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내 소비자, '독일차 5개사 담합 의혹' 공정위 조사 촉구
국내 소비자들이 BMW·벤츠 등 독일 자동차 회사들의 불법 담합 의혹과 관련해 우리 정부의 직접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법무법인 바른은 BMW·메르세데스 벤츠·폭스바겐·아우디·포르쉐 등 독일 자동차회사 5곳의 담합 의혹에 대한 조사를 촉구하는 청원서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했다고 31일 밝혔다.이번 독일차 담합 의혹은 BMW 등 5개 자동차회사가 1990년대부터 불법 카르텔을 형성해 각종 사안을 담합해왔다는 독일 주간지 슈피겔의 보도가 나오면서 불거졌다. 이후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와 독일 연방카르텔청은 관련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담합 혐의의 핵심은 '요소수 탱크(add blue)' 크기와 관련한 의혹이다. 요소수는 디젤자동차에서 배출하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장치인 SCR(선택적촉매환원장치)의 핵심 물질이다.슈피겔에 따르면 5개 자동차회사는 요소수 탱크의 크기를 8ℓ로 제작하기로 담합, 원가절감 및 트렁크 공간 확보 등의 이익을 챙겼다.또 이들 업체는 8ℓ 규격이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데 충분하지 않아, 정상 주행 상태에서 요소수 분사를 끄는 임의설정(배출가스 조작)까지 했다.이에 대해 폭스바겐과 벤츠는 논평을 거부했으며, BMW는 공식 성명을 내고 의혹을 전면 부인한 상태다.그러나 유럽에 이어 미국 법무부도 담합 의혹에 대한 비공식 조사에 나선 것으로 알려져 사태가 확산하는 모습이다.또한 미국 소비자들은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에 제소하는 등 집단소송도 추진하고 있다.바른의 하종선 변호사는 “일부 독일 업체들이 요소수 탱크 크기를 줄여 디젤차 제조원가를 줄였지만 독일과 한국에서 실제 판매가격은 최대 1000만원 정도 더 받았다”며 “공정위가 독일과 미국처럼 이들 기업들의 요소수 탱크 축소를 통한 배출가스 조작 여부를 직접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7.07.31 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