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스포츠일반

열도 다시 삼킨 코로나, 올림픽 할 수 있나

도쿄올림픽 개막(7월 23일)을 꼭 석 달 앞두고 일본 정부가 도쿄 등 광역 지자체 4곳에 또다시 긴급사태를 선포한다. 빠른 속도로 재확산하는 코로나19를 통제하기 위한 조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올림픽은 정상적으로 열릴 것”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안팎의 불안감은 고조되는 상황이다. 일본 정부는 22일 코로나19 관련 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최근 확산 세가 심각한 도쿄도(都), 오사카부(府), 교토부, 효고현(縣) 등 네 곳에 대해 23일 중 긴급사태를 선포하기로 결정했다. 아사히신문은 “긴급사태 발효 기간은 도쿄도의 경우 25일부터 내달 11일 또는 16일까지이며, 오사카는 3주에서 한 달 정도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긴급사태 선포는 지난해 4월과 올해 1월에 이어 세 번째다. 코로나19는 일본 전역에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21일 신규 확진자가 5291명인데, 5000명대로 올라간 건 1월 22일 이후 3개월 만이다. 지역별로는 오사카(1242명)-도쿄(843명)-효고(563명) 순이다. 일본 방역 전문가들은 도쿄 지역 내 신규 감염자가 하루 1000명을 넘어 2000명대로 진입하면 올림픽 개최가 힘들 거라는 관측이다. 신규 확진자 중 다수가 전염률과 치명률이 높은 변이바이러스였다는 점이 더 큰 불안 요소다.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는 21일 “5월이 되면 도쿄 등 올림픽 개최지역 내 신규 확진자 대비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 비율이 90%를 넘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결정적으로 일본 내 백신 접종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20일 기준 전 세계 평균 접종률이 6.4%인데, 일본은 1%대에 그쳤다. 올림픽 개막 이전 집단 면역 형성은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코로나19 재확산 속에서 올림픽에 대한 일본 국민의 기대도 뚝 떨어졌다. 17~18일 후지뉴스네트워크와 산케이신문이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도쿄올림픽을 취소 또는 연기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74.4%에 이르렀다. 요미우리신문은 21일 “도쿄올림픽조직위가 당초 이달 중 결론 낼 예정이던 관중석 개방 비율 논의를 6월로 미뤘다”고 전했다. 조직위는 ▶무관중 ▶경기장 당 5000명 이내 및 최대 수용 인원의 50% 이내 ▶최대 수용 인원의 50% 이내 등 3가지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이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22일 “(긴급사태 선포는) 도쿄올림픽과 관계없는 조치로 이해한다”며 대회 취소 가능성을 부인했다. 그는 “올림픽선수촌은 일본 내에서 가장 안전한 장소가 될 것이다. 올림픽 참가 선수 대부분이 (개막 이전에) 백신 접종을 마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교도통신은 “일본 내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바흐 위원장의 상황 인식이 올림픽 개최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과 거리가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29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인 일본 최대 연휴 기간인 ‘골든 위크’가 도쿄올림픽 정상 개최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아사히신문은 “긴급사태를 선포하고도 골든위크 기간 중 코로나19확산 세를 막지 못하면 일본 방역 역량은 임계점을 넘을지 모른다. 이는 도쿄올림픽에 심각한 타격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지훈 기자 milkyman@joongang.co.kr 2021.04.23 08:08
스포츠일반

진퇴양난 빠진 도쿄 올림픽, 정상 개최·무관중·2032년 연기 모두 어려운 이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국이다. 취소도, 연기도, 그렇다고 선뜻 무관중 개최를 선언할 수도 없는 2020 도쿄 올림픽 얘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기세가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지난해 3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일본 정부가 올림픽을 1년 연기하기로 합의했지만 지금 추세라면 올 여름 개최도 쉽지 않아 보인다. 일본 언론은 성화 봉송이 시작되는 3월 25일 안으로 대회 개최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다. 1년 연기된 2020 도쿄 올림픽의 정상 개최 여부를 바라보는 시선은 대부분 회의적이다. 주간 아사히는 6일 온라인을 통해 공개된 올림픽 관련 기사에서 "올 여름 정상 개최는 이미 현실적이지 않다"고 단언했다. "의료 체제는 매우 부족한 상태라 자택이나 숙박시설 등에서 요양하다 사망하는 감염자도 있다. 7일까지로 예정된 긴급사태 선언 역시 연장될 전망"이라고 말한 주간 아사히는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의료진은 1만 명 정도이며, 대회가 1년 연기됨에 따라 추가로 들어간 경비는 2940억 엔(약 3조 1283억 원)이다. 이런 인력과 돈을 코로나19 대책에 쏟아 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꼬집었다. 지난달 23일과 24일 진행된 아사히 신문 여론조사에서도 재연기 혹은 중단을 원하는 목소리가 86%에 달했다. 가미 마사히로 일본 의료 거버넌스 연구소 이사장은 "지난해를 보면 알겠지만, 여름에도 코로나19 유행 가능성이 높다. 올해 (올림픽)개최는 아무리 생각해도 무리"라며 "코로나19는 겨울에 유행하고, 여름에도 작은 규모로 유행이 진행된다. 지난해 2차 웨이브는 한여름이었으며 3차 웨이브가 10월부터 일어나 지금 절정에 달했다. 여름에도 소유행이 올 수 있다는 부분을 상정하지 않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매체는 일본이 도쿄 올림픽 개최를 고집하는 이유 중의 하나로 외국인 관광객의 존재를 들었다. 주간 아사히는 "코로나19가 수습되지 않는다면 방일 외국인의 숫자도 한정된다. 무관중으로 치러질 경우 관광객은 물론 900억 엔의 티켓 수입도 없어져 세금으로 메울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미즈호 종합 연구소 경제 조사부 주임 이코노미스트인 미야지마 타카유키 역시 "2012 런던 올림픽 때 혼잡함과 숙박비 급등 등의 이유로 올림픽 이외의 목적으로 방문하는 관광객의 숫자는 오히려 줄어든 바 있다. 과거 올림픽 개최국 사례를 보더라도, 올림픽 개최와 외국인 관광객 수에는 큰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내놨다. 그렇다고 해서 1년 더 연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며, 대회를 순차적으로 연기해 2024년에 치르자는 의견 역시 받아 들여지기 어렵다. 당장 2024년은 파리, 2028년은 LA로 결정된 상황이고 특히 파리의 경우 1924 파리 올림픽 이후 1세기 만의 개최라는 점에 방점을 두고 있어 순차적 연기를 받아들일 확률은 희박하다. 영국 더 타임스의 보도처럼, 비어있는 2032년으로 연기하자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이 역시 남북한 공동개최를 노리는 한국이나 아직 올림픽을 개최한 적 없는 인도 등 경쟁자가 많고 2030 겨울 올림픽 유력 후보지가 삿포로라는 점 때문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다는 평이다. 진퇴양난의 고비에 빠진 도쿄 올림픽의 앞날은 여전히 어둡기만 하다. 김희선 기자 kim.heeseon@joongang.co.kr 2021.02.06 14:34
경제

“일본,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응급의료 체계 붕괴 조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뒤늦게 ‘긴급사태’를 선언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총력 대응에 나섰지만, 일본 각지에서 환자 급증에 따른 응급의료 체계 붕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12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 의심 환자를 받아들이는 구급병원이 줄면서 상위(3차) 응급의료 기관인 구명구급센터로 의심 환자 이송이 몰리고 있다. 이 때문에 고도의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명구급센터가 급성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중증 환자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 도쿄 지역의 구명구급센터에서 일하는 한 의사는 아사히신문에 “이송할 곳이 없어 들어오는 (의심) 환자가 확실히 늘었다”면서 4월 둘째 주 이후로 상황이 바뀌었다고 전했다. 도쿄에서는 지난 10일까지 1주일 동안 새로 확인된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900명을 넘었고, 11일에도 19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도쿄 지역의 누적 확진자 수는 2000명에 근접하고 있다. 시마즈 다케시(嶋津岳士) 일본구급의학회 대표이사는 폐렴이 의심되는 고령 환자가 10여곳의 구급의료기관에서 이송을 거부당한 사례가 있었다며 “분초를 다투는 환자의 생명을 구하지 못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드러냈다. 또 잇따라 발생하는 병원 내의 코로나 19 감염도 응급 체계에 영향을 주는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동일본지역에 있는 구급병원에서는 한 환자의 감염이 입원 며칠 후에 확인되면서 그로 인한 원내 감염이 발생해 한때 응급 외래 환자를 받을 수 없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이 병원에서 응급 의료를 담당하는 한 의사는 “원내 감염이 발견되면 곧바로 병원 기능의 저하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의료진에게 필수적인 마스크와 가운 등 보호 장비 부족도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일본구급의학회와 일본임상구급의학회는 지난 9일 “보호장비가 압도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2020.04.12 16:3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