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유행성각결막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를 당부했다.
27일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92개 안과의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과 감염병 표본 감시에 따르면, 유행성각결막염 의심 환자는 2018년 30주(7월 22∼28일) 이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 환자는 2018년 33주(8월 12∼18일) 41.3명으로 작년 동기 24.8명보다 66.5% 많다.
33주의 연령별 의사환자 비율은 0∼6세가 외래환자 1000명당 124.7명으로 가장 많았고 7∼19세 69.3명, 20세 이상 31.2명이었다.
결막은 눈(안구)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조직이며 눈의 흰자위인 구결막과 위 눈꺼풀을 뒤집거나 아래 눈꺼풀을 당겼을 때 진한 분홍색으로 보이는 검결막으로 나뉜다.
유행성각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에 감염돼 결막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양안 출혈과 안검 부종·안통·눈물·눈곱·눈의 이물감·눈부심·눈꺼풀 부종 등 증상을 보인다.
눈 분비물 접촉으로 쉽게 전파되며, 매년 가을까지 증가세를 보여 어린이집·유치원·학교 등 단체 생활을 하는 시설에선 지속적으로 주의해야 한다.
감염 예방을 위해 올바른 손 씻기를 생활화하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과 얼굴을 만지지 않아야 한다. 단체 생활을 하는 시설에선 수건·베개·안약·화장품 등 개인 용품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면 안 된다.
질병관리본부 측은 "의심 증상이 생기면 즉시 의료 기관에서 진료받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등원하는 어린이는 완치될 때까지 등원을 제한하는 등 타인과 접촉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사진> 각결막염(연합뉴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