딱서니 없는 캐릭터죠. 내가 언제 이런 역할을 할 수 있을까란 생각을 하면서 막 나가고 있어요.(웃음)"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사진=박세완 기자 영상=박찬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