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프로야구

[IS 피플] "하루하루가 감사하다" 김헌곤의 부진 지운 김현준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 김헌곤(34)의 부진이 심각하다. 김헌곤은 지난달 28일 LG 트윈스전부터 18경기 39타석 무안타를 기록 중이다. 연속 타석 무안타 팀 역대 2위(1위 진갑용·42타석)에 해당할 정도로 타격 컨디션이 좋지 않다. 박해민(현 LG 트윈스)의 빈자리를 채워줄 것으로 기대됐던 김헌곤이 부진하자 삼성의 중견수 자리는 무주공산이 됐다. 기회를 잡은 건 프로 2년 차 김현준(20)이다. 김현준은 지난달부터 사자군단의 주전 중견수 자리를 꿰찼다. 시즌 초반에는 대수비나 대주자로 쓰임새가 제한적이었지만, 어느새 선발 라인업의 단골 멤버가 됐다. 그의 활약이 돋보였던 건 지난 17일부터 열린 광주 원정 3연전이었다. 김현준은 세 경기 모두 중견수로 선발 출전, 타율 6할(10타수 6안타)을 기록했다. 출루율(0.714)과 장타율(0.900)을 더한 OPS가 1.614로 외국인 타자 호세 피렐라(0.111)보다 더 높았다. 1, 2번 타순에서 공격 활로를 뚫어내며 팀의 위닝시리즈(2승 1패)를 이끌었다. 특히 19일 경기에선 2타수 2안타 3볼넷 2도루로 만점 활약을 펼쳤다. 첫 세 타석에서 모두 볼넷을 골라낸 뒤 나머지 두 타석에선 안타를 때려냈다. 삼성의 리드오프가 한 경기 5번의 출루를 달성한 건 올 시즌 처음. 타석 당 투구 수도 5.2개로 많았다. 시즌 타율은 0.298(94타수 28안타)로 3할에 근접했다. 개성고를 졸업한 김현준은 2021년 신인 2차 9라운드 전체 83순위로 삼성 유니폼을 입었다. 계약금이 3000만원에 불과할 정도로 기대가 큰 선수는 아니었다. 하지만 지난해 퓨처스리그(2군)에서 타율 0.372(129타수 48안타)를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022시즌을 1군 스프링캠프에서 준비했고, 개막전 엔트리에도 이름을 올렸다. 주축 선수들이 코로나19 문제로 대거 빠지면서 기회를 잡았지만, 전력이 재정비되면서 개막 일주일 만에 2군으로 내려갔다. 두 번째 기회는 빠르게 찾아왔다. 김승규·김재혁 등을 테스트한 허삼영 삼성 감독은 4월 26일 김현준을 콜업했다. 이후 김현준은 1군 엔트리를 지키고 있다. 그는 "출전 기회를 주셔서 하루하루 감사함을 느끼고 있다. 팬들의 사랑도 많이 받아 행복하다"며 "수비는 늘 자신 있다고 말했지만, 경기에 출전하면 기본에 충실하자고 마음먹고 있다. 더 좋은 포인트에서 타격하고 볼카운트 싸움도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삼성 타선엔 비상이 걸렸다. 테이블 세터로 활약한 김지찬이 허벅지 근육 손상 문제로 지난 18일 1군에서 빠졌다. 복귀까지 최소 6주가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허삼영 감독은 김지찬이 빠진 뒤 치른 두 경기에서 모두 김현준을 리드오프로 내세웠다. 그는 "시즌 중반을 향해 가고 있는데 팬분들께서 야구장에 더 많이 찾아와 주셨으면 좋겠다. 다치지 않고 계속 팀에 보탬이 되는 선수가 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2.06.20 13:41
프로야구

'3할 타자' 안권수... 운 아니라 선구안이 달라졌다

깜짝 주전으로 성장한 안권수(29·두산 베어스)의 활약이 어디까지 이어질 수 있을까. 두산 외야진은 올 시즌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지난겨울 붙박이 중심타자 박건우(NC 다이노스)가 FA(자유계약선수)로 떠났다. 오랜 시간 백업으로 뛰었던 김인태가 4월 타율 0.322로 활약하며 새로운 주전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김인태 역시 지난 5월 1일 수비 중 햄스트링 부상으로 자리를 비웠다. 비어있던 외야 자리에서 가장 돋보였던 건 재일교포 출신 안권수다. 그는 지난 2020년 신인 드래프트 전체 99순위로 두산에 입단했다. 일본 와세다대를 졸업한 안권수는 독립리그를 거쳐 27살 나이에 프로선수가 됐다. 수비와 스피드를 인정받아 1군에 제법 오래 머물렀지만, 주전은 아니었다. 두꺼운 두산 선수층 탓에 지난 2년간 88타석 출전에 그쳤다. 올 시즌은 다르다. 4월 한 달간 타율 0.455(11타수 5안타)를 기록했다. 덕분에 외야 빈자리를 차지할 기회가 왔고, 5월 24경기에서 타율 0.298(94타수 28안타)를 기록하며 활약을 이어갔다. 어느덧 여름이 됐지만, 그의 타율은 여전히 0.306(7일 기준)에 이른다. 칭찬을 아끼는 편인 김태형 두산 감독도 안권수의 활약을 인정했다. 김 감독은 김인태가 부상에서 복귀한 후 안권수를 어떻게 기용할지 묻자 “권수는 지금 타격에서 제일 잘하고 있는 외야수"라며 “알게 모르게 잘해주는 게 아니라 대놓고 잘하는 선수”라고 치켜세웠다. 안권수의 활약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올 시즌 그의 BABIP(인플레이 타구 타율·스탯티즈 기준)는 0.379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1군 타자의 BABIP가 3할 전후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 운이 따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만 그의 선구안만큼은 '진짜'로 보인다. 안권수는 올 시즌 홈런 0개 장타율 0.324에 그치고 있지만, 출루율이 0.398에 달한다. 공을 골라내는 능력이 출중해 볼넷 비율이 13.2%에 달한다. 지난해 100볼넷을 기록했던 정은원의 올 시즌 기록(13.4%·리그 6위)와 비슷하다. 타석당 투구 수도 4.27개로 리그 1·2위인 최형우(4.31개)와 장성우(4.28개)에 근접한 수준이다. 타격의 비결도 선구안으로 추측된다. A구단 전력 분석원은 “안권수는 올 시즌 자신만의 스트라이크존(S존)을 좁혀놓고 치는데 큰 성공을 거뒀다. 히트맵을 보면 S존 중심부에 스윙이 집중되어 있다. 그 외 코스로 오는 공에는 거의 스윙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관건은 체력이다. 안권수의 6월 타율은 0.167에 그치고 있다. 지난주에는 선발 라인업에서 빠져 4경기 동안 3타수 무안타만 기록했다. 7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일주일 만에 안타를 쳐냈다. 여름을 이겨내야 안권수는 '진짜 주전'으로 도약할 수 있다. 차승윤 기자 cha.seunyoon@joongang.co.kr 2022.06.08 15:1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