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연맹, 2023 K리그 입장 수입 발표…‘강등’ 수원, 객단가 1위
지난 시즌 K리그의 ‘흥행’이 수치로도 입증됐다. K리그는 2013년 집계 이래 최다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프로축구 수원 삼성은 2023시즌 평균 객단가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수원은 관중 동원력부문에서 손꼽히는 FC서울, 대구FC을 제쳤다.한국프로축구연맹은 4일 2023시즌 K리그 입장수입과 객단가를 발표했다.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K리그1·2의 총 입장 수익은 344억2068만9010원이다. 이는 2013년 공식 집계 이후 최다 기록. 종전 최다 입장 수익 기록인 2019년(197억원)보다 74.72% 증가한 수치다. 2022시즌(160억원)과 비교하면 무려 115.12%나 상승했다.K리그1의 입장수입은 307억6964만710원이다. 구단별로는 서울이 가장 많은 63억1094만6400원을 기록했다. 리그 우승을 차지한 울산 HD가 42억4768만1001원, 수원 35억5600만4100원, 전북 현대가 33억 4975만8120원으로 뒤를 이었다.눈길을 끈 건 객단가 부문. K리그1 12개구단의 평균 객단가는 1만1980원이다. 이 역시 2013년 집계 이래 최다 기록이다. 구단별 가장 높은 위치에 있던 건 수원이었다. 수원은 이 부문 1만5418원을 기록, 서울(1만4676원)과 대구(1만2995원)를 제쳤다.한편 K리그2의 총 입장 수입은 36억2301만4039원이었다. FC안양이 가장 많은 7억210만3200원을 기록했다. 전남 드래곤즈가 4억4138만5280원, 부산 아이파크가 3억8591만3500원으로 뒤를 이었다.K리그2의 평균 객단가는 4972원이다. 이 부문에서도 안양이 8090원을 기록,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끝으로 연맹은 “2023시즌 입장수입이 증가한 주요 원인은 ▶K리그1, 2 합계 300만 관중을 돌파한 역대급 흥행, ▶객단가 상승 등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객단가가 상승한 원인으로는 “▶무료 입장권 및 과도한 할인 입장권을 지양하고 유료관중을 늘리려는 구단들의 노력 ▶K리그의 높은 인기에 힘입어 다양해진 금액대별 특성화 좌석 판매 등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라고 짚었다.김우중 기자
2024.01.04 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