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KBO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상위 지명이 유력한 유신고 야수 듀오인 신재인(왼쪽)과 오재원. 야반도주 제공
2024 KBO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선 1라운드 상위 지명 9명이 모두 투수였다. 지난해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내야수 박준순(두산 베어스·전체 6순위)과 포수 이율예(SSG 랜더스·전체 8순위)를 제외하면 1라운드에서 호명된 선수가 투수 일색이었다. 올해도 '투수 강세'가 예상되는데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는 준척급 야수 유망주들도 있다.
구단 스카우트 사이에선 내야수 신재인(18) 외야수 오재원(18·이상 유신고) 내야수 박한결(18·전주고)이 '야수 빅3'라는데 큰 이견이 없다. 단역 주목받는 선수는 야수 최대어로 분류되는 신재인이다. 올해 고교리그에서 26경기 타율 0.337(92타수 31안타)를 기록한 신재인은 보기 드문 3루수 자원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있다. 한 아마야구 관계자는 "파이브 툴(타격 정확도·파워·수비·주루·송구 능력) 플레이어에 가깝다. 큰 오각형"이라며 "김도영(KIA 타이거즈) 이후 3루수로는 잠재력이 가장 크다"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막을 내린 18세 이하(U-18)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에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타석에서 너무 소극적이었다"라는 얘기가 곳곳에서 들린다.
오재원의 성적도 돋보인다. 올해 고교리그에서 타율 0.442(95타수 42안타)로 맹활약했다. 1학년 0.436, 2학년 0.385에 이어 변함없는 꾸준함이 최대 강점.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에선 타격상, 최다안타상, 최다득점상을 싹쓸이했다. 박한결도 1라운드 지명 후보로 꼽힌다. 해를 거듭할수록 타격이 부쩍 향상한 박한결은 전주고 돌풍의 주역. 올해 고교리그 19경기에서 타율 0.417(60타수 25안타)를 기록했다. 86타석에서 삼진이 3개에 불과할 정도로 콘택트 능력이 뛰어나다. 출루율(0.570)과 장타율(0.683) 모두 수준급이다.
2025 KBO 신인드래프트가 11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렸다. 각 구단에 지명된 신인들이 포토타임을 갖고있다. 잠실=정시종 기자 /2024.09.11.
A 구단 운영팀장은 "내·외야 포지션에 따라서 지명 순번이 바뀔 수 있다. 박한결의 경우 유격수가 쉽지 않을 거라고 판단하는 구단이 있다"며 "(선수의 가치를) 2루수로 보느냐에 따라서 지명 순번이 달라질 수 있다"라고 귀띔했다.
'이변의 후보'로 김지석(18·인천고)의 이름을 거론하는 관계자도 있다. 김지석은 올해 고교리그 23경기에서 타율 0.442 2홈런을 마크했다. 한 아마야구 관계자는 "타격 하나는 김지석이다. 다만 3루 수비가 아쉽다. 1루나 외야로 포지션을 바꿔야 할 수 있는데 (타격만 보면) 흥미로운 선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