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건
경제일반

지난해 12월 세계식량가격 하락…설탕가격 5.1% 내려

세계식량가격이 지난해 12월 하락세로 돌아섰다.4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7.0으로 전달 대비 0.5% 내렸다.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로, 지난해 7월 120.9에서 11월 127.6까지 올랐다가 12월 다시 하락했다.품목군별로 보면 육류를 제외한 곡물, 유지류, 유제품, 설탕 가격이 모두 내렸다.설탕 가격지수는 120.0으로, 전달과 비교해 5.1% 하락했다.브라질의 생산 증가와 헤알화 약세, 인도와 태국의 수확 전망 개선 등이 영향을 미쳤다.유제품 가격지수는 138.9로, 0.7% 내렸다.국제 수요 약화로 버터, 치즈, 탈지분유 가격은 하락했으나 전지분유 가격은 상승했다.유지류 가격지수는 0.5% 내린 163.3이다. 팜유 가격은 2% 올랐으나 대두유, 유채유, 해바라기유 가격이 하락했다.곡물 가격지수는 0.1% 하락한 111.3이다.옥수수 가격은 올랐고 밀 가격은 아르헨티나와 호주의 수확량 증가에 국제 수요 약화가 맞물리면서 하락 압력이 있었으나, 러시아의 작황이 좋지 않아 안정세를 보였다.육류 가격지수는 0.4% 오른 119.0이다.주요 수출국의 생산 제약과 처리 시설의 연말 가동 중지로 인해 국제 소고기 가격은 상승했고 호주에서 도축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어 양고기 가격이 올랐다.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유럽의 계절적 수요 감소로 하락했다.지난해 평균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2.0으로 전년의 124.5보다 낮았다.안민구 기자 2025.01.04 16:00
산업

정부는 가격 내리라는데…라면업계, '할인'으로 버틴다

농심과 오뚜기, 삼양식품 등 라면 회사들이 국내 주요 대형마트에서 할인 행사를 전개한다. K푸드 열풍에 힘입어 수출이 크게 증가한 데에 따른 '국민 보답 차원'이라는 게 이유다. 업계에선 정부의 지속적인 가격 인하 압박에 라면 회사들이 단발성 '할인 카드'로 버티기에 들어갔다는 해석도 나온다.라면 최대 34% 할인16일 한국식품산업협회에 따르면 농심·삼양식품·오뚜기·팔도 등 라면 업계 4개사는 7∼8월 두 달간 주요 대형마트(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GS수퍼 등)에서 대대적인 가격 할인 행사를 실시한다.농심은 신라면, 짜파게티, 너구리 등 대표 제품과 여름철 소비가 많은 둥지냉면, 메밀소바 등 19개 제품을 10∼32% 할인한다. 삼양식품도 불닭볶음면을 비롯한 삼양라면 등 24개 라면 제품에 대해 10∼28% 할인을 진행한다. 오뚜기는 진라면, 진비빔면, 짜슐랭, 열라면을 10∼30% 할인한다. 팔도는 여름 시즌 소비가 많은 비빔면을 필두로 비빔쫄면, 왕뚜껑 등 15개 제품으로 10∼34% 할인행사를 연다.이번 행사는 K푸드 열풍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한 라면 업계가 국민 보답 차원에서 추진했다는 게 협회의 설명이다. 올해 상반기 라면 수출액은 5억9020만 달러(약 8180억원)로 전년 대비 32.3% 증가했다. 특히 중국과 미국에서 각각 상반기 기준 최초로 수출 1억 달러(약 1380억원)를 넘어섰다.이효율 식품산업협회 회장은 "라면은 소비자 체감도가 큰 식품으로 이번 행사가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압박에 단발성 할인으로 '생색'다만 라면 회사들의 가격 할인을 바라보는 일부 유통 업계의 생각은 다르다.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에 단발성 할인 카드로 '생색내기'에 나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정부는 지난해 11월 라면을 대상으로 담당 공무원을 지정하는 전담 관리제 이른바 '라면 사무관'을 도입한 데 이어 올해도 가격 인하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기획재정부 등은 올 하반기부터 소비자단체와 함께 물가 불안품목·분야 등에 대한 '물가감시 리포트'를 매 분기 공개할 계획이다. 리포트엔 원재료 가격 하락에도 가격을 동결하거나 인상한 기업의 목록이 담길 예정이다. 또 리포트에 포함된 기업 및 품목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장 모니터링 전담팀에서 중점적으로 법 위반 혐의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 앞서 소비자단체는 2010년대 초반부터 물가감시 리포트를 발행해 왔다. 다만 원재료 가격 인하에도 가격을 동결하거나 인상한 기업 명단을 공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민 물가와 직결되는 품목을 망라하겠다는 계획으로, 라면과 빵·커피 등 가공식품이 포함될 예정이다.특히 라면의 경우 원재료인 밀가룻값이 떨어져 가격 인하 요인이 발생한 상태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올해 2월 곡물 가격 지수는 113.8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인 2022년 3월(170.1) 대비 33.1% 떨어졌다. 팜유, 대두유 등 유지류 가격지수 역시 2022년 3월 251.8로 고점을 찍은 뒤 지난 2월 120.9로 급감한 상태이다.반면 라면 가격 하락률은 3%대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농심(89.1%) 오뚜기(37.3%) 삼양식품(62.4%) 등 주요 라면 업체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급증했다. 올해 1분기도 마찬가지다. 오뚜기는 1분기 영업익 작년보다 12% 늘었고, 삼양식품은 무려 235%나 급증했다.라면 업체들 "가격 인하는 어려워"라면 회사들은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하에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한 라면업체 관계자는 "라면의 경우 원재료 가운데 밀가루 비중이 20~30%에 불과하다"며 "환율, 유가, 물류비 등 원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가격 인하를 논의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치솟은 인건비와 유통비 등 다른 인상 요인이 산적한 상황에서 원재료 가격 인하만을 기준으로 기업 명단을 공개하겠다는 것은 또 다른 방식의 압박”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원재료 업체와의 공급 가격 계약이 연초에 이미 매듭돼 가격 인하는 어려운 것이 사실"며 "일부 업체의 경우 정부의 가격 인하 요구에 '할인 행사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만 라면 업계의 할인 행사가 물가 부담을 낮추는 데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미지수다. 할인이 끝나면 가격이 원상 회복되기 때문이다. 이미 대형마트 등 유통업계가 진행 중인 행사와도 별반 다르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7.17 07:00
산업

세계 식량 가격 11개월째 하락…설탕 가격은 6.9% 상승

세계 식량 가격이 11개월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곡물을 비롯한 대부분의 품목 가격이 하락했으나 지난달 설탕 가격은 전월보다 올랐다.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9.8로 전월(130.6)보다 0.6% 하락했다.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해 3월 159.7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11개월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FAO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 가격 동향을 조사해 곡물·유지류·육류·유제품·설탕 등 5개 품목군별로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집계해 발표한다.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다.5개 품목 중 곡물과 유지류, 육류, 유제품 등 4개 품목의 가격은 떨어졌으나 설탕 가격은 올랐다. 2월 곡물 가격지수는 0.1% 하락한 147.3을 기록했다.밀은 미국 주요 생산지의 가뭄과 호주산 밀의 수요 강세로 가격이 상승했으나, 쌀의 경우 태국 등 주요 수출국에서 달러 대비 환율이 약화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유지류 가격지수는 3.2% 하락한 135.9였다.팜유는 수요 둔화가 지속되며 가격이 하락했고 대두유도 남미의 생산량 증가 전망 영향으로 가격이 내려갔다. 유채씨유와 해바라기씨유 역시 수출용 물량이 충분해 가격이 하락했다. 육류는 0.1% 하락한 112.0이었다.가금육은 수요 둔화로 가격이 떨어졌지만 돼지고기는 유럽의 수요 증가와 도축용 돼지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올랐다. 소고기는 가격에 큰 변동이 없었다.유제품은 3.6% 하락한 131.3이었다. 버터, 탈지분유 등 모든 유제품의 가격이 하락했다. 반면 설탕 가격지수는 6.9% 상승한 124.9였다. 인도의 설탕 생산량 전망이 하향 조정되며 가격이 크게 올랐다.다만 태국에서 수확이 양호하고, 브라질의 기후 상황과 국제 원유 가격 및 브라질 에탄올 가격 하락 등이 영향을 미치며 상승폭을 줄였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3.04 13:05
생활문화

세계 식량 가격 10개월째 하락…유제품·설탕 등 가격 내려

세계 식량 가격이 10개월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31.2로 전월(132.2)보다 0.8% 하락했다.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해 3월 159.7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10개월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FAO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 가격 동향을 조사해 곡물·유지류·육류·유제품·설탕 등 5개 품목군별로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집계해 발표한다. 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다.5개 품목 중 유지류와 육류, 유제품, 설탕 4개 품목의 가격이 떨어졌다. 유지류 가격지수는 전월(144.6)보다 2.9% 하락한 140.4다. 팜유는 주요 수입자들이 재고를 다량 확보하며 수요가 둔화해 가격이 하락했다. 유채씨유와 해바라기씨유도 물량이 충분히 공급돼 가격이 낮아졌다.육류 가격지수는 전월(113.7)보다 0.1% 하락한 113.6이다. 소고기는 호주, 뉴질랜드에서 공급량이 늘어 가격이 내려갔고 돼지고기는 공급이 충분한데다 중국의 수입 수요가 예상보다 저조해 가격이 하락했다. 가금육은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에도 수출 가능 물량이 증가해 가격이 하락했다.유제품은 전월(138.2) 대비 1.4% 하락한 136.2다. 버터는 호주, 뉴질랜드에서 공급이 늘어 가격이 하락했다. 전지분유와 탈지분유도 수요 약화에 따라 가격이 내려갔다. 다만 치즈는 신년 연휴 서유럽에서 외식·소매용 수요가 회복되면서 가격이 상승했다.설탕 가격지수는 전월(117.2)보다 1.1% 하락한 115.8이었다. 태국에서 수확이 원활했고 브라질에서 생산 여건이 개선된 것이 주요인이었다.반면 곡물 가격지수는 전월(147.3)보다 0.1% 상승한 147.4였다. 옥수수와 쌀 가격은 수요 증가에 따라 상승한 반면 밀은 호주와 러시아에서 예상보다 생산량이 늘어 가격이 떨어졌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2.04 15:51
경제일반

세계식량가격 3개월 연속 하락세…육류·유제품은 상승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공급망이 타격을 입으면서 급등했던 세계식량가격이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이하 FAO)가 조사한 2022년 6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2.3% 하락한 154.2포인트를 기록했다. 3월에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품목군별로는 곡물 및 유지류, 설탕 가격지수가 떨어졌다. 곡물 가격지수는 전월보다 4.1% 하락한 166.3포인트다. 밀은 북반구의 수확 개시, 캐나다·러시아 등의 생산량 개선 전망, 전 세계적인 수입 수요 둔화 등으로 가격이 떨어졌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수확 진행, 미국의 작황 개선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쌀은 인디카 및 바스마티 쌀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유지류는 전월보다 7.6% 내려간 211.8포인트다. 팜유는 주요 생산국의 공급량이 증가하고 인도네시아가 국내에 팜유 재고를 수출할 것으로 보이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해바라기씨유와 대두유는 최근의 가격 증가의 영향으로 수입 수요가 억제되면서 가격이 떨어졌다. 유채씨유는 수요 억제에 더해 수확기가 다가오면서 가격이 낮아졌다. 육류는 전월보다 1.7% 상승한 124.7포인트다. 가금육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반구의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으로 공급 장애가 이어지고 있다. 쇠고기는 중국이 브라질로부터의 수입 제한을 해제하면서 가격이 올랐다. 돼지고기는 주요 수입국들이 수입량을 확대하면서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유제품은 전월보다 4.1% 오른 149.8포인트다. 치즈는 유럽의 이른 폭염으로 생산량이 감소해 하반기 공급 물량이 저조할 것으로 우려된다. 분유는 수입 수요 강세와 전 세계적인 공급 부족이 이어지고 있다. 버터는 향후 수개월 간 우유 공급 전망이 불확실해지면서 유럽 내 수요와 해외 수요가 모두 증가했다. 설탕은 전월보다 2.6% 하락한 117.3포인트다. 세계 경제 성장 둔화로 설탕 수요가 감소했고, 브라질 헤알화 약세와 에탄올 가격 하락 등이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FAO는 2022~2023년 세계 곡물 생산량이 2021~2022년 대비 0.6%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같은 기간 세계 곡물 소비량도 0.1%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07.09 14:50
경제일반

세계 식량가격 두 달째 하락…우크라 전쟁 탓 곡물·육류는 상승세

세계 식량가격이 올 3월 최고치를 찍은 뒤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영향으로 곡물 및 육류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이하 FAO)의 지난달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6% 떨어진 157.4포인트를 기록했다. 곡물 가격지수는 2.2% 상승한 173.4포인트다. 밀은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과 주요국 작황 부진, 인도의 수출 제한 조치로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 옥수수는 미국의 작황 일부 개선, 남미의 수확기 도래 등으로 가격이 낮아졌다. 쌀 가격은 전체적으로 상승했다. 육류는 전월보다 0.5% 오른 122.0포인트를 나타냈다. 가금육은 우크라이나의 공급망 장애 지속,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유럽과 중동의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했다. 돼지고기는 서유럽의 수출 여력 확대와 유럽연합(EU)의 민간재고 방출 예상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쇠고기는 전반적으로 수요가 늘었지만 브라질과 오세아니아의 공급량이 증가해 가격 변동이 제한적이었다. 유지류·유제품·설탕 가격지수는 하락했다. 유지류의 경우 팜유는 인도네시아의 수출 제한 조치 해제로 가격이 떨어졌지만, 수출 전망이 불확실해 하락 폭이 크지는 않았다. 해바라기씨유는 우크라이나의 물류 정체로 재고가 축적되며 가격이 낮아졌다. 대두유와 유채씨유도 최근 가격 상승으로 수입 수요가 줄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유제품 중 분유는 세계적인 공급 부족에도 중국 봉쇄가 이어지면서 가격이 내려갔다. 버터는 오세아니아의 공급 증가, 유럽 내 판매 저조 등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치즈는 전반적으로 수입 수요가 감소했지만 여름 휴가를 앞두고 소매 판매 및 외식업 수요가 증가해 가격 하락 폭이 작았다. FAO는 2022~2023년 세계 곡물 생산량과 소비량, 기말 재고량이 전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가격 상승과 수급 불안 가능성에 대비해 관련 업계와 일일 단위로 주요 곡물 재고 및 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6.04 14:22
경제

라면값 13년 만에 최대폭 상승…장바구니 물가 '비상'

라면 가격이 약 1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지난달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는 109.89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지난달 상승 폭은 2014년 11월 이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품목별로 보면 라면 가격이 1년 새 11.0% 올라 2009년 2월 이후 12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농심과 오뚜기, 삼양식품, 팔도 등 대표적인 라면 업체들이 밀가루, 팜유 등 원재료비 상승을 이유로 8월부터 줄줄이 라면 출고가를 인상한 여파다. 오뚜기는 지난 8월 라면 가격을 평균 11.9% 올렸다. 가격 인상 폭은 진라면 12.6%, 스낵면 11.6%, 육개장(용기면) 8.7% 순이다. 농심도 신라면 7.6%, 안성탕면 6.1%, 육개장사발면 4.4% 등 평균 6.8% 올렸다. 삼양식품도 삼양라면과 불닭볶음면 등 13개 라면 제품의 권장 소비자 가격을 평균 6.9% 인상했다. 팔도 역시 지난 9월 라면 가격을 평균 7.8% 인상했다. 공급가 기준 비빔면 10.9%, 왕뚜껑 8.6%, 도시락 6.1%, 일품 해물라면 6.3%씩 올렸다. 통계청 관계자는 "업체들이 올해 8월, 9월에 출고가를 올린 것이 10월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에 반영됐다"며 "원재료 가격 상승은 곧바로 반영되기보다 다소 시차를 두고 점진적으로 반영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밀가루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국수 가격 역시 19.4% 올랐고, 비스킷과 파스타면, 빵, 스낵 과자 가격도 함께 상승했다. 문제는 국제 곡물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감에 따라 향후 가공식품 가격이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데 있다. 실제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곡물·유지류·육류 등 주요 식량 품목의 국제 가격을 지수화한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 10월 기준으로 전월보다 3.0% 상승한 133.2로 집계됐다. 여기에 장바구니 물가뿐 아니라 외식 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외식 물가지수는 115.10으로 1년 전보다 3.2% 상승해 2018년 11월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품목별로는 생선회가 8.8%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죽과 막걸리, 갈비탕 등이 뒤를 이었다. 김밥 가격은 4.8%, 밖에서 사 먹는 라면 가격도 3.9% 각각 올랐다. 이에 따라 서민 체감 물가와 직결되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달 4.6% 급등해 2011년 8월 이후 10년 2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1.07 14:4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