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경정장에서 선수들이 턴마크를 돌며 경합을 벌이고 있다. 국민체육진흥공단 경정에서 모터는 선수 기량, 코스 유불리와 더불어 승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여기에 경정 전문가들은 모터와 짝을 이루는 보트도 분석 대상으로 여긴다. 모터의 기력이 들쭉날쭉할 경우 이런 접근은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경정 보트는 95%가 목재로 만들어진다. 시간이 지나면서 선체의 뒤틀림, 무게 배분의 변화 그리고 기후에 따른 건조 상태에서 미세한 차이가 발생한다. 출발 반응, 직선 주행 안전성, 선회 등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특히 장마철에는 보트의 건조 상태에 따라 성능 차이가 더 뚜렷해진다. 선수들은 물을 머금은 보트와 잘 건조된 보트를 타면 그 차이를 크게 체감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여전히 많은 이들이 모터 성능에만 집중하고 보트의 상태는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제 경주를 예측할 때 보트 기록도 눈여겨봐야 한다.
실제로 지난주 열린 35회차 경정에서 보트의 중요성을 입증한 사례가 다수 나왔다. 중·하위권으로 평가되는 52번 모터를 배정받은 고정환(14기·A1)은 보트는 평균 착순점 6점대로 상급으로 인정받는 17번을 배정받았다. 고정환은 강력한 스타트와 직선 주행력을 앞세워 3연속(1위 2회, 2위 1회) 입상했다. 결과만 놓고 보면 상급 모터를 배정받은 선수라고 착각할 만한 성적이다. 지난 35회차 최고의 반전이었다.
김응선(11기·A1)도 평균 착순점 4점대 중반, 평범한 2번 모터를 배정받았는데 보트는 이보다 평균 착순점(6.73점)이 높은 6번을 배정받은 뒤 예상보다 훨씬 좋은 성적(1위 2회, 2위 1회)을 거뒀다.
반대로 정민수(2기·A1)는 평균 착순점 6.64를 기록하며 모터 성적 10위를 지킨 88번 모터를 배정받았지만, 보트는 평균 착순점 중위권인 110번 보트를 배정받은 뒤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냈다.
모터와 보트 완벽한 조합으로 폭발적인 활약을 펼친 선수들도 있다. 민영건(4기·A2)과 김민길(8기·A1)은 평균 착순점 6점대 이상의 상급 모터와 상급 보트를 배정받아 3연속 입상에 성공했다. 선수의 기량뿐 아니라 모터 그리고 보트까지 조화를 이루며 '경정 레이스의 정석‘을 보여줬다. 현장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대부분 모터의 성능 파악에는 열중하지만, 정작 보트 성적은 전혀 살펴보지 않는다. 이는 경기를 반만 보는 것이나 다름없다"라고 말한다.
보트보다 모터가 더 중요한 게 사실이고, 보트 분석 자체가 어려운 면도 있다. 하지만 보트의 최근 평균 착순점, 직전 회차 성적 등 기본적인 부분을 살펴본다면 경기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