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프로축구

제주 SK, ‘2025 넥슨 챔피언스컵 In Jeju-H’ 발대식 진행

프로축구 제주 SK가 '2025 넥슨 챔피언스 컵(NCC) In Jeju-H' 발대식을 진행했다고 이날 밝혔다.‘2025 NCC In Jeju-H’는 제주 SK,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넥슨이 주최·주관하는 고등학교 반대항 축구대회다. 지난해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과 함께 스포츠클럽 리그 개최와 축구 저변 확대를 위해 개최했던 '제주유나이티드 JUMP(Jeju United Middleschool Premierleague)리그'를 넥슨의 대회 운영 지원으로 확대 출범시킨 무대다.대회는 5월 30일부터 오는 10월까지 각 학교 운동장 및 제주도내 일원에서 진행된다. 도내 11개 고등학교 1학년 같은 반에 소속된 재학생(남고부/여고부)들이 참가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대회운영 및 출전비를 지원하고 있다.제주는 원활한 대회 운영을 위해 중부리그(제주제일고, 사대부고, 남녕고), 남부리그(남주고, 대정고, 서귀포고), 동부리그(오현고, 대기고, 제주중앙고), 서부리그(한림공고, 한림고) 등 지역별로 4개 권역 조별리그로 나눴다. 구단은 현장에서도 전폭적인 지원으로 힘을 보태고 있다. 제주중등체육교과교육연구회와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안전사고 예방과 대회 운영의 전문성 및 효율성도 증대시키고 있다.한편 대회 발대식은 지난 14일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구FC와의 하나은행 K리그1 2025 18라운드서 진행됐다. 발대식에는 김광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구창용 제주 SK 대표이사, 서귀포시교육지원청 강옥화 교육장,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김병성 체육건강과장을 비롯해 중앙고 윤호준 학생, 제일고 좌경환 학생, 아라중 김효윤 학생, 서귀포중 백동경 학생 참가자 대표뿐만 아니라 참가팀 선수들도 자리를 빛냈다.구창용 제주 대표이사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넥슨과의 협무 협약의 결실로 '2025 NCC In Jeju-H'를 성공적인 출발을 알릴 수 있게 됐다. 참가 학교와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대회 열기도 날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이번 발대식을 통해 관계자들과 참가자들이 화합과 융화라는 승리, 그 이상의 의미를 되새기고 더 열정적인 도전을 이어가길 바란다"라고 전했다.김우중 기자 2025.06.16 16:20
산업

전범기업 대신 기부금 낸 포스코…'셀프 배상'에 기업들 울상

정부가 한일 관계 정상화를 이유로 내놓은 일제 강제징용 '셀프 배상안'(제3자 변제) 때문에 애꿎은 우리 기업들만 난처해졌다. 포스코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기부금을 출연하자 다른 기업들도 등 떠밀려 지갑을 열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포스코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40억원의 기부금을 납부했다고 15일 밝혔다.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 발표 이후 청구권 자금 수혜 기업들 가운데 처음이다.포스코는 "과거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겠다는 약정서에 근거해 남은 40억원을 정부의 발표 취지에 맞게 자발적으로 출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포스코는 2012년 3월 이사회 의결로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기로 했으며, 2016년 1차 30억원, 2017년 2차 30억원 등 60억원을 이미 납부했다.이번 정부 발표에 따라 유보했던 잔여 약정액 40억원을 출연해 재단과의 약속을 이행했다는 게 포스코의 설명이다. 지난 6일 정부는 2018년 대법원 배상 확정 판결을 받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국내 재단이 판결금을 대신 지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일본의 피고기업(신일본제철·미쓰비시중공업)들은 배상 책임에서 빠져 피해자들을 철저히 외면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당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는 "잘못한 사람은 따로 있고 사죄할 사람도 따로 있는데 (제3자 변제 방식으로) 해결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동냥해서 (주는 것처럼 하는 배상금은) 안 받으련다"고 말했다.최근 정부가 확고한 대주주가 없는 소유분산기업을 향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에 포스코를 시작으로 나머지 청구권 자금 수혜 기업들도 기부금 출연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한국 정부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을 체결하면서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5억 달러의 경제협력자금을 받았다.이 중 일부는 기업 지원 자금으로 쓰였는데 포스코의 전신인 포항종합제철에 전체 청구권 자금의 24%인 1억1948만 달러가 투입됐다. 청구권 자금 수혜 기업은 포스코를 비롯해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외환은행, 한국전력공사, KT, KT&G, 한국수자원공사 등 16곳이다.이와 관련해 KT 측은 "정부의 방향성에 맞춰 요청이 있다면 기부금 출연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다. 학계와 시민단체는 일본의 사죄 없는 제3자 변제를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이날 한국역사연구회·역사학회·역사교육연구회 등 49개 단체는 성명을 내고 "사과와 배상에 대한 어떠한 보장도 없이 돈을 지급하려는 방안은 아무런 반성 없는 가해자에게 면죄부를 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과 인류의 미래를 어둡게 만든다"고 꼬집었다.같은 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도 "정부의 해법은 용서와 화해는 물론 미래도 불러올 수 없다. 더 큰 갈등과 파국만 불러온다"고 비판했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3.03.16 07:00
게임

게임위, ‘2020 게임이용 전문지도 교육연구회’ 출범

게임물관리위원회는 ‘2020 게임이용 전문지도 교육연구회’를 출범했다. 게임위는 지난 5월 29일 시타딘 해운대 호텔에서 ‘2020 게임이용 전문지도 교육연구회 출범식’을 가졌다. 교육연구회는 게임물 연령등급 준수 등 청소년의 올바른 게임이용 가치관 확립을 위한 교육연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출범하게 됐다. 교육연구회는 서울, 경기, 부산지역 초․중등 교사 6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과 게임물 전문지도사 21명, 게임위 교육담당자 등으로 구성됐다. 교육연구회는 정기적인 연구모임과 자율 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해 게임물 등급분류 체험교구 고도화와 초등 저학년용 맞춤형 교안 개발 등 다양한 교육연구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게임위는 2014년 건전 게임이용 문화 조성 시범 교육 이후 지속적으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게임물 등급분류 교육을 수행해오고 있다. 2019년 한 해 동안 총 147회 6644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수행했으며, 올해에도 건강한 게임이용 문화 확산을 위한 이용자 대상 등급분류 교육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게임위 이재홍 위원장은 “이번 교육연구회가 이용자 대상 등급분류 교육의 효과성과 전문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위원회는 청소년의 올바른 게임이용 가치관 확립과 건강한 게임문화 조성을 위해 등급분류 교육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06.01 19: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