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안 하면 죽을 병에라도 걸린 것처럼 끊임없이 연기하는 배우 최전방에 있는 조진웅이다. '충무로 다작 끝판왕'이라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로 차기작에 차차기작까지 몇 편을 손에 쥔 채 공백없이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주연급으로 올라선 후 더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지금의 조진웅에게 휴식은 사치다.
열일의 행보는 흥행이라는 보상으로 돌아왔다. 최근 성적이 썩 좋지 않아 아쉬움이 차곡차곡 쌓이던 찰나 '독전(이해영 감독)'의 성공은 큰 선물이 됐다. '독전'은 누적관객수 300만 명을 돌파, 손익분기점을 가뿐히 넘긴 것은 물론 개봉 후 12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 자리를 지켜내고 있다.
연기가 주는 고통은 아이러니하게도 배우를 살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때가 많다. 배움은 늘 뒤따르기 마련. 인터뷰 내내 촬영 당시를 회상하며 몇 번이나 머리를 쥐어뜯은 조진웅이었지만 그만큼 얻은 것도 많아 보였다. 감히 헤아릴 수 없는 고민의 깊이는 늘 응원과 기대감으로 번진다.
※인터뷰①에서 이어집니다. - '독전'을 선택할 때도 고민이 많았나. "아니 없었다. 선택할 땐 아무 생각이 없었다. 어차피 권선징악이라는 답이 딱 나와 있으니까. 시나리오의 이정표도 분명했고. 소주 한잔 마시면서 '쫓아다니기 힘든각이겠는데? 나쁜 놈 잡고 때리고 죽이자! 그래 한번 가 봐!' 했던게 전부다. 그렇게 생각했을 때가 좋았지. 촬영에 들어간 순간부터는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었다."
- 이해영 감독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겠다. "감독님의 스타일이 그렇다. '한 꼬집의 연민을' '예?' '한 꼬집만 덜 상사를 존중하는 느낌' '예?' 이게 우리 대화였다.(웃음) 심지어 나는 '학원에 좀 갔다 와야 할 것 같다'고도 했다. 모든 영화가 그렇지만 자연스러움도 중요한데, 원호는 워낙 갖고 있는 집요함과 집착이 커 내가 거기에 더 빠졌던 것 같다. 뭘 하나 하더라도 형사는 이래야 할 것 같고, 무언가를 느껴야 할 것만 같아 쉽지 않았다."
- 1인3역 같은 역할이었는데. "그렇게 보이긴 했나. 다행이다. 일종의 역할놀이를 하는 것인데 원호 캐릭터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놀음이기도 하다. 나는 관객들의 심경과 같이 흘러간다. 그렇게 설계가 돼 있는 작업이었고 그게 시너지 효과로 나타나야 했다. 그래서 내가 누구와 연기를 할 때 '잘해야겠다' 생각이 든 것이 상대가 그 에너지를 못 받으면 안 되니까. 서로에게 의존했다." - 특색이 분명한 캐릭터들이었다. "(김)주혁 선배님은 당신이 어떻게 연기할지 정말 안 보여줬다. 리딩 때 '선배 어떻게 연기하실 거예요?'라고 물어도 '현장에 가 봐야 알 것 같아'라고 하셔서 기대와 궁금증이 있었다. 진짜 촬영날이 됐을 때 인사 드리고 내가 먼저 분장을 마쳐 기다리고 있는데 그냥 하림이 걸어 나오더라. 첫 대사도 그렇게 하실 줄 몰랐다. 놀라기도 했지만 그 연기를 보면서 선배가 해석한 측면들을 고스란히 다 받아들이게 되더라. 정말 좋은 가이드가 됐다. 이해영 감독에게 '계탔다, 좋겠다'고 했다.(웃음)"
- 마약 흡입신은 어떻게 연기했나. "그건 진짜 경험한 적이 1도 없다보니(웃음) 지도에 따라야 했다. 흡입할 필요까지는 없었는데 사인이 안 맞아 쫙 들이켰다. 소금이더라. 감독과 스태프들은 '그걸 흡입하면 어떡해!'라고 소리치지, 난 미치겠지, 죽는 줄 알았다. 엄청 기침하면서 화장실로 달려가 막 씻고 거울을 봤는데 얼굴은 씨뻘겋고 눈은 충혈돼 있더라. 난 내 평생 그런 눈을 처음 봤다. 진짜 약간 맛간 애? 같았다. 하하. 근데 이게 또 한 번 그 얼굴을 보니까 다른 건 성에 안 찼다. 결국 소금을 들이키면서 찍었다. 리얼 아닌 리얼 연기였다."
- 연기 욕심과 완벽주의가 만들어낸 장면이었겠다. "'건져냈다'는 표현이 맞는 것 같다. 다른 것 보다 머리 아픈데 좀 흠이다. 흰색은 소금, 파란색은 분필가루였는데 소금이 훨씬 강하다. 그런 장면을 찍을 일이 있다면 소금 추천한다. 효과가 대단하다. 분장으로는 해결이 안 된다. 이해영 감독의 연출 스타일도 한 몫 했다. 100% 만족스럽지 않으면 '오케이' 사인을 안 준다." - 다이어트도 했다. "그것도 이해영 감독 때문… 덕분에? 하하. '단단하게 보였으면 좋겠다'고 하길래 '단단하게? 안 될 것 같은데요'라고 했고, '그럼 슬림하거나'라고 하길래 '슬림?도 힘들겠는데요?'라고 했다. 처음엔 일단 그렇게 나갔다. 그럼 대부분 '그냥 갑시다!'라고 한다. 근데 이해영 감독은 아니다. 나중에는 '그래도 팔 근육 이런 부분만 하는건 쉬운거 아닌가?'라고 하길래 내가 욱했다.(웃음) 감독님은 씨름 영화도 찍어셨지만 운동은 안 하고 싫어하는 분이다. '아, 감독님이 잘 모르시는구나~ 이두박근을 만들 때는 말이죠. 이 팔만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라고 장황하게 설명했지만 내가 졌다. 화가나서 '알았어! 알았어!'라고 홧김에 말을 했고 다이어트에 돌입했다. 던져놨으니 하긴 해야지."
- 이해영 감독이 고단수다. "여러번 당했다.(웃음) 사실 몸무게 차이는 별로 안 난다. 체지방이 많이 빠지고 근육이 붙어서 몸의 밸런스가 맞아졌다고 해야 하나? 그래도 한 10kg 정도는 차이가 났던 것 같다. 물론 지금은 내 몸무게로 돌아왔고. 너~무 행복하다. 하루에 라떼 두 잔씩 쭉쭉 마신다.(웃음) 솔직히 내가 봐도 후덕한 원호는 좀 아니었다. 예민한 원호가 푸근한 '나의 아저씨'는 아니니까. 근데 그 안에서 휴머니티는 또 필요하다. 그걸 놓치지 않으려고 했다."
- 중점을 둔 부분인가. "어떤 캐릭터를 연기하든 난 그 지점을 제일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쨌든 '인간으로 살 수 있는 영역'이라는 것이 있지 않나. 원색적인 느낌으로 가는 것도 나쁘지는 않았을텐데 집요하게 집착하고 미친놈처럼 달려가지만 얘도 사람이다. 휴머니티로 인해 원호의 색깔이 흐려졌을 수도 있지만 그래도 난 그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