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LG유플러스 CJ헬로 인수에 넷플릭스, 한국 안방 공략 고속도로 깔리나
LG유플러스가 케이블 TV 업계 1위인 CJ헬로 인수를 공식화했다. 정부 허가를 받아 최종 인수하면 LG유플러스는 유료방송 시장에서 2위로 올라서게 된다. LG유플러스의 이 같은 공격적 행보가 해외 인터넷 동영상 콘텐트(OTT) 업체인 넷플릭스에 호재가 될 전망이다. 넷플릭스는 LG유플러스와 손잡고 한국 안방을 공략 중인데 더욱 힘을 받을 수 있다. 반면 국내 OTT 업체들은 LG유플러스가 글로벌 공룡이 한국 시장을 손쉽게 장악할 수 있도록 고속도로를 깔아 주는 것 아니냐며 우려한다. LG유플러스, CJ헬로 품으면 유료방송 시장 2위 점프LG유플러스는 14일 이사회를 열고 CJ헬로 지분 53.92%(4175만6000주)를 보유한 CJ ENM으로부터 CJ헬로 전체 지분의 '50%+1주'를 인수하기로 의결했다.LG유플러스는 CJ ENM 지분 전량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해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인수 가격은 8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LG유플러스는 내달 주주총회를 열어 CJ헬로 인수를 안건으로 상정할 계획이다.LG유플러스는 일단 경영권만 확보한 뒤 CJ헬로의 케이블 사업을 유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CJ ENM도 이날 이사회를 열어 CJ헬로 지분 매각을 결정했다.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조만간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기업결합 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공정위는 기업결합 신고가 들어오면 최대 120일 이내에 심사 결과를 통보해야 한다. 큰 이변이 없는 한 허가될 가능성이 높다.공정위는 2016년 SK텔레콤(SK브로드밴드)과 CJ헬로비전의 합병을 불허했다. 통신 시장 1위인 SK텔레콤이 케이블 TV 1위 업체를 가져갈 경우 독과점 폐해가 크다는 이유였다. LG유플러스는 현재 통신 시장 3위에 유료방송 시장 4위라는 점에서 독과점 우려가 크지 않다.LG유플러스가 최종적으로 CJ헬로를 인수하면 유료방송(IPTV·케이블 TV) 시장에서 점유율이 총 24.43%로, KT와 KT스카이라이프 연합군(30.86%)에 이어 2위가 된다.지난해 상반기부터 유료방송 시장에서 KT가 20.67%로 1위였고, SK브로드밴드가 13.97%로 2위, CJ헬로가 13.02%로 3위, LG유플러스가 11.41%로 4위였다.넷플릭스, LG유플러스에 업혀 안방 공략 유리해져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로 유료방송 시장이 요동칠 전망이다. 경쟁사인 SK텔레콤과 KT도 각각 케이블 TV 티브로드와 딜라이브 인수를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여기에 OTT 시장의 판도도 흔들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OTT는 인터넷으로 볼 수 있는 TV 서비스로, 세계 최대 OTT 업체로 떠오르는 넷플릭스가 지난해 말부터 LG유플러스와 손잡고 국내 안방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LG유플러스는 넷플릭스와 단독 파트너십을 맺고 IPTV인 U+tv에서 관련 콘텐트를 서비스한다. 시청자는 PC나 스마트폰이 아닌 안방 TV에서 큰 화면으로 손쉽게 넷플릭스 콘텐트를 접할 수 있다.특히 넷플릭스는 연초 주지훈·배두나 주연의 '킹덤'을 선보여 안방 시청자들 사이에서 호응을 얻었다. 넷플릭스 국내 가입자는 100만 명을 웃도는데, LG유플러스 서비스 이후 안방 시청자들도 꽤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LG유플러스 관계자는 "킹덤이 IPTV 시청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며 "이 때문에 신규 가입자도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넷플릭스가 킬러 콘텐트를 앞세워 인터넷 플랫폼뿐 아니라 IPTV에서도 가입자를 늘려 가는 상황에서 파트너인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는 호재가 아닐 수 없다. LG유플러스의 커진 시장 지배력으로 한국 시장을 더 많이 빠르게 공략할 수 있는 것이다.유료방송 업계 관계자는 "LG유플러스가 시장에서 2위로 올라서면, 넷플릭스는 한국 시장 공략에서 고속도로를 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LG유플러스도 넷플릭스를 마케팅에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넷플릭스의 국내 안방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지난달 초 SK텔레콤과 토종 OTT 연합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넷플릭스 등의 콘텐트를 잘 수급하고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국내 OTT 업계는 거대 콘텐트 공룡인 넷플릭스가 LG유플러스의 등에 업혀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장악해 나갈 것이라며 우려한다.지상파 등 40여 개 방송사로 구성된 한국방송협회는 LG유플러스에 넷플릭스와 사업 제휴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협회 측은 "넷플릭스는 플랫폼 수익의 50~60%를 배분받는 국내 콘텐트 사업자와 달리 85~90%까지 받는 것으로 안다"며 "거액의 제작비 감당이 어려운 국내 중소 OTT 업체는 살아남기 힘들다. 결국 넷플릭스에 종속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넷플릭스와 제휴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는 측면에서 봐 달라"고 말했다. 또 "해외 사업자를 언제까지 막을수 있겠냐"고도 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2019.02.15 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