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BIFF) 시즌 '비공식 명물'로 감독·배우 등 영화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해운대 포차촌이 올해는 영화제 수혜를 전혀 입지 못하고 있어 울상이다.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가 6일 개막한 가운데, 매 해 개막식 당일부터 문전성시를 이루던 포차촌은 어느 때보다 한산한 분위기가 감돌았다. 손님이 한 명도 없는 포차가 한 집 걸러 한 집씩 있는 모습은 다년간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았던 취재진에게도 생소한 풍경이었다.
전국 각지는 물론 해외에서도 몰려드는 인파로 해운대 인근 전체를 인산인해로 만들었던 부산국제영화제다. 하지만 올해는 일부 영화계 단체의 보이콧 등으로 영화제에 참석한 영화인들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 들면서 '썰렁하다'는 인상을 곳곳에서 받을 수 있다.
개막 자체를 '기적'이라 평하고 있는 만큼 이 같은 상황을 전혀 예견하지 못했던 것은 아니다. 다만 후폭풍은 생각보다 거셌다. 보이콧에 김영란법까지 현실화 되면서 대목은 더 이상 대목이 아니게 됐고, 일부 식당에서는 '김영란 법 세트'라 쓰여진 간판을 내걸어 손님 유치에 힘쓰고 있다. 최대치로 구성한 가격은 2만9800원.
포차촌에서 다년간 터를 잡고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맛집으로 유명세까지 떨친 한 포차 사장은 일간스포츠에 "오늘 행사가 끝난 것이 맞냐"고 되려 묻더니 "이렇게까지 손님이 없었던 적이 없다. 주말보다 더 안 좋다. 아예 텅텅 비어있지 않냐. 배우는 한 명도 못 봤다. 배우는 커녕 예약도 없다. 이 쪽으로는 안 오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이어 "김영란 법도 김영란 법이지만 태풍 소식도 한 몫을 한 것 같다. 다행히 이 쪽까지는 물살이 들이닥치지 않아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 아마 시간이 조금만 더 길었다면 이 곳도 파손됐을 수 있다"며 "악재에 악재가 겹친 기분이다. 오늘 뿐만 아니라 영화제 기간 내내 북적북적한 날이 있을까 싶다"고 밝혔다.
한 연예 관계자 역시 "사람이 없어도 이렇게 없을 수 있냐"며 "레드카펫도 썰렁하더니 부산 전체가 썰렁한 기분이다. 영화제 기간에는 포차가 곧 회식 장소고 또 미팅 장소였다. 이 곳에서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이 오갔고 감독·배우들이 차기작과 관련된 논의를 하기도 했다. 근데 아예 부산으로 내려오지를 않았으니 재미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고 전했다.
이번 부산국제영화제는 개막 전부터 '반쪽행사'라 불리며 아쉬움을 자아냈다. 영화는 각국에서 301편을 초청해 어느 정도는 구성을 맞췄지만 셀럽 섭외에는 실패, 영화계를 빛낸 스타들과 영화제의 진짜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영화인들은 쏙 빠진 채 축제를 치르게 됐다. 이는 낮과 밤 구별없이 똑같은 상황이다.
특히 남부지역을 강타한 태풍 치바로 인해 해운대 비프빌리지 세트가 파손되면서 주요 행사들이 모두 영화의 전당으로 옮겨져 진행되는 만큼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은 축제라는 말이 무색하게 조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개막식은 조용히 지나갔지만 영화제 2일차인 7일에는 개막작 '춘몽' 무대인사를 시작으로 이병헌이 참석하는 오픈토크 등 굵직한 행사들이 여러차례 진행된다. 활기찬 부산국제영화제 특유의 분위기가 살아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