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파리바게뜨 점주, 비대위 출범…"도 넘은 민주노총 시위에 분노"

파리바게뜨 가맹점주협의회(점주협의회)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제빵기사들의 시위 및 불매운동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대책위원회(가맹점주 비대위)'를 출범했다고 24일 밝혔다. 점주협의회는 "민주노총 소속 제빵기사들이 끊임없는 시위와 집회, 기자회견 등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훼손하고, 지지 단체들과 연계해 불매운동까지 벌이는 상황에서도 노동자들의 입장을 생각해 감내해 왔다"며 "제빵기사들의 인건비도 올려주고, 가맹본부가 각종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기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가맹점 앞에서까지 지속적인 불매운동 시위를 벌이자 더는 참지 못해 행동에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특히 이달 초 폭우로 인한 국가적인 재난 상황에서 일부 가맹점주들이 피해를 보고 고통받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총 지지단체들이 가맹점 앞에 와서 불매운동을 벌이자 전국의 가맹점주들이 크게 분노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맹점주 비대위는 "코로나19로 인한 피해에서 이제 막 벗어나려고 애쓰고 있는 가맹점주들이 민주노총과 관련 단체들의 불매운동으로 영업권 및 재산권에 심각한 피해를 보고 회복하기 어려운 상황에 몰리고 있다"며 “국가에 법적 보호를 요청했으나 이마저도 받아들여지지 않아 점주들이 나서 자신들을 스스로 지킬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가맹점주 비대위는 “가맹점주들의 희생과 협조로 제조기사들의 인건비를 3년간 40%나 올려줬는데도 민주노총 제빵기사들은 무고한 소상공인인 가맹점들을 볼모로 삼아 원하는 바를 관철하려는 악의적인 폭력 행위를 벌이고 있다”며 “전국 3400여 가맹점주들은 더는 이를 좌시하지 않고 영업권과 재산권, 그리고 파리바게뜨 브랜드를 지켜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맹점주 비대위는 민주노총 제빵기사들의 사회적합의 미이행 주장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가맹점주 비대위는 “회사와 가맹점주협의회, 4200명의 제빵기사로 이뤄진 교섭대표 노동조합의 노력으로 사회적합의를 충실히 이행했음에도 200여 명에 불과한 민주노총 소수 제빵기사가 어깃장을 놓고 있다”며 “이는 개별교섭 등 원하는 목적을 얻어내기 위한 선동 수단에 불과하며, 합의 이행 검증 주장도 대응할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가맹점주 비대위는 민주노총과 관련 단체들의 영업권 및 재산권 침해 행위에 대해 법적 대응을 비롯한 필요한 조치에 나서고, 정치권과 이해관계자들에게 소상공인 가맹점주들의 어려움과 극심한 피해, 사회적합의의 충실한 이행 사실을 알려 나갈 예정이다. 필요할 경우 전국 가맹점주들의 단체 항의 방문이나 집회를 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이 밖에도 민주노총과 관련 단체들이 불매운동을 비롯한 브랜드 훼손 행위를 계속해서 멈추지 않을 경우에는 용역 거부와 자체 생산 확대 방안 등 비상대책 수립도 검토할 방침이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08.24 17:48
연예

제과협회·대형프랜차이즈 ‘동반성장’ 극적 합의

"그 동안의 갈등은 업계의 공정한 룰을 정하는 과정이었지 않나 싶습니다."동네빵집과 대형 제과프랜차이즈업체가 법정까지 갔던 갈등을 해소하고 손을 맞잡았다. 대한제과협회와 파리바게뜨·뚜레쥬르는 27일 서울시 구로구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제과점업 동반성장을 위한 합의서'에 서명했다. 지난 5일 동반위가 제과점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한 후 20여일간 계속됐던 제과협회와 대기업 프랜차이즈와의 대립이 일단락된 것. 이날 행사에는 유장희 동반성장위원장, 김서중 대한제과협회장, 조상호 파리크라상(파리바게뜨) 대표이사, 허민회 CJ푸드빌(뚜레쥬르)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합의서에는 ▲제과점업 중소기업 적합업종 권고사항의 성실한 준수 ▲그간의 상호비방행위 자제 및 소송 등 법적분쟁의 취하 ▲소비자 후생증진 및 제과점업계 발전을 위한 상호 협조 노력 ▲협회 측의 소속 회원 의견수렴 및 이해증진을 위한 노력 ▲협회 미가입 가맹점의 가입독려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제과업 전체 발전 위한 상생 필요"합의서에 서명한 대표들은 소모적인 갈등을 줄이고 앞으로 협력과 상생을 통해 제과업 전체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김서중 제과협회장은 "서로 오해가 있었는데 오늘 전환점을 만들 계기를 마련했다"며 "그동안 소비자들에게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드렸으니 이제는 깨끗하게 화해하고 같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드릴 차례"라고 말했다. 조상호 파리크라상 대표 역시 "룰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우리의 입장을 주장했지만 룰이 정해진 이상 업계 전체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입장을 전했다. 동반위는 제과협회와 대형 프랜차이즈가 극적 합의를 이룬 배경에 대해 "SPC그룹이 지난 20일 전격적으로 동반위의 권고 사항을 적극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화해 분위기가 본격화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합의로 동네빵집과 대형프랜차이즈의 갈등이 일단락되긴 했으나 근본적인 합의를 위해서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지난해 말 대한제과협회를 상대로 협회비 반환 청구, 협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 등을 제기한 '프랜차이즈 자영업자 생존권 보상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와의 소송 취하 합의가 완벽히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 비대위는 파리바게뜨 가맹점주들이 구성한 단체다. 조상호 파리크라상 대표이사는 "비대위가 주도해서 소송을 했기 때문에 회사가 대표로 얘기할 수 없는 입장"이라면서도 "회사가 오늘 화해를 했으니까 비대위도 여러가지 생각을 하시지 않을까 싶다. 최종 결정은 비대위 소속 가맹점주들이 하실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서중 제과협회장 역시 "파리바게뜨 본사와 제과협회가 계속해서 비대위 소속 가맹점주들과 접촉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합의가 잘 이루어질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이소은 기자 luckysso@joongang.co.kr 2013.02.27 12:0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