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로또가 지난 10년간 복권 산업을 건전한 레저 문화로 발전시켰다며 차기 복권수탁사업자 입찰에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는 현재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4기 복권수탁사업자 선정을 위한 경쟁입찰을 진행하고 있다.
복권위원회는 입찰 마감인 오는 27일 오전 10시 이후에 참여 기업의 제안서 평가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 3월 말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4기 복권수탁사업자로 선정되면 2018년 12월 2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5년간 로또
·연금·즉석·전자복권의 발행·판매 관리를 맡게 된다.
나눔로또는 4기 복권수탁사업자 입찰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박중헌 나눔로또 대표는 “지난 10년 동안 나눔로또는 복권 산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복권의 공익적 가치를 실현하고 건전한 레저 문화로 산업을 발전시켜 왔다”며 “차기 수탁사업자 입찰 준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3기 통합 복권수탁사업자인 유진기업의 계열사 나눔로또는 2007년 7월 2기 온라인복권수탁사업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복권사업을 시작했다.
그해 12월 2일 온라인복권(로또복권) 발매를 시작으로 ISO 27001
·9001 인증 획득, 세계복권협회 건전화 표준인증 WLA-RGF 1단계 획득, 로또복권 4등 당첨금 5만원 고정 시행, 당첨금 소멸시효 1년으로 연장, QR코드 도입 등을 진행했다.
2013년 3기 통합 복권수탁사업자가 되면서 세계복권협회 건전화 표준인증 WLA-RGF 2
·3
·4단계를 취득하고 세계복권협회 게임 건전화 대상을 수상했다.
나눔로또 측은 복권 기금으로 복권 구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어려운 이웃을 돕는 나눔 문화로 전환시키는 성과도 거뒀다고 자평했다.
1000원짜리 복권 1장을 구입하면 이 중 약 420원은 복권 기금으로 조성돼 저소득층 주거안정사업을 비롯해 장애인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등 소외계층의 복지 지원 등 다양한 공익사업에 사용된다.
나눔로또는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복권판매점 환경 개선 지원 사업도 진행해 왔다. 지금까지 장애인
·국가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등 536개의 판매점이 지원을 받았다.
서지영
기자saltdol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