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연예

설민석, 역사 왜곡→석사 논문 표절 의혹으로 연이은 논란

'스타 역사 강사' 설민석이 석사 논문 표절 의혹에 휩싸였다. 역사 왜곡 논란 후 연이어 불거진 논란이다. 디스패치는 29일 설민석의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을 입수했다고 밝히며 그의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보도에 따르면 설민석의 석사 논문을 카피킬러(표절 검사 소프트웨어)에 의뢰한 결과, 52%의 표절률을 보였다. 디스패치는 일부 문장은 '복붙'(복사+붙여넣기)했고, 일부 단락은 '짜깁기'를 했다고 지적했다. 2008년 대학원생 A씨가 제출한 석사 논문 '한국 근현대사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과 2010년 설민석이 제출한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서술에 나타난 이념 논쟁연구'와의 동일성도 언급했다. A4용지 1장이 넘는 분량이 A씨와 100%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스패치는 "설민석의 논문은 총 747개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00% 표절률을 기록한 문장은 187개, 표절 의심 문장은 332개다. 약 40명의 눈문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블로그 포스팅을 출처 없이 활용한 경우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단국대학교에서 연극영화과를 전공한 설민석은 2010년 연세대 교육대학원에서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서술에 나타난 이념 논쟁연구'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수험생들을 위한 역사 강의로 유명해진 뒤 TV로 진출한 그는 MBC '선을 넘는 녀석들' 시리즈를 통해 '쉽고 재미있는 역사 강사'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최근 tvN 예능 '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를 시작했지만, 연이은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이면서 지난 22일 자신의 유튜브를 통해 사과했다. 앞서 가수 홍진영은 조선대 석사 논문 '한류문화 콘텐츠의 해외 수출방안'이 표절(카피킬러 기준 표절률 74%)로 판단돼 석박사 학위 취소 처분을 받은 바 있다. 홍신익 기자 hong.shinik@joongang.co.kr 2020.12.29 16:15
연예

'논문 표절 논란' 홍진영, MBC '안다행' 하차···'미우새'도 촬영 계획 無

논문 표절 논란에 휩싸인 트로트 가수 홍진영이 MBC 예능 '안싸우면 다행이야'에서 하차한다. 15일 MBC 예능 프로그램 '안싸우면 다행이야' 측은 "향후 출연진에 일부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홍진영은 하차한다"고 밝혔다. 앞서 15일 조선대학교에 따르면 대학연구윤리원 산하 연구진실성위원회는 홍진영의 석사 논문을 표절로 판단했다. 대학원위원회는 홍진영 측에 오는 18일 오후 5시까지 의견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후 홍진영 측 입장 등을 취합하고 오는 23일 표절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표절로 결론이 날 경우, 홍진영의 석박사 학위는 자동 취소된다. 지난 10월 첫 방송된 MBC '안싸우면 다행이야'에서 스튜디오 MC로 출연 중이던 홍진영은 지난달 석사 논문 표절 논란 이후 프로그램에서 통편집됐다. 지난달 2일 발표한 신곡 '안돼요' 활동을 전면 중단한 데 이어 방송가에서도 결국 불명예 하차를 맞게 됐다. 오랜 시간 고정 출연 중이던 SBS 예능 '미운 우리 새끼' 역시 추가 촬영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신익 기자 hong.shinik@joongang.co.kr 2020.12.15 15:09
연예

홍진영, 석박사 논문 표절로 잠정 결론…18일까지 의견 제출 요구

15일 조선대 대학연구윤리원 산하 연구진실성위원회는 홍진영의 논문을 검토한 결과 표절로 판단이 된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홍진영 측에 18일 오후 5시까지 의견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했다. 대학원위원회는 홍진영 의견을 듣고 다음 주께 표절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기로 했다. 석사 논문이 표절로 결론 나면 홍씨의 석박사 학위는 자동으로 취소된다. 연구진실성위원회가 표절로 판단한 바, 학위 취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홍진영은 2009년 '한류를 통한 문화콘텐츠 산업 동향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조선대 무역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에는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지만 최근 홍진영의 석사 논문을 표절 심의 사이트 '카피킬러'로 검사한 결과 표절률이 74%로 나왔다는 보도가 있었다. 부친이 조선대 교수로 재직해 학위 취득에 영향을 준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일었다. 논문 표절 등의 의혹이 불거지자 홍진영은 자신의 SNS에 지난 날의 억울함과 속상함을 토로했다. "지난 10여 년을 땀과 눈물을 쏟으며 열심히 살았지만 이런 구설에 오르니 저 또한 속상하다. 이 모든 게 저의 불찰이고 잘못"이라며 석박사 학위를 반납한다고 밝혔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20.12.15 10:03
연예

홍진영, '엄친딸' 이미지로 뜨고 지네

'박사 가수' 홍진영의 엘리트 이미지가 한순간에 무너졌다. 표절 논란에 더한 학위 반납 입장문, 그리고 활동 강행까지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홍진영은 2009년 제출한 조선대학교 무역학과 석사 논문 '한류를 통한 문화콘텐츠 산업 동향에 관한 연구'가 표절이라는 의혹을 받았다. '카피킬러'라는 표절 심의 사이트로 검사한 결과 표절률이 74%에 달했고 인용표기도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제5장 요약 및 결론 부분은 2008년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에서 발표한 '한류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종합조사연구'와 내용이 거의 같았다. 이에 소속사는 "표절이 아닌 인용이었다. 2009년에는 인용 내용과 참고 문헌 등 주석을 많이 다는 것이 추세였고 많은 인용이 있어야 논문심사를 통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카피킬러 시스템을 적용하면 표절률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 해당 검증 방법은 시기적 오류가 있는 검증이며 본 논문은 홍진영의 창작물로서 타 논문을 표절한 일이 전혀 없었음을 말씀드린다"면서 관행을 이유로 들었다. 당시 논문 심사를 맡았던 교수의 의견을 전달한 내용이라고도 강조했다. 2009년은 홍진영이 '사랑의 배터리'를 내고 트로트로 전향했던 시기다. 이후 여러 방송과 인터뷰에서 고학력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고, '트로트계 엄친딸'로 화제를 모았다. "부모님이 과에서 장학금을 타면 서울에 보내주겠다고 해서 (대학원 공부를) 하게 됐다. 나는 가수가 되고 싶다는 집념 때문에 그렇게 했던 거다" "'돈 주고 박사 땄다', '아빠가 대신 써준 거 아니냐'라는 오해 때문에 스트레스 많이 받았다. 요즘 세상이 어떤 세상인데. 내가 왜 거짓말을 하겠나. 어차피 가수 활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강단에 설 생각도 없다" 등 자신의 학력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 차례하며 '엄친딸' 이미지를 쌓아올렸다. 하지만 홍진영의 스승인 조선대학교 무역학과 전 교수 A씨는 "수업에 충실했다고 하는데 학교에서 홍진영을 본 적이 거의 없다. 적어도 내 수업은 그랬다. 가수 생활을 병행하는데 광주까지 자주 올 수 있었겠나"라면서 홍진영의 논문은 모두 가짜라고 주장했다. "지금이라도 양심을 걸고 밝히고 싶다. 홍진영의 석사 논문 표절률은 74%가 아니라 99.9%다. 학부와 석·박사까지 모든 과정의 학점을 준 경험에 비춰봤을 때, 해당 논문들은 모두 거짓이라고 증언할 수 있다"고 고백했다. 또 "홍진영의 부친이 같은 학교 교수라 입김이 작용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고 폭로했다. 표절 의혹이 '아버지 빽' 논란으로까지 번지자 홍진영은 석박사 학위를 반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10여년을 땀과 눈물을 쏟으며 열심히 살았지만 이런 구설에 오르니 저 또한 속상하다. 2009년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을 취득했다. 시간을 쪼개 지도 교수님과 상의하며 최선을 다해 논문을 만들었다. 당시 문제없이 통과되었던 부분들이 지금에 와서 단지 몇%라는 수치로 판가름나니 제가 어떤 말을 해도 변명으로 보일 수밖에 없어 답답하고 속상할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이 또한 제가 책임져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생각하니 어울리지 않는 옷이었다. 과한 욕심을 부린 것 같다. 이유 불문하고 이런 논란에 휘말린 제 모습을 보니 한없이 슬프다. 그리고 지난날을 돌아보며 제가 또 다른 욕심을 부린 건 없었나 반성한다"며 죄송하다고 SNS에 입장문을 적었다. 사과문은 올렸지만 자숙은 없다. 신곡 '안돼요'로 컴백해 음악방송 스케줄을 강행 중이다. 7일에도 MBC '쇼 음악중심'에 올라 노래했고, 8일 SBS '인기가요' 컴백 라인업에도 들었다. 신곡 홍보와 맞물린 SBS '미운 우리 새끼' 촬영도 마쳤다. 앞서 논문 표절 의혹만으로 활동을 중단한 배우, 개그맨, 강사 등과는 다른 행보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20.11.08 11:5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