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

[주말&여기] 한겨울 뜨끈한 한 그릇, 예산 어죽 먹으러 가볼까

커다란 솥단지 걸고 잡은 물고기에 대파·양파·생강·마늘·고추장·고춧가루·불린 쌀이랑 국수·수제비까지 끼니 될 만한 것 몽땅 넣고, 푹푹 끓여서 흐물흐물해진 생선 살에 밥과 국수, 수제비가 들어가 걸쭉해진 국물 한 사발 푸짐하게 나눠 먹는 음식이 ‘어죽’이다. 충남 예산에서는 1964년 둘레 40km에 이르는 관개용 저수지를 준공하자, 동네 사람들이 농사짓는 틈틈이 모여서 솥단지를 걸고 고기를 잡았다. 붕어·메기·가물치·동자개(빠가사리) 등 잡히는 대로 푹푹 끓이다가 고춧가루 풀고 갖은 양념에 민물새우 넣어 시원한 국물을 만들고, 불린 쌀에 국수와 수제비까지 넣어 죽을 끓인 뒤 다진 고추와 들깻가루·참기름을 넣고 한소끔 더 끓여 먹었다. 이것이 ‘충남식 어죽’의 탄생이었다. 지금 예당관광지로 개발된 예당호 일대에는 저마다 비법으로 만든 어죽과 붕어찜·민물새우튀김 등을 파는 식당 10여 곳이 있다. 여기도 맛집이 있어서 이름난 식당은 줄을 길게 서야 하니 식사 시간은 피하는 것이 좋다. 어죽으로 속을 든든하게 채우고 난 뒤, 아름다운 예당호를 느릿느릿 걸으며 소화를 시켜보자. 지난해에는 길이 402m를 자랑하는 예당호출렁다리가 완공됐고, 5.2km에 이르는 ‘느린호수길’도 개통했다. 산책의 시작은 예당호출렁다리다. 예당호출렁다리는 입장료도, 매표소도 없어 그냥 걸으면 된다. 내진 설계 1등급을 받을 정도로 안전하고 튼튼한 예당호출렁다리는 어른 3150명이 한꺼번에 올라가도 끄떡없다. 다리 주변에는 기념사진 찍기 좋은 조형물도 있고, 다리 중간에는 투명한 바닥에 전망대까지 갖춘 주탑도 있다. 주 중에는 느릿느릿 여유롭게, 주말이면 사람 따라 흘러가듯 걸을 수 있는 곳이다. 밤에는 형형색색 조명으로 출렁다리가 찬란하게 빛난다. 그러데이션 기법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무지갯빛 LED 조명이 환상적이라, 데이트나 가족 나들이 코스로 그만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02.05 07:00
연예

아산 둔포 맛집 쌍둥이네 매운탕 잘 알려진 보양식 맛 볼 수 있어

아산 맛집 '쌍둥이네매운탕'은 충남 아산에 위치한 매운탕 전문점이다. 가족끼리 식당을 운영하고 있어 찾아오는 방문객들에게 제공하는 음식들을 '내 가족이 먹는다'고 생각하며 청결하고 깔끔한 맛을 내기 위해 한결같이 노력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에 아산을 찾아오는 방문객보다 로컬 주민들에게 더 잘 알려져 있다.매운탕을 기피하는 사람들은 주로 민물고기 특유의 비린내를 어려워하기 때문인데, '쌍둥이네매운탕'은 아산 맛집 중에서 일등으로 불릴만한만의 조리법으로 비린내를 확 잡아 진하고 얼큰하게 끓여낸다.조리법도 확실하지만 무엇보다 아침마다 신선한 재료를 구해 얼리지 않는 생물로만 요리한다는 철학도 둔포 맛집이 잘 알려지게 된 것중에 하나이다.크고 알찬 메기를 넣고 민물고기 특유의 흙냄새를 잡아 구수한 메기매운탕과 새우, 메기, 민물잡고기가 듬뿍 들어가 민물고기 매운탕 마니아들이 즐겨 먹는 잡고기 매운탕도 얼큰한 술안주로 제격이다.또한 푸짐하고 정갈하며 정성이 녹아있는 8가지나 되는 밑반찬도 잘 알려져 있다. 모든 반찬은 직접 농사를 지은 야채와 울릉도에서 공수해오는 나물, 약초들로 이루어져 있어 어머니가 차려주는 집밥이 저절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아산 맛집 새뱅이새우는 민물새우의 충청도 사투리다. 새뱅이 새우를 듬뿍 넣고 끓인 민물새우매운탕은 뒷맛이 깔끔하고 시원하다. 여기에는 '쌍둥이네매운탕'사장님이 직접 반죽한 수제비가 들어있어 쫄깃한 식감을 즐길 수 있다.민물고기를 갈아 만든 사계절 보양식인 따로어죽은 추어탕과는 다르게 부드럽게 입안에서 살살녹는 시레기와 탱탱한 국수사리가 들어있어 간단한 점심 등 둔포 맛집 식사로 제격이다. 가격도 8천원 대의 저렴한 가격에 제공된다.처음에는 탕정 맛집 입소문이 나있던 '쌍둥이네매운탕'은 계약기간 만료로 아산으로 이전했다. 이제는 탕정 맛집 쌍둥이네가 천안, 평택, 아산 등 전국 각지에서 찾아오는 손님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근처에 관광지로 현충사와 아산스파비스가 있어 여행지를 찾다가 들르는 여행객의 발길도 이어진다.영업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이며 연중무휴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대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이소영 기자 2019.07.27 11:00
스포츠일반

이태원 리움갤러리 앞, 이태원의 번잡함 빼고 한국인의 입맛 더하고

세계 각국의 다양한 음식점이 밀집해 있는 이태원. 그 중심에 위치한 해밀턴호텔 주변은 호주·캐나다·벨기에·프랑스뿐 아니라. 이슬람 문화권의 사람들이 어우러져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 간다. 반면 한강진 역과 이태원 역 사이에 위치한 리움갤러리는 해밀턴호텔 인근과는 약간 다른 느낌이다. 한산하고 여유로운 골목 사이사이로 한식부터 일식·중식·양식 등 다양한 음식점이 포진해 있다. 그중 토크에서는 미국의 가정식 음식을 맛볼 수 있다. 외교관 아버지를 따라 세계를 다니며 맛을 섭렵한 장정은 오너쉐프가 직접 운영한다. 프랑스 요리가 전공이지만 이탈리아·멕시코 등의 요리를 아우르는 덕에 메뉴판도 버라이어티하다. 그녀가 추구하는 음식은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한다. 그래서인지 식당 안에는 해외에서 오랫동안 거주했던 한국인뿐 아니라 고향의 맛을 찾아온 외국인들로 가득하다. 특히 어른 손바닥만한 옥수수 또띠아에 콩소스와 토마토소스·피자·야채·날계란을 얹어 살짝 구워낸 휴보스 란테러스(1 만6000원)나 밀가루를 묻힌 프라이팬에 구운 닭고기 위에 닭육수에 우유를 넣어 졸인 담백한 소스를 올린 미국 동남부식 치킨 스테이크(2만 6000원)는 이곳의 추천 메뉴. 음식은 전체적으로 느끼하지 않고 담백하다. 푸진 양도 만족스럽다. 이 일대에는 도로를 따라 ‘천상’이나 ‘에이타’ 같은 유명한 일본식 선술집(이자카야)가 대여섯 곳 모여 있다. 그중 일본식 숯불꼬치구이점 문타로는 꼬치와 함께 사케 한잔하기에 더없이 좋은 곳이다. 일본 내음 물씬 풍기는 실내에 들어서면 중앙에서 꼬치를 구우며 손님을 맞는 주인장이 가장 먼저 눈에 띈다. 목청 높여 자리를 배정하고 주문을 받는 모습은 경쾌하기 그지없다. 꼬치는 종류만도 20가지가 넘는다. 특히 과자처럼 바삭하게 구워낸 닭껍질. 닭 8마리로 1개를 만들 수 있는 쫄깃한 대동맥. 아삭한 버섯과 바삭한 삽겹살이 잘 어우러진 팽이버섯삽겹살말이가 별미다. 음식 본연의 맛을 살린 소금구이와 달콤짭조름한 양념구이 중 선택할 수 있다. 대동맥 2000원. 닭껍질 3000원. 외관부터 범상치 않다. 수십 년을 묵은 듯한 목조건물 지붕에는 장난감 소방차·세발자전거·뻐꾸기 시계가 주렁주렁 얹혀 있다. 문 앞에 촌구석 손칼국수는 간판마저 없다면 영락없는 TV 프로그램 ‘세상에 이런 일이’에 출연할 만한 소재다. 안에 들어서면 청학동 훈장 선생님처럼 반백의 머리를 길게 땋은 집주인이 반갑게 손님을 맞는다. 이 집을 만든 장본인이다. 내부도 도자기·인형·장남감 등 없는 게 없지만 정작 벽에도 메뉴 하나 붙어 있지 않다. 주문할 수 있는 건 수제비와 칼국수. 칼국수와 수제비가 섞여 나오는 칼제비뿐. 면은 밀가루· 보리쌀. 옥수수 전분. 고구마 전분을 황금 비율로 반죽해 뽑는다. 전분을 넣어 국물은 걸쭉한 편. 육수는 멸치와 다시마·무· 바지락으로 낸다. 칼국수·칼제비 5000원. 바다식당은 이미 부대찌개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집. 외진 위치와 별다른 홍보 문구 없이 작은 간판만으로 명성을 잇고 있다. 부대찌개라는 정체성에 의문이 드는 ‘존슨탕’이 대표 메뉴. 햄·양배추·파 등이 들어가지만 여느 부대찌개처럼 라면사리도 없고 고기도 두텁게 썰어 넣는다. 치즈를 얹는 것도 이 집만의 특징. 매콤달콤한 가운데 치즈의 부드러운 맛이 잘 어우러진다. 하지만 양배추를 많이 넣어 단맛이 강하고 일반적인 부대찌개의 맛과 달라 먹는 이에 따라 호불호가 명확하다. 존슨탕(소) 1만 6000원. 백혜선 기자 (토크 02-794-3834. 문타로 02-796-7232. 촌구석 칼국수 02-796-6204. 바다식당 02-795-1317) 2007.12.13 09:2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