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석이 드디어 사극 장르에 발을 담궜다. 데뷔 29년 차 배우로 산전수전 공중전까지 다 겪었지만 정통사극에 출연한 것은 영화 '남한산성(황동혁 감독)'이 처음이다. 장르를 기피한 것은 아니지만 마음을 움직이는 작품이 없었다. '남한산성'은 철옹성 같은 장벽을 가뿐하게 무너뜨렸고, 첫 시작이자 도전의 결과는 가히 성공적이다.
나라와 백성, 그리고 눈 앞의 왕을 생각하는 마음은 같다. 하지만 '삶'을 살아 숨쉴 수 있는 진짜 '숨통'으로 여기는 최명길(이병헌)과 달리, 김윤석이 연기한 김상헌은 굴욕과 치욕으로 구걸해 얻은 삶은 곧 '죽음'과 같다고 외치는 인물이다. 누구의 편도 들 수 없을 정도로 각자의 생각과 논쟁의 메시지는 강하다.
왕과 역사는 결국 최명길의 의견을 따랐다. 인조는 현재까지 비호감 상위권을 달리는 인물이 됐다. 김윤석 역시 전후 사정까지 명확히 공부하고 파악, 연기로나마 더 열정적으로 김상헌에 매달렸다. 김윤석의 김상헌이었기에 관객들은 역사적 스포를 알면서도 설득당할 수 있었고 함께 마음 아파했다. 배우의 힘이 만든 영화의 힘이다.
연기파 배우에게 '연기 진짜 잘한다'는 말은 더 이상 칭찬이 아닐 수 있지만 김윤석은 또 잘했다. 어마어마한 대사량을 깔끔하게 소화해내는 것은 물론, 이병헌·박해일 뿐만 아니라 그 외 주요 인물들과 꼭 한 번씩은 맞부딪치며 맛깔스러운 케미를 완성했다.
차기작 '암수살인(김태균 감독)' 촬영으로 지방과 서울을 오가야 하는 빠듯한 일정에도 작품을 위해, 작품을 찾아줄 관객들을 위해 어쩌면 당연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려울 수 있는 인터뷰 시간을 기어이 만들어낸 책임감까지 남다르다. 추석을 뒤흔든 '남한산성'에 이어 겨울시즌에는 '1987(장준환 감독)'로 컴백한다. 하반기 영화계는 김윤석으로 시작해 김윤석으로 끝날 전망이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남한산성' 등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을 연이어 택하고 있다. "배우가 부담될 것은 없다. 감독 부담이 훨씬 많다. 장점은 기초가 튼튼하다는 것. 아무래도 문학적으로 이미 인정을 받았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의심의 여지는 없다. 뭐 부담을 가진들 어쩌겠나. 열심히 잘 해야지.(웃음) 참고로 김훈 작가님이 '남한산성'을 관람하고 정말 좋아하셨다고 하더라."
- 작품 활동을 쉼없이 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1987'에 현재 '암수살인' 촬영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원래는 이럴 계획이 아니없다. 이렇게 나를 혹사 시키는 일은 다시는 없을 것이다.(웃음) 체력적으로도 자신 없다. 이번에는 희한하게 겹치게 됐다. 1년에 한 편, 많으면 2년에 세 편이 좋다. 물론 주연일 경우다. 조연들은 다를 것이다."
- '1987'에 대한 기대감도 남다르다. CJ를 살려줄 작품에 모두 주인공으로 나선다. "하하. 뭐 그 정도까지는 아니고.(웃음) '1987'는 다큐멘터리스러운 영화라고 생각하면 아마 한 방 맞을 것이다. 드라마틱하다. 그 영화 역시 좋은 놈, 나쁜 놈 편을 가를 수 없을 정도로 자신들이 입장이 확고하다. '남한산성' 만큼 완성도가 높을 것이다. 무엇보다 장준환 감독이 나서지 않았나. 그의 독특한 터치에 대한 믿음이 있다. 기대해도 좋다."
- 필모그래피가 다양한 배우로 유명하다. 멜로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던데. 질척한 멜로를 기대하는 팬들도 많다. "남의 눈을 괴롭힐 수는 없으니까.(웃음) 멜로를 하더라도 베드신은 절대 없는 멜로가 되지 않을까. 멜로 뿐만 아니라 어벤져스, 아이언맨 같은 것도 할 수 없다. 비유를 하자면 그렇다. 내가 주어진 조건 안에서 하고 싶은 작품을 할 수 있다면 배우로서 가장 행복한 순간 아닐까."
- 드라마도 전혀 생각이 없나. "조건이라는 것에는 연기를 할 수 있는 시간도 포함된다. 드라마는 내 연기를 미처 확인해 볼 시간도 없이 쫓긴다. 해내시는 분들을 늘 대단하게 생각하고 있다. 여건이 된다면 모르겠지만 대화를 나누면서 신에 대한 상의도 할 수 있는 쪽을 택하다 보니 결국 영화다."
- 사전제작 시스템이 점점 자리잡고 있는데, 변화가 생기지 않을까. "유행이지만 아직은 과도기라 생각한다. 영드·미드 작품을 보면 인기 많은 작품들이 많다. 한 명의 작가가 아니라 많은 작가들이 붙어 몇 회, 몇 회를 책임진다. 드라마 전체가 아니라 회마다 이러한 시스템이 정착 된다면 좋지 않을까. 퀄리티 있는 시리즈물이 나온다면 얼마든지 도전해 볼 수는 있을 것이다."
- '킹스맨: 골든 서클'과 경쟁을 펼치게 됐다. "우리나라까지 왔다는데 한 주 정도 시간을 더 줬다.(웃음) '남한산성'에 대한 믿음이 있기 때문에 관객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영화가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