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동 대학축구연맹 회장이 선수들을 격려하는 모습. 사진=대학축구연맹 한국대학축구연맹은 지난달 30일 한국프로축구연맹이 개최한 2025년도 제5차 이사회에서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 폐지’와 ‘U22 제도 완화’ 방침이 확정된 것과 관련해 “이번 제도 변화는 한국 축구의 육성 시스템이 새롭게 재편되는 전환점이며, 대학축구가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박한동 한국대학축구연맹 회장은 지난 3월 대학축구 비전 발표 당시 ‘U22 제도 완화’를 핵심 공약 중 하나로 제시했다. 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 박 회장은 대한축구협회 및 한국프로축구연맹 관계자들과의 지속적인 논의와 의견 교환을 통해 한국 축구의 현실적인 육성 정책 개선 방향을 꾸준히 제안해 왔다.
한국대학축구연맹은 “이번 프로축구연맹의 외국인 선수 정책 조정과 U22 제도 완화는 대학축구연맹이 일관되게 제시해 온 방향성과 궤를 같이한다”며 “그간의 논의와 노력들이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한국대학축구연맹은 올해 4월부터 연령별 대학축구 상비군 제도를 본격적으로 운영하며, 기존 대학축구 체제의 한계를 보완하고 있다. 또한 전문화·체계화된 선수 육성 시스템을 기반으로 대학축구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UNIV PRO’ 프로젝트를 출범했다.
사진=대학축구연맹 이 프로젝트는 연령별 대학 선수들이 체계적인 훈련과 정기적인 연습경기를 통해 실전 감각을 한층 끌어올리고, 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확보할 수 있게끔 설계됐다.
대학축구연맹은 "연맹은 향후 ‘UNIV PRO’ 프로젝트를 제도 변화에 맞춰 확대하고, 대학과 프로 구단 간의 새로운 연계 구조를 만들기 위해 한국프로축구연맹과 함께 ‘특별 선수 계약’ 제도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제도는 대학에 재학 중인 선수가 프로 구단에서의 활동을 병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계약으로, 선수 육성의 지속성과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일본·미국·동남아 등 해외 리그 및 구단과의 협업을 추진해 대학 선수들의 국제 무대 진출 기회 확대를 도모하고, K리그 외국인 선수 등록 확대 방침에 따라 외국인 대학생 선수의 참여와 인큐베이팅도 강화할 계획이다.
박한동 회장은 “제도가 완화된 만큼 이제는 현장에서 진짜 성장이 이뤄져야 한다”며 “대학축구는 그 변화를 가장 가깝게 체감하고 실현할 무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축구의 경쟁력은 결국 현장에서 만들어지며, 그 중심에 대학이 자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