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사회

'4월 불청객' 치료제와 백신 없는 치명률 18.5%의 감염병은

치료제와 백신도 없는 ‘감염병’이 이달 또 찾아왔다. 질병관리청은 18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올해 처음으로 발생했다고 밝혔다. SFTS는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올해 첫 환자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거주하는 80대 여성으로, 집 주변에서 농작업 중 진드기에 물린 후 구토와 발열(38.1도), 전신 쇠약, 식욕 부진 증상을 겪었다. 이후 의료 기관에 방문해 SFTS 확인 진단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다.올해 SFTS 첫 환자 발생은 2022년 4월 11일, 2023년 4월 5일, 지난해 4월 23일 등 최근 3년간의 발생일과 비슷했다.SFTS는 치료제와 예방 백신이 없고 치명률이 높은 감염병으로, 주로 4∼11월에 발생한다. 물린 후에는 2주 안에 고열(38∼40도), 설사, 근육통,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을 보인다. 중증일 경우 혈소판·백혈구 감소로 사망할 수도 있다.SFTS가 2013년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부터 지난해까지 총 2065명의 환자가 나왔고, 이 가운데 381명이 사망(치명률 약 18.5%)했다.지역별 누적 발생 환자 수는 경기도 344명(16.7%), 강원도 290명(14.0%), 경상북도 279명(13.5%), 경상남도 193명(9.3%) 순이다.지난해의 경우 SFTS 환자 170명 중 성별로는 남성(97명)이 절반 이상을, 연령별로는 60세 이상(142명)이 83.5%를 차지했다.감염 위험 요인은 논·밭(과수업, 하우스 포함) 작업과 성묘, 벌초 등 제초 작업이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해서 입어야 하고, 농작업이나 야외 활동 후 2주 안에 발열이나 설사 등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받아야 한다.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긴 옷이나 모자, 양말 등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줄이고, 기피제를 쓰는 것이 좋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직접 진드기에 물리지 않은 SFTS 2차 감염자는 총 30명이 나왔다. 이 중 의료인이 27명으로, 이들은 병원 내에서 SFTS 환자와 의심 환자를 진단·치료하는 과정에서 감염됐다. 김두용 기자 2025.04.18 15:41
사회

가을철 '쯔쯔가무시병' 주의보…주요 증상은

성묘, 산행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가을철에는 진드기와 설치류 매개 감염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1일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26일까지 경기지역에서 쯔쯔가무시병 판정을 받은 환자는 29명이다. 야생 진드기가 매개체인 쯔쯔가무시병은 유충의 활동 시기인 9∼11월에 주로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1∼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두통, 발열, 오한, 구토, 가피 등이 나타나며,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경기도에서는 2020년 236명, 2021년 341명, 지난해 383명이 쯔쯔가무시병 판정을 받는 등 해마다 감염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이밖에 작은소피참진드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도 2021년 37명, 지난해 23명에 이어 올해 15명의 도내 환자가 발생하는 등 감염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SFTS에 걸리면 4∼15일 이내 고열과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주로 6~10월 환자가 발생하는데,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치명률이 약 20%로 높기 때문에 예방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다.쥐, 다람쥐 등 설치류에서 배출된 바이러스를 통해 전파되는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도 가을철에 주로 발생한다. 이 같은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 시 긴소매와 긴 바지 등으로 피부를 보호하고, 귀가 후 진드기에게 물렸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추석 연휴 기간 성묘와 벌초, 등산 등 야외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야외활동 후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적기에 치료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10.01 09:36
연예

[건강레이더] 진드기 물림 환자 46명…야외 활동 시 주의

여름철을 맞아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주의보가 떴다. 최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SFTS 환자는 현재까지 46명이 신고됐으며, 이 중 사망자는 11명으로 집계됐다.올해 환자 발생 지역은 강원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8명, 전북 7명, 충남 6명, 경북 5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에는 총 259명이 감염됐고, 47명이 숨졌다.SFTS는 주로 4월부터 11월 사이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38도 이상의 고열과 오심·구토·설사·식욕 부진 등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혈소판과 백혈구 감소로 사망할 수 있다.SFTS는 농작업·등산 등 야외 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야외 활동을 할 때는 긴 옷을 착용하고, 외출 이후에는 목욕한 뒤 옷을 갈아입어야 한다.야외에서 작업할 경우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어야 한다. 진드기기피제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에서 활동할 때는 옷을 풀밭 위에 벗어 두거나 눕지 않도록 해야 한다. 돗자리를 사용한 뒤에는 세척해 햇볕에 말려야 한다.야외활동 이후에는 머리카락이나 귀 주변·팔 아래·허리·무릎 뒤·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2019.07.09 07:00
연예

제주서 야생진드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환자 발생…올해 7번째

제주에서 야생진드기로부터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했다. 올해만 7번째다. 2일 제주시 제주보건소에 따르면 제주시 거주자 A씨는 지난달 27일 발열·설사 등의 증상이 시작돼 30일 병원을 찾았다. 다음날 A씨는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A씨는 관련 증상이 나타나기 전인 지난달 21일 제주시 조천읍의 한 농장에서 승마체험과 꽃 구경 등 야외활동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A씨는 현재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으며, 건강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제주보건소는 이날 해당 농장을 찾아 방역소독을 실시하고, 관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SFTS 예방교육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A씨는 올해로 제주에서 발생한 7번째 SFTS 환자다. 지난 6월에는 제주시에 거주하는 B씨가 SFTS 양성판정을 받은 바 있다. 5월에도 서귀포시 거주자 C씨가 SFTS 양성판정을 받으며, 나흘만에 사망했다. 4~11월 야생진드기라고 불리는 참진드기를 통해 감염되는 SFTS 바이러스는 1~2주 정도 잠복기를 거쳐 발열과 구토·설사·식욕부진 등 증상이 나타난다. 심해지면 혈뇨나 혈변, 경련이나 의식저하 등 신경학적 증상, 다발성 장기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2013년 이후 2017년까지 전국에서 환자 607명(잠정통계)이 발생했고 이 중 127명이 사망했다. 제주에서는 같은 기간 51명의 환자가 발생, 8명이 숨졌다. SFTS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야외활동 후 2주 내에 증상이 있을 시 즉시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2018.08.02 15:1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