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는 지난 6일 와일드카드(WC) 결정전 1차전에서 좌타자 클린업 트리오를 선발 라인업에 올렸다. 2번 김성윤부터 3번 구자욱, 4번 르윈 디아즈, 5번 김영웅까지 모두 왼손 타자들이었다.
문제는 상대가 왼손 투수 구창모였다는 점이다. 상대적으로 왼손 투수에 약한 타자들이 왼손 타자들임에도 삼성은 이들을 한 데 뭉쳤다. '구창모인데도' 좌타 라인업을 꾸린 게 아니라, 시즌 중에 시너지 효과가 좋았던 '정공법'을 택한 것이다. 그러면서 박진만 삼성 감독은 1차전 키플레이어를 꼽아달라는 질문에 "중심타자들이 힘을 내줘야 이긴다"라며 이 좌타 클린업 트리오를 언급했다.
하지만 결과는 패착이었다. 삼성은 6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은행 SOL 뱅크 KBO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결정전(WC·2선승제) 1차전에서 1-4로 패했다. 정규시즌 4위 삼성은 1승을 안고 시리즈에 임했지만, 이날 패배로 우위가 사라졌다.
이날 삼성은 5안타를 때려내는 데 그쳤다. 구창모에게 6이닝 동안 1득점한 게 전부였다. 이재현이 2안타를 때려냈지만 집중타가 없었다. 기대를 모았던 좌타 라인업에선 단 2개의 안타를 때려내는 데 그쳤다. 2회 김영웅과 6회 김성윤이 때려냈다. 역시 앞뒤로 안타가 없었다. 기대를 모았던 홈런은 '우타자' 이성규로부터 나왔다. 구자욱과 디아즈는 병살타 2개와 삼진 1개로 침묵했다.
구창모. 연합뉴스
경기 후 만난 박진만 감독도 중심타선에 진한 아쉬움을 표했다. 박진만 감독은 "(상대 선발) 구창모에게 묶였다. 타석 쪽에서 찬스가 별로 없었고, 병살도 많이 나왔다. 잘 맞은 타구가 수비 정면으로 갔다. NC가 수비도 잘했다"라고 총평했다.
이어 그는 "중심 타선에서 활발하게 (안타가) 나와야 이기는데, 오늘 경기는 (구창모에게 타격이) 먹힌 것 같다. 내일은 선발 투수가 달라지니까, 중심 타자들이 내일은 활발한 타격을 할 수 있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삼성도 이제 벼랑 끝에 몰렸다. NC와 마찬가지로 한 번만 패하면 탈락이다. 2015년 WC 제도가 신설된 이후 5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준PO)에 진출하는 업셋 사례는 지난해 KT 위즈 딱 한 번 뿐이었다. 두 번째 희생양이 되지 않기 위해선 중심 타선의 부활이 절실하다.
2차전 선발은 로건이다. 다행히 삼성은 로건을 상대로 좋은 기억이 있다. 로건은 올 시즌 삼성과의 2경기에서 평균자책점 5.91(10⅔이닝 7실점)로 부진했다. 최근 경기였던 8월 21일 경기에선 5⅔이닝 3실점했다. 구자욱이 3루타 포함 6타수 3안타, 김영웅이 4타수 2안타로 강했다. 강민호도 홈런 포함 5타수 2안타로 강한 모습을 보인 바 있어 기대를 걸어볼 만 하다.
하지만 가을야구는 정규시즌과 또 다르다. 1차전에서 정공법이 막힌 상황이라, 박진만 감독의 머리속이 더 복잡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