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단풍이 절정인 요즘 67세의 권씨는 남편과 함께 근교 공원으로 산책을 나섰다. 선선한 바람을 맞으며 걷는 기분이 상쾌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리가 저리고 당겨 걸음을 멈출 수밖에 없었다. 잠시 쉬면 괜찮아지는 듯했으나 다시 몇 걸음 옮기면 통증이 반복됐다. 연이어 나타나는 불편감에 걱정이 된 권씨는 병원에서 검사 결과 ‘척추관협착증’ 진단을 받았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근을 압박해 통증이나 저림, 보행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원인이지만 잘못된 자세나 과도한 활동, 비만 등도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50~70대 여성에게 흔한 질환으로 폐경 이후 여성호르몬 감소로 뼈와 인대가 약해져 척추 안정성이 떨어진다. 부모님들은 대부분 허리 통증을 나이 탓으로 여기고 방치하지만, 심하면 보행 장애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 질환의 대표 증상은 허리 통증과 함께 걸을 때 다리가 저리고 아픈 ‘간헐적 파행’이다. 어르신들이 걷다 주저앉거나 유모차나 카트를 밀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앉거나 허리를 구부리면 신경 압박이 완화돼 증상이 줄기 때문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초기 치료만 잘 받아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
연합뉴스 초기에는 약물, 물리, 주사 등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시기를 놓치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수술은 뼈와 인대, 근육 손상을 최소화하는 최소 침습적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피부 절개 없이 2개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병변 부위를 직접 확인하며 신경을 압박하는 조직만 제거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술’이 각광받고 있다. 출혈과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고령자나 만성질환으로 수술이 힘든 환자는 물론 허리디스크·척추관협착증 등 다양한 척추 질환에 적용이 가능한 치료법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과 꾸준한 관리다. 오래 앉아 있는 습관, 구부정한 자세, 비만은 척추에 큰 부담을 준다. 평소 가벼운 스트레칭과 걷기, 허리 근육 강화 운동으로 척추 주변 근육을 단단히 유지하는 것이 좋다.
야외 활동이 많은 가을철 부모님이 “다리가 저려서 자꾸 쉬게 된다”고 말한다면 단순히 피로가 아닌 척추관협착증 신호일 수 있다.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로 건강한 허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