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건
무비위크

日 '드라이브 마이 카' 국내 2만 관객…영화제 연일 다관왕 행보

'기생충', '미나리'의 뒤를 잇는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드라이브 마이 카(하마구치 류스케 감독)'는 1월 1일 2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주말보다 더 높은 개봉 2주 차 스코어를 보여주며 극장가에 걸작 파워를 입증했다. 또한 12월 31일부터 1월 2일 연속 3일 독립예술 영화 박스오피스 1위, 독립예술 영화 좌석 판매율 1위를 차지하며 흥행 역주행을 펼쳤다. 1월 3일 오전 기준 독립예술 영화 예매율에서도 1위를 차지하고 있어 2022년 새해에도 '드라이브 마이 카'의 흥행은 멈추지 않을 전망이다. '드라이브 마이 카'는 제74회 칸영화제 각본상 수상을 시작으로 대세 수상 행렬이 끊이지 않으며 본격적인 오스카 레이스에 돌입한 가운데, 제79회 골든글로브시상식과 제27회 크리틱스초이스시상식에서 '기생충', '미나리'에 이어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할지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감독상까지 4관왕을 비롯하여 전세계 유수의 영화제를 휩쓴 '기생충'은 오스카 전초전으로 주목되는 제77회 골든글로브시상식과 제25회 크리틱스초이스시상식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며 오스카 수상을 확실시했고, 이어 다음해에는 '미나리'가 제78회 골든글로브시상식과 제26회 크리틱스초이스시상식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며 아시아계 감독들의 활약을 다시 한번 전세계에 과시했다. 특히 '기생충'과 '미나리'는 이미 수많은 시상식에서 수상 행렬을 이어오며 이를 지표로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초이스 시상식도 수상이 유력시되었고, 예측은 빗나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제79회 골든글로브시상식과 제27회 크리틱스초이스시상식에서 '드라이브 마이 카'가 '기생충', '미나리'의 수상 바통을 이어 외국어영화상 수상이 유력시 되고 있어 수상 평행 이론을 계속 이어갈 전망이다. 그동안 '드라이브 마이 카'와 '기생충'의 수상 평행 이론은 다음과 같다. 보스턴비평가협회상 작품상, 감독상, 워싱턴 D.C. 비평가협회 외국어영화상, 애틀랜타비평가협회 국제영화상, 시카고비평가협회상 외국어영화상, LA비평가협회상 작품상, 세인트루이스영화비평가협회상 외국어영화상, 인디애나영화기자협회상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고, 칸영화제에서도 '기생충'은 황금종려상, '드라이브 마이 카'는 각본상을 수상했다. '미나리' 또한 뉴욕비평가협회상 작품상 수상이 평행하며, '드라이브 마이 카'가 수상한 수많은 비평가협회상에서 '미나리' 또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드라이브 마이 카' 역시 이들의 바통을 이어 수상 행렬을 이어가며 골든글로브시상식와 크리틱스초이스시상식까지 '기생충', '미나리'에 이어 수상을 거머쥘지 모두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더욱이 '드라이브 마이 카'는 2022 아카데미시상식 국제장편영화상 예비 후보에 올라있는데, 해외 유력 매체 버라이어티에서 예측한 2022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후보 10편에 '드라이브 마이 카'가 이름을 올려 화제다. 한편, '드라이브 마이 카'는 관객들의 사랑으로 상영관이 전격 확대되며 늘어난 상영관처럼 관객수와 예매 관객수 또한 늘어나 흥행세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박상우 기자 park.sangwoo1@joongang.co.kr park.sangwoo1@joongang.co.kr 2022.01.03 11:47
연예

'기생충' 아카데미 예비 후보 입성..오스카 한발 더 가까이

한국영화 최초로 오스카 트로피를 받아들 날이 멀지 않았다. 영화 '기생충(봉준호 감독)'이 예비 후보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며 아카데미 입성의 첫 발을 디뎠다. '기생충'은 17일(한국 시간) 미국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가 발표한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쇼트리스트에서 외국어영화상과 주제가상 부문 예비 후보에 선정됐다. '기생충'을 비롯해 외국어영화상 예비 후보로는 전세계에서 출품된 총 10편의 영화가 포함됐다. 바클라프 마호울 감독의 '더 페인티드 버드', 타넬 툼 감독의 '진실과 정의', 라지 리 감독의 '레미제라블', 바너버스 토스 감독의 '살아남은 사람들', 루보미르 스테파노브·타마라 코테브스카 감독의 '허니랜드', 얀 코마사 감독의 '성체축일', 칸테비르 발라고프 감독의 '빈폴', 마티 디옵 감독의 '애틀랜틱스',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페인 앤 글로리' 등이다. 외국어영화상 부문의 경우 현지에서도 떼어놓은 당상이라는 시선이 쏟아진다. '기생충'은 올해 북미에서 개봉한 비영어 영화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작품이기도 하다. 주제가상 부문 예비 후보에도 '기생충'이 이름을 올려 이목을 집중시켰다. '기생충'의 OST '소주 한 잔'이 예비 후보에 올랐다. 봉준호 감독이 직접 작사하고, 배우 최우식이 부른 곡으로, '기생충'의 엔딩을 장식하는 노래다. '알라딘'의 '스피치리스'와 '겨울왕국2'의 '인투 디 언노운' 등 한국 관객들에게도 잘 알려진 쟁쟁한 명곡들과 경쟁한다. 특히 주제가상 예비 후보에 오른 것은 '기생충' 측에서도 예상하기 어려웠던 일이다. 후보 발표 후 최우식이 자신의 SNS에 ''기생충'에서 제가 부른 '소주 한 잔'이 여기에'라는 글을 남기며 놀란 마음을 드러내기도 했다. '기생충'의 목표는 외국어영화상과 주제가상에 그치지 않는다. 앞서 북미 배급사 네온의 톰 퀸 CEO는 "외국어영화상뿐 아니라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등 5개 부문 노미네이트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유력 영화지 버라이어티는 '기생충'이 작품상·감독상·각본상 부문 후보에 오를 것이라 예측하기도 했다. 버라이어티 이외에도 대다수의 현지 매체들이 '기생충'을 92회 아카데미의 '주류 영화'로 꼽고 있다. 최종 후보작 5편은 쇼트 리스트 10편 가운데 선정된다. 오는 2020년 1월 13일 최종 후보작 5편이 공개된다. 작품상과 감독상, 각본상 등 다른 주요 부문 후보들도 이날 함께 발표될 예정이다. 한국 영화가 아카데미 시상식 예비 후보에 포함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봉준호 감독의 '옥자'가 9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시각효과 부문 예비 후보에 오른 바 있으며, 이창동 감독의 '버닝'이 91회 외국어영화상 예비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과거와 단순히 비교할 수 없는 분위기다. 북미 지역에서 불고 있는 '기생충' 열풍은 기대 이상으로 뜨겁기 때문. 하루가 멀다하고 수상 소식을 전하며 열기를 더하고 있다. 앞서 LA비평가협회에서는 작품상과 감독상·남우조연상(송강호)을 수상했고, 애틀랜타 비평가협회에서는 감독상·각본상·외국어영화상을 받았다. 시카고 영화비평가협회 시상식에서는 작품상·감독상·각본상·최우수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다. 샌프란시스코 베이지역 영화비평가협회에서도 감독상·각본상·외국어영화상을 차지했으며, 이밖에도 토론토 비평가 협회·전미 비평가 협회·뉴욕 필름 비평가 온라인 어워즈에서 연이어 수상 낭보를 전했다. 아카데미와 함께 미국 양대 시상식으로 꼽히는 골든글로브에서도 감독상·각본상·외국어영화상까지 3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칸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기생충'은 더 이상 증명해낼 것이 없을 만큼 세계인의 극찬을 받았다. 그럼에도 세계 최대 영화 시장이자 비영어권 영화에 폐쇄적인 성향인 미국에서 받는 상의 의미가 남다를 터다. 2020년 2월 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 돌비극장에서 열리는 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지 기대를 모은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19.12.18 08:00
무비위크

'기생충'이 또…밴쿠버비평가협회 작품·감독·외국어영화상 수상

영화 '기생충(봉준호 감독)'이 매일 수상 소식을 전하고 있다. 이번에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트로피를 추가했다. 16일(현지 시간) 발표된 2019 밴쿠버 영화 비평가 협회상 수상 리스트 가운데 '기생충'은 3관왕에 올랐다. 먼저 최고상인 작품상이 돌아갔다. 봉준호 감독이 감독상 수상자로 선정됐고, 이변 없이 외국어 영화상도 '기생충'의 차지였다. 수상 낭보가 끊임없이 전해지고 있다. 앞서 미국 시카고 영화비평가협회로부터 작품상과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을 받은 바 있다. 그레타 거윅 감독의 '리틀 위민'과 함께 최다 수상작이 됐다. LA비평가협회에서는 작품상과 감독상, 남우조연상(송강호)을 수상했고, 애틀랜타 비평가협회에서는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을 받았다. 이밖에도 토론토 비평가 협회, 전미 비평가 협회, 뉴욕 필름 비평가 온라인 어워즈에서 연이어 수상 낭보를 전했다. 샌프란시스코 베이지역 영화비평가협회에서는 감독상·각본상·외국어영화상의 주인공이 됐다. 한편, 2019 밴쿠버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은 '결혼이야기'의 아담 드라이버와 스칼렛 요한슨이 수상했다. 남우조연상은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의 브래드 피트, 여우조연상은 '결혼이야기'의 로라 던이 선정됐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19.12.17 09:45
무비위크

'기생충',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주제가상 예비후보..오스카 본격 시작[종합]

이변은 없었다. 영화 '기생충(봉준호 감독)'이 아카데미 입성의 첫 발을 디뎠다. '기생충'은 17일 오전(한국 시각) 발표된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영화상 부문 예비 후보 리스트에 포함됐다. 바클라프 마호울 감독의 '더 페인티드 버드', 타넬 툼 감독의 '진실과 정의', 라지 리 감독의 '레미제라블', 바너버스 토스 감독의 '살아남은 사람들', 루보미르 스테파노브·타마라 코테브스카 감독의 '허니랜드', 얀 코마사 감독의 '성체축일', 칸테비르 발라고프 감독의 '빈폴', 마티 디옵 감독의 '애틀랜틱스',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페인 앤 글로리'와 경쟁한다. 주제가상 부문 예비 후보에도 '기생충'의 '소주 한 잔'이 포함됐다. 봉준호 감독이 직접 작사하고, 배우 최우식이 노래한 곡이다. 아직 작품상과 감독상 등 주요 부문의 예비 후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외국어영화상 부문 이외에도 노미네이트될 가능성이 적지 않은 상황. 앞서 미국 유력 영화지 버라이어티는 '기생충'이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부문 후보에 오를 것이라 예측하기도 했다. 버라이어티 이외에도 대다수의 현지 매체들이 '기생충'을 92회 아카데미의 주류 영화로 꼽고 있다. 인디와이어는 91회 아카데미 10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된 '로마'와 비교하면서 "외국어영화가 최우수 작품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흥행으로 폭넓은 관객과 만날 필요가 있다. 올해 '기생충'은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그것이 '주류'다"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쇼트 리스트'로 불리는 예비 후보는 외국어영화상을 비롯해 9개 시상 부문에 걸쳐 공개됐다. 최종 후보작 5편은 쇼트 리스트 10편 가운데 선정된다. 오는 2020년 1월 13일 최종 후보작 5편이 공개된다. 한국 영화가 아카데미 시상식 예비 후보에 포함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봉준호 감독의 '옥자'가 9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시각효과 부문 예비 후보에 오른 바 있으며, 이창동 감독의 '버닝'이 91회 외국어영화상 예비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분위기는 과거와 다소 다르다. 그 어느 때보다 기대가 높다. 이미 북미 지역 비평가협회 시상식을 휩쓸고 있다. LA비평가협회에서는 작품상과 감독상, 남우조연상(송강호)을 수상했고, 애틀랜타 비평가협회에서는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을 받았다. 시카고 영화비평가협회 시상식에서는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최우수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다. 그레타 거윅 감독의 '리틀 위민'과 함께 최다 수상작이 됐다. 샌프란시스코 베이지역 영화비평가협회에서도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을 차지했다. 이밖에도 토론토 비평가 협회, 전미 비평가 협회, 뉴욕 필름 비평가 온라인 어워즈에서 연이어 수상 낭보를 전했다. 아카데미와 함께 미국 양대 시상식으로 꼽히는 골든글로브에서도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까지 3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세계를 휩쓴 '기생충'의 행보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유종의 미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92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2020년 2월 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 돌비극장에서 열린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19.12.17 08:40
무비위크

'기생충', 美 샌프란시스코 비평가협회 감독·각본·외국어영화상 수상

북미 지역에서 트로피를 수집하고 있는 '기생충(봉준호 감독)'이 샌프란시스코 비평가협회 시상식에서도 3관왕에 올랐다. '기생충'은 샌프란시스코 베이지역 영화비평가협회(SFBAFCC)가 16일(현지 시간) 발표한 외국어영화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또한, 봉준호 감독이 감독상을 받았고, 각본상 부문에서도 명작들을 제치고 수상했다. 전날인 15일(현지 시간)에도 미국 시카고 영화비평가협회로부터 작품상과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을 받은 바 있다. 그레타 거윅 감독의 '리틀 위민'과 함께 최다 수상작이 됐다. 이밖에도 LA비평가협회에서는 작품상과 감독상, 남우조연상(송강호)을 수상했고, 애틀랜타 비평가협회에서는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을 받았다. 이밖에도 토론토 비평가 협회, 전미 비평가 협회, 뉴욕 필름 비평가 온라인 어워즈에서 연이어 수상 낭보를 전했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19.12.17 07:12
무비위크

美 휩쓴 '기생충', 시카고비평가협회 작품상 등 4관왕..최다 수상작

영화 '기생충(봉준호 감독)'의 선전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 시카고 영화비평가협회 시상식에서는 최다 수상작의 영예를 안았다. 15일(현지 시간) 미국 매체 데드라인 등에 따르면, 시카고 영화비평가협회는 '기생충'을 최우수 작품상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또한, 봉준호 감독에게 감독상을 안겼으며, 각본상과 최우수 외국어영화상 수상작으로도 '기생충'을 호명했다. 시카고 비평가협회 시상식에서 '기생충'은 4관왕에 올랐다. 이는 각색상, 의상디자인상, 여우조연상, 주제가상 등을 수상한 그레타 거윅 감독의 '리틀 위민'과 함께 최다 수상작이 됐다. '기생충'흔 북미 지역 비평가협회 시상식을 휩쓸고 있다. LA비평가협회에서는 작품상과 감독상, 남우조연상(송강호)을 수상했고, 애틀랜타 비평가협회에서는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을 받았다. 이밖에도 토론토 비평가 협회, 전미 비평가 협회, 뉴욕 필름 비평가 온라인 어워즈에서 연이어 수상 낭보를 전했다. 트로피를 추가할 때마다 골든글로브와 아카데미에서 보여줄 활약에 기대가 더욱 커지는 상황. '기생충'은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 3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오늘(16일) 발표되는 아카데미 예비 후보 노미네이트 또한 유력하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19.12.16 07:45
연예

2월 국내 개봉앞둔 ‘아메리칸 허슬’ 골든글로브 3관왕 화제

2월 국내 개봉을 앞둔 영화 '아메리칸 허슬'이 제7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3관왕이 됐다. '아메리칸 허슬'은 12일(현지시간) 미국 LA 비버리힐튼에서 열린 제7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코미디·뮤지컬 부문 작품상을 비롯해 여우주연상(에이미 애덤스)과 여우조연상(제니퍼 로렌스)을 받아 3관왕이 됐다. '아메리칸 허슬'과 함께 최다부문 후보에 올랐던 '노예 12년'은 드라마 부문 작품상을 받았다. 화제작 '그래비티'의 알폰소 쿠아론 감독도 감독상을 수상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더 울프 오브 월스트리트'로 남우주연상을, 케이트 블란쳇은 '블루 재스민'으로 여우주연상의 영예를 누렸다. 이날 시상식에서 특히 눈길을 끈건 '아메리칸 허슬'에 대한 심사위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다. 쟁쟁한 경쟁작들이 진을 치고 있었는데도 3관왕을 휩쓸어 눈길을 끌었다. 앞서 '아메리칸 허슬'은 골든 글로브 시상식 이전에도 주요 시상식의 상을 휩쓸어 화제가 됐다. 제78회 뉴욕영화비평가협회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과 각본상, 여우주연상을 끌어냈고, 제26회 시카고 비평가협회상 시상식에서도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 및 여우조연상과 각본상·편집상을 받았다. 디트로이트 영화비평가협회상에서도 최우수 앙상블상과 각본상을 수상했다. 샌프란시스코 영화비평가협회상도 이 영화에 여우조연상과 각본상을 줬다. 피닉스 영화비평가협회상은 '아메리칸 허슬'을 올해의 10대 영화상 및 최우수 앙상블상 수상작으로 지목했다. '아메리칸 허슬'은 1970년대를 배경으로 FBI의 함정수사에 한 사기꾼이 협력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데이빗 O.러셀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크리스찬 베일, 에이미 아담스, 브래들리 쿠퍼, 제레미 레너, 제니퍼 로렌스 등 스타들이 대거 출연했다. 다음달 20일 국내 개봉된다. 정지원 기자cinezzang@joongang.co.kr 2014.01.14 09:1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