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연맹(KBL) 경기본부가 경기규칙설명회를 열고 새 시즌 달라지는 판정을 소개했다. 몸싸움에 관대한 판정 기조는 유지되며, 부족했던 부분을 시스템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16일 KBL센터에서 미디어 대상 경기규칙설명회가 열렸다. 오는 10월 3일 개막하는 프로농구를 앞두고 달라진 판정에 대해 KBL 경기본부가 설명하는 자리였다.
지난해부터 프로농구계 화두는 ‘하드콜’이었다. 국제농구연맹(FIBA) 가이드라인에 맞게 몸싸움에 더욱 관대한 판정 기조를 따랐다. 하지만 당시 판정 기준, 일관성에 대한 불만이 현장에서 터져나왔다. 팬들도 연일 의문부호를 붙였다. 거친 몸싸움에 선수들이 부상으로 쓰러지자, 지난 시즌 평균 득점은 77.2점에 그쳤다. 프로농구의 평균 득점이 80점을 넘지 못한 건 지난 2019~20시즌 이후 처음이었다.
하지만 올해도 KBL 경기본부의 생각은 달라지지 않았다. 대신 미흡한 부분을 시스템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눈길을 끄는 건 트랜지션(속공) 상황에서의 비신사적파울(U파울)이다. 지난 2023~24시즌까지는 두 발을 붙인 상태에서 팔로 속공을 저지하는 수비수에게 U파울이 선언됐다. 이어진 2024~25시즌에는 FIBA 가이드라인에 따라 일반 파울이 선언됐다. 하지만 올해 다시 2년 전 기조로 바뀐다.
유재학 KBL 경기본부장은 “경기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게 나을지에 대한 고민이었다. 지난 시즌 FIBA 가이드라인을 따랐으나, 현장에선 ‘경기 흐름이 끊긴다’는 지적이 많았다”라며 변경 이유를 설명했다. 현장에서도 이전의 판정 기조로 복귀를 반겼다는 후문이다.
오심을 잡기 위한 챌린지 범위는 더 확대된다. 지난 시즌까지는 파울 챌린지를 하더라도 관련한 장면에 대한 판독만 가능했다. 하지만 올 시즌부터는 판독 범위가 확대된다. 예로 슈팅 파울에 대한 챌린지를 신청하더라도, 그밖에 ‘선언돼야 했을’ 파울이 지적될 경우 해당 판정을 하는 식이다. KBL 경기본부에 따르면 대부분의 구단이 파울 챌린지 도입에 대한 우려를 보였다가, 지난 시즌 뒤엔 범위를 확대하는 데 입을 모은 거로 알려졌다. 이밖에 파울 챌린지는 기존 1+1회에서 3회로 확대됐다. 단, 4쿼터 2분 미만이 남았을 때는 최대 1회만 신청할 수 있다. 수월한 경기 흐름을 이어가기 위한 장치다.
KBL 경기본부는 현장의 혼선을 막기 위해 별도 판정 가이드라인을 영상으로 제작했고, 이를 구단에 배포할 예정이다. 이어 2026~27시즌에는 공정성을 위해 인공지능(AI) 배정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변화를 구상 중이다. 유재학 경기본부장은 “사실 그전까지의 가벼운 판정들은 심판들이 공격수들에게 속았던 거”라며 “세계 대회를 봐도 불리지 않는 판정이 굉장히 많다. 심판도 적응하다 보니 놓치는 게 많았지만, 적응 단계를 거친 뒤인 플레이오프에선 굉장히 잘했다고 본다. 올해도 판정 기조는 그대로”라고 강조했다. 이승무 심판은 “오심을 최대한 줄이고, 부족한 부분을 고쳐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계속 보완하고 발전해 나갈 거”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