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필립모리스(이하 필립모리스)가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를 사용한 흡연자들이 일반 담배를 사용한 흡연자들보다 신체평가지표가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으면서다. 이는 지난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발표한 유해성 조사 결과를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어서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필립모리스 "아이코스 흡연자 임상 결과 유해성 감소 확인"
필립모리스는 18일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의 임상 시험 결과,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 감소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필립모리스는 이날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근 미국에서 성인 흡연자 98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임상 연구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필립모리스는 일반 담배 흡연자 488명과 아이코스로 바꾼 흡연자 496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심혈관질환과 암·호흡기 질환 등 8가지 주요 임상 위험 지표를 평가했다.
그 결과 아이코스로 전환한 사람들은 6개월 뒤 8가지 신체평가지표(주요 임상 위험 평가 지표)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가지 주요 임상 위험 평가 지표는 계속 흡연한 사람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의 과학 연구 최고 책임자인 마누엘 피취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연기 없는 제품의 위험도 감소 가능성을 직접 평가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 연구"라며 "이를 통해 일반 담배 흡연보다 아이코스로의 전환이 담배의 위험도를 줄인다는 것을 증명하는 이정표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필립모리스는 이와 함께 최근 식약처의 유해성 평가 결과에도 해명을 요구했다.
앞서 식약처는 지난 7일 궐련형 전자담배의 니코틴 함유량이 일반 담배와 비슷한 수준이며, 타르 성분은 더 많이 들어 있다고 발표했다. 벤조피렌 등 각종 발암물질이 검출됐다는 점도 공개했다. 이를 근거로 아이코스·글로·릴 제품이 인체에 덜 유해하다는 근거는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필립모리스 측은 "타르는 담배 규제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아니기 때문에 측정할 필요가 없으며, 타르 수치는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세계보건기구(WHO)의 공식 입장이라고 주장했다. 즉 타르 함유량을 비교 대상으로 삼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특히 필립모리스는 식약처가 타르 수치를 계산할 때 제품 특성상 수분 측정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면서도 측정 방법을 보완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이에 대한 해명과 정정을 요구했다. 기업이 정부 발표에 정면으로 반박에 나선 것은 이례적이다.
식약처 "조사 방식에 문제없었다" 일축
식약처는 이 같은 필립모리스의 주장에 대해 조사 방식에 문제가 없었던 만큼 해명은 없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필립모리스 실험 방법이 객관적으로 인정받지 않아 참고할 가치가 없다고 강조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성 측정은 여러 전문가들에게 자문해 진행한 만큼 방식에 문제가 없었다"고 필립모리스의 주장을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필립모리스가 자체 개발한 시험법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인정하지 않는 방법"이라며 "시험 대상 제품을 만드는 기업에서 고안한 방법으로 시험하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이를 두고 한쪽에서는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놓고 정부와 담배 업계의 공방이 치열해지면서 애꿎은 소비자들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같은 제품을 두고 정부는 '일반 담배보다 덜 해롭지 않다'고 발표한 반면, 업체는 '덜 해롭다'고 주장하고 있는 형국"이라며 "결국 제품을 계속 사용해도 되는지를 두고 흡연자들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편에서는 궐련형 전자담배가 시중에 유통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유해성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한 관계자는 "6개월 만에 궐련형 전자담배와 주요 질환과 인과관계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건 불가능하다"며 "흡연자들 사이에서도 궐련형 전자담배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어 쉽게 결론이 날 사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