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연예

15억에 녹화장 술렁…'진품명품' 최고 감정가 도자기 1위 등장

세월 속에 묻혀 있는 소장품의 가치를 되찾아주는 KBS1 ‘TV쇼 진품명품’에서 도자기 최고 감정가격이 갱신됐다. 영롱한 비색을 자랑하는 ‘청자 포도동자문 매병’이 15억원의 감정가를 기록하면서다. 도자기만 놓고 보면 가장 높은 가격이고, 모든 출품작 사이에서는 전체 2위다. 30일 방송된 TV쇼 진품명품에 나온 ‘청자 포도동자문 매병’은 감정가 15억원이 매겨지면서 녹화장을 술렁이게 했다. 청자 포도동자문 매병은 12세기 중기에서 13세기 사이 제작된 도자기로 고려청자의 일종이다. 영롱한 비색을 자랑하는 청자 상감포도동자문 매병에는 포도 문양과 동자 문양이 함께 새겨져 있다. 동자와 포도가 함께 새겨진 청자는 박물관에서도 자주 보기 힘든 귀한 작품이라고 한다. 웅크리고 앉은 매의 형태를 닮아 ‘매병’이라 불리며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형태다. 포도는 한 가지에 많은 열매를 맺는 식물이라서 풍요·다산(多産)을 뜻한다. 포도의 덩굴손이 용의 수염과 닮아서 벽사(辟邪·귀신을 내쫓음)의 상징하기도 한다. 도자기 한가운데 그려진 포도 줄기와 노는 듯한 동자의 모습은 자손이 끊이지 않고 번성한다는 의미다. 여기에 동자라는 존재가 세속에 물들지 않았다는 이유로 신성을 의미하며, 불교적으로는 부처의 아들이기 때문에 공양을 뜻한다. 김준영 도자기 감정위원은 “주전자에 포도와 동자가 그려지는 경우는 있지만, 청자는 그렇지 않다”며 “상당히 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규모가 큰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을 도자기”라며 “보물급”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800년이나 된 도자기라 지열이나 풍화로 생긴 금은 큰 흠이 되지 않는다”며 “잘 관리해서 박물관 같은 곳에서 볼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1995년부터 방영된 TV쇼 진품명품의 역대 최고 감정가는 지난 2015년 방영됐던 ‘대동여지도 채색본’이다. 고산자(古山子) 김정호가 군·현별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대동여지도에 채색을 더한 작품으로, 당시 25억원의 감정가를 받았다. 역대 2위는 2011년 석천한유도(15억원)다. 조선후기 화가로 알려진 화원 김희겸이 그린 그림으로 조선무신인 석천(石泉) 전일상의 생활상을 담았다. 2004년에 방영한 청자상감모란문 장구는 12억원의 감정가를 받아 역대 3위 감정가를 기록했다. 한영혜 기자 2022.01.31 14:50
연예

운보 김기창 화백 ‘운보의 집’ 재경매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에서 김탁구의 생모 집으로도 소개된 운보 김기창 화백의 '운보의 집' 일부가 법원 경매에 재등장했다. 15일 부동산경매전문업체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충북 청북 청원군 내수읍 소재 운보의 집 가운데 일부 토지와 건물이 지난해 10월 경매로 나왔다. 경매 대상은 도예공방과 편의시설·주차장 등으로 토지 2만5천772㎡, 건물 961㎡ 규모다. 운보의 집은 1만원 지폐 속 세종대왕의 초상 도안자로 유명한 김 화백이 완공해 1988년부터 소유하다가 2001년1월 별세하기 전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치며 생활했던 곳이다. 타계직전인 2000년 12월 ‘주식회사 운보와 사람들’에게 증여돼 소유권이 이전됐으나 부도나면서 경매 처분돼 2006년 1월 현재 소유자인 한모씨에게 낙찰됐다. 그러나 낙찰자가 은행으로부터 빌린 15억원의 대출금을 갚지 못해 이 집은 다시 경매법정에 나오게 됐다. 작년 10월 첫 경매가 진행된 이후 네 차례나 유찰을 거듭했고 오는 21일 청주지방법원에서 열릴 5회 차 경매에서는 감정가의 41%인 10억6370만원에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낙찰자는 재단측과 조경석과 조경수를 둘러싼 법정 다툼을 최근까지 벌여왔다. 이번 경매 대상에서 조경석과 조경수는 제외된다. 장상용 기자 [enisei@joongang.co.kr] 2011.02.15 10:2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