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인천 아시안게임과 2022 항저우 대회 은메달리스트 김상도(38)가 십수년간 잡아온 소총을 내려 놓는다.
김상도는 지난달 19일 창원국제사격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50m소총3자세 결선을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경희대를 졸업한 김상도는 2009년 경찰 무궁화체육관에 이어 2014년부터 KT 사격 선수단에서 활약하며 인천 아시안게임 10m 공기소총 단체전 은메달, 항저우 아시안게임 10m 공기소총 단체전 은메달, 50m 소총 3자세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한 국가대표 출신 베테랑 사격선수다. 2020 도쿄 올림픽에서도 남자 사격 국가대표로 활약한 바 있다.
김상도는 2일 KT 사격단을 통해 "약간 아쉬우면서 후련하다. 전반적으로 시원섭섭한데, 앞으로 새로운 것과 마주하게 된다는 기대감도 공존한다"라고 은퇴 소감을 전했다.
마지막 경기를 마치고 이현태 코치(왼쪽)와 박하준 선수(오른쪽)가 준비한 축하 꽃다발을 받은 KT 김상도. KT 사격단 제공
그는 마지막 대회 후 후배 박하준에게 꽃다발을 받았다. 장내 아나운서 역시 그의 은퇴를 알리며 많은 팬들의 박수도 받았다. 김상도는 "생각하지 못한 큰 선물이었다. (박)하준이는 대회 마치고 집에 갔다가 선물을 주러 다시 왔다고 하더라. 내가 선수 생활을 잘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말했다.
주변에서 선수 생활을 더 해도 될 것 같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는 그는 "은퇴한다니까 다들 박수 쳐주고 격려해 주는 진심 어린 마음들을 체감할 수 있었다"라며 "오랜 기간 함께 했던 (김)종현이 형(KT 코치)이 많이 생각날 것 같다. 종현이 형이 "지금 당장은 아쉽더라도 선수들 모두 끝이 있고, 좋은 자리가 나서 가는 거니 축하한다"고 해주셨다. 형은 이제 선수촌에 다시 들어가는데 응원하고 싶다"고 전했다.
김상도는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경기로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꼽았다. "종현이 형과 같이 팀을 이뤄 나갔던 경기였다. 다른 팀 소속(창원시청) 막내 모대성 선수가 메달이 없었는데, 세 명이서 메달 색깔을 떠나 시상대에 같이 올라갈 수 있게 해보자고 열심히 했던 기억이 있다. 단체 동메달이었지만 마지막 목표를 이루고 나란히 시상대에 올라간 것이 기분 좋았다"고 돌아봤다.
사격 국가대표 출신 김상도. KT 사격단 제공
다만, 그는 2016 리우 올림픽 불참은 선수 커리어에 아쉬운 장면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년도 세계랭킹 2위였고, 종목 쿼터도 11년 만에 따와서 모두가 메달이 유력하다고 했었는데, 리우 올림픽 선발전에서 좌절하며 출전을 못 했다. 너무 힘들었고, 그 이후 50m 종목으로 주종목을 바꿔서 훈련을 이어나갔다"라고 회상했다.
선수 생활의 절반을 함께한 KT에 대해서는 "고향 같은 팀"이라고 말했다. 그는 "항상 많이 도와주셔서 감사했고 다들 행복하셨으면 좋겠다"고 애정을 드러냈다. 이어 "정직하고 착한 선수, 하지만 사격 경기장 내에서는 승리욕 있었던 선수로 기억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박상도는 "선수촌에서 계속 지내느라 아내와 아이들에게 소홀했는데 미안했다. 앞으로는 집에 많이 있으니까, 가족들과 더 건강하게 행복한 시간을 많이 보내고 싶다"고 전했다. 그는 "마침 14살인 큰아이가 올해부터 사격을 시작해 나와 같은 종목에 도전하게 됐다. 내 선수 생활은 끝나지만 우리 아이에게는 시작인 만큼 많이 응원하고 도와주고 싶다"고 덧붙였다.
사격 국가대표 출신 김상도. KT 사격단 제공
한편, 박상도는 이제 지도자의 길을 걷는다. 그는 "고향인 이천으로 학생 선수들을 가르치러 간다. 1등이 아니더라도 어린 친구들이 사격을 시작할 때 즐겁게 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다"라면서 "소통 잘 해서 선수들과 좋은, 즐거운 추억들을 많이 남기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